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801376
한자 鳴川洞
영어공식명칭 Myeongcheon-dong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충청남도 보령시 대천4동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원회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914년연표보기 - 충청남도 보령군 대천면 명천리 개설
변천 시기/일시 1963년 - 충청남도 보령군 대천면 명천리에서 충청남도 보령군 대천읍 명천리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86년 - 충청남도 보령군 대천읍 명천리에서 충청남도 대천시 명천동(흥덕동 소속)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충청남도 대천시 명천동(흥덕동 소속)에서 충청남도 보령시 명천동(흥덕동 소속)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99년연표보기 - 충청남도 보령시 명천동(흥덕동 소속)에서 충청남도 보령시 명천동(대천4동 소속)으로 개편
성격 법정동
면적 6.53㎢
가구수 6,047가구
인구[남/여] 13,935명[남 6,881명/여 7,054명]

[정의]

충청남도 보령시에 속하는 법정동.

[개설]

충청남도 보령시에는 죽정동, 대천동, 화산동, 동대동, 명천동, 궁촌동, 남곡동, 신흑동, 요암동내항동의 10개 법정동이 있다. 법정동은 자연부락을 바탕으로 하였거나, 오랜 전통을 지닌 동이다. 이러한 법정동 중 인구가 적은 여러 법정동을 하나로 묶어 하나의 행정동을 설치했거나, 하나의 법정동이 그대로 하나의 행정동이 되고 있다. 명천동은 행정적으로 대천4동에 속해 있다. 법정동으로서 명천동의 지리적 특성은 명칭 유래, 형성 및 변천, 자연환경, 현황 등의 측면에서 파악할 수 있다.

[명칭 유래]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 명암(鳴岩)과 이천(伊川)의 이름을 따서 ‘명천리(鳴川里)’라 부른 데서 유래되었다.

[형성 및 변천]

명천동은 본래 보령군 우라면(于羅面)의 지역인데, 1914년 부군통폐합령에 의거한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어전리(於田里), 명암리(鳴岩里), 송정리(松亭里), 이천리(伊川里), 흥동(興洞) 일부를 병합하여 ‘명천리’라 하여 대천면에 편입되었다. 1963년 1월 1일 법령 제1177호에 의하여 대천면이 읍으로 승격하면서 대천읍 소속이 되었다. 1986년 1월 1일 법률 제3798호에 의하여 대천시 승격과 함께 ‘명천동’으로 부르게 되었고, 행정동인 ‘흥덕동(興德洞)’에 속했다. 대천시 승격 당시 흥덕동은 법정동인 명천동과 궁촌동(宮村洞)으로 구성되었다. ‘흥덕동’ 지명은 ‘흥덕굴’ 마을의 이름을 따서 지은 것이라고 한다. 1995년 1월 1일 법률 제4774호로 대천시와 보령군이 통합되어 출범한 보령시 소속으로 되었다. 1999년 7월 20일 보령시 조례 제368호에 의거하여 행정동 명칭이 ‘흥덕동’에서 ‘대천4동’으로 변경되었다. 이러한 행정동 명칭 변경은 ‘대천’이라는 지명을 살리기 위해서였다.

[자연환경]

명천동의 동부는 성주면 개화리남포면 창동리의 경계에 있는 옥마산(玉馬山)[599.0m]의 북서측 사면과 동대동, 성주면 성주리청라면 향천리의 경계에 있는 성주산(聖住山)[510.5m]의 남서측 사면의 연접부에 해당되어 대부분 급사면을 이루고 있고, 비교적 넓은 면적에 걸쳐 있다. 성주산은 중생대 퇴적층으로 무연탄, 청석(靑石) 및 오석(烏石)의 산출이 많은 곳이다. 산지 사면 말단부의 말단부의 곡지(谷地)[골짜기]에는 몇몇 자연마을이 입지해 있다. 중부와 서부는 대부분 해발고도 100m의 이하의 저평지를 이루고 있는데, 저평지의 대부분은 서쪽의 죽정동과의 경계를 흐르는 대천천(大川川)의 범람원 충적지에 해당된다. 충적지에서는 논농사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서부와 북부의 일부는 시가지를 이루고 있는데, 이 시가지는 대천시가지의 남측 외연부에 해당된다.

[현황]

명천동은 시의 서부 해안지대의 중간부에 있으며, 동지역 중에서는 중동부에 있다. 동쪽은 성주면 성주리·개화리에, 서쪽은 궁촌동에, 남쪽은 남포면 봉덕리·창동리에, 그리고 북쪽은 동대동에 각각 접하고 있다. 면적은 2022년 4월 기준으로 6.53㎢이다. 행정동은 대천4동에 속해 있으며, 자연마을로는 흥곡, 명암, 송정, 이천 등이 있다[보령시행정지도 기준]. 가구와 인구의 분포를 보면 2020년 12월 31일 기준 6,047가구에 총 인구 13,935명으로 남자 6,881명, 여자 7,054명이다. 21·77번 국도, 40번 국도, 시도 및 기타도로가 개설되어 있다. 21·77번 국도는 중동부에서 남북방향으로 지나고 있고, 40번 국도는 북동부에서 굴곡하면서 동서방향으로 지나고 있다. 21·77번 국도는 북쪽 경계에서 동대동으로 연결되고, 남쪽 경계에서 남포면 창동리로 연결되고 있다. 40번 국도는 중동부에서 21·77번 국도와 연결되고 있고, 동쪽 경계에서 성주면 성주리로 연결되고 있는데, 성주리의 경계에는 성주터널이 개설되어 있다. 시도는 서쪽 경계부와 동부에서 각각 남북방향으로 지나고 있다. 서쪽 경계부의 시도는 북서부에서 36번 국도에 연결되고, 남서쪽 경계에서 남포면봉덕리창동리의 경계부로 연결되고 있다. 동부의 시도는 대체로 21·77번 국도에 인접해서 지나고 있고, 북동부에서 40번 국도와 교차하고 있다. 동부의 시도는 북동쪽 경계에서 동대동으로 연결되고 있다. 기타도로는 곳곳에서 직교형으로 개설되어 있으며, 국도와 시도에 연결되어 있는 것 이외에 대부분의 자연마을들에도 연결되어 있다. 주요 시설로는 대천중학교, 대명중학교, 명천초등학교, 한내초등학교, 보령시청, 보령시의회, 대천4동행정복지센터, 보령경찰서, 보령해양경찰서, 보령소방서, 보령세무서, 고용노동부 보령지청, 한국전력공사 보령지사, 보령시문화예술회관, 보령도서관, 보령베이스CC, 웨스토피아리조트, 웨스토피아CC 등이 있다. 성주암, 대영사 등의 사찰도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