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800499
한자 印潑
이칭/별칭 공근(公瑾)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충청남도 보령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홍제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70년연표보기 - 인발 출생
활동 시기/일시 1592년 - 인발 임진왜란에서 공을 세움.
활동 시기/일시 1605년 - 인발 증광시 병과 급제
추모 시기/일시 1605년 - 인발 공신녹권을 받음.
활동 시기/일시 1636년 - 인발 병자호란에 참전
몰년 시기/일시 1636년연표보기 - 인발 사망
거주|이주지 거주지 - 충청남도 보령시 청소면 죽림리 지도보기
묘소|단소 인발 묘소 - 충청남도 보령시 청소면 재정리 지도보기
성격 무신
성별
본관 교동
대표 관직 선략장군|훈련원정

[정의]

조선 후기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때 활약한 충청남도 보령 출신의 무신.

[개설]

인발(印潑)[1570~1636]은 조선 후기의 무신으로 임진왜란 때 공을 세워 공신녹권(功臣錄券)을 받았고, 병자호란 때 전투 중 전사하였다. 인발의 묘가 조성된 충청남도 보령시 청소면에 교동 인문의 집성촌이 4백 년간 계승되어 오고 있다.

[가계]

본관은 교동(喬桐)이다. 아버지는 정략장군(定略將軍) 인언광(印彦光)이다.

[활동 사항]

인발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문신은 편안할 때 책을 벗삼지만, 국난이 닥쳤을 때는 책을 덮어 두고 창칼을 들어야 한다.”라며 왜적을 무찌르는 데 앞장섰다. 인발이 날쌘 군사 기백을 이끌고 항시 적을 후방에서 괴롭히니 왜적들도 싸움에 패하면 “인발의 군사냐?”라고 할 정도로 크게 공을 세웠다. 임진왜란의 공을 인정받아 정난원종(靖難原從) 2등 공신에 녹훈되었다. 왜적이 물러가자 선전관(宣傳官)이 되었다.

인발충청남도 보령시 청소면 죽림리 집에 거주하고 있을 때 병자호란이 일어났다. 인발은 그 소식을 듣자 그 길로 한양(漢陽)으로 올라가서 군사를 모으려고 하였으나 한양의 인심이 소란하여 군사를 모을 수가 없었다. 인발은 그 길로 전라병영으로 내려가 전라병사 김준룡(金俊龍)[1586~1642]과 함께 군사를 이끌고 한양으로 진격하였다.

인발이 수원 광교산전투에서 용전하다 전사하자 인조(仁祖)[재위: 1623~1649]는 자리에서 벌떡 일어나 “인발(印潑)이 죽다니…” 하고 눈물을 글썽였다고 한다. 광교산의 중이 공의 명패를 보고 부고를 알려서 가족이 시신을 수습하러 갔는데 “열기가 오히려 늠름하고 얼굴과 눈이 살아 있는 것 같았으며 입었던 배자(褙子) 도 단정히 그대로였다”고 한다. 이후 훈련원정[정3품 훈련원의 벼슬]에 증직되었다. 인발의 묘는 충청남도 보령시 청소면 재정리 재동에 있다. 그 주변에 4백여 년을 계승하여 내려오고 있는 교동 인문[그곳에서는 ‘오야골 인씨’라고 부른다고 함.]의 집성촌이 있다.

[묘소]

묘소는 충청남도 보령시 청소면 재정리에 있다.

[상훈과 추모]

임진왜란의 공을 인정받아 정난원종 2등 공신에 녹훈되었다.

[참고문헌]
  • 『보령시지』(보령시지편찬위원회, 2010)
  • 교동 인씨 대종회 문중 자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