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800114
한자 隱浦里‒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충청남도 보령시 주교면 은포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원회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전구간 은포리갯벌 - 충청남도 보령시
해당 지역 소재지 은포리갯벌 - 충청남도 보령시 주교면 은포리 지도보기
성격 갯벌

[정의]

충청남도 보령시 주교면 은포리에 있는 갯벌.

[개설]

갯벌은 밀물 때 바닷물에 잠기고 썰물 때 해수면 위로 드러나는 평평한 해안 퇴적 지형으로 조간대, 간석지, 개펄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육상 생태계 쪽에 염생 식생이 정착되어 있는 곳을 염생습지라고 하며, 해양 생태계에 가까운 쪽을 갯벌이라고 한다. 한국의 경우 염생습지는 대부분 간척되어 간석지를 갯벌이라 칭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갯벌은 세계적으로 조석간만의 차가 큰 한반도의 서해안과 남해안에 넓게 분포한다.

갯벌은 생물 다양성의 보고이다. 서해안 및 남해안의 갯벌과 주변 생태계에서는 어류 200여 종, 갑각류 250여 종, 연체동물 200여 종, 갯지렁이류 100여 종 이상이 서식한다. 하천으로부터 유기물의 농도가 높은 물이 갯벌에 유입될 때 갯벌의 가장자리에서 자라고 있는 식물이 유속을 떨어뜨려 부유 물질과 그 밖의 여러 물질이 퇴적된다. 또한 갯벌에 존재하는 수많은 미생물에 의해 유기 물질의 분해가 활발히 진행되어 수질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함께 갯벌은 자연 재해와 기후 조절의 기능도 갖고 있는데, 갯벌은 마치 스펀지처럼 홍수나 빗물 등을 흡수한 뒤 천천히 내보낸다. 동시에 갯벌은 많은 양의 물을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높은 수위를 일단 낮출 수 있다. 따라서 갯벌은 강의 하구나 바닷가의 침식을 막고 홍수 피해를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보령시 해안 일대의 갯벌로는 천북면 사호리갯벌, 오천면 영보리갯벌, 주교면 송학리갯벌, 주교면 은포리갯벌, 남곡동 해망산갯벌, 남포면 월전리갯벌, 웅천읍 관당리갯벌, 웅천읍 독산리갯벌, 웅천읍 소황리갯벌 등이 있다.

[명칭 유래]

은포리갯벌은 갯벌이 있는 주교면 은포리의 지명을 따라 부른 것이다.

[자연환경]

은포리갯벌대천천의 하구에 해당하여 연안은 펄로 구성되어 있으며, 조간대(潮間帶)의 저조선(低潮線)[간조 때의 바다와 육지의 경계선] 부근, 즉 신흑동과의 중간 지점에서는 사질(沙質) 갯벌[모래질이 90% 이상을 차지하는 갯벌]이 나타난다. 사질 갯벌은 바닥이 주로 모래질로 되어 있고, 바닷물의 흐름이 빠른 수로 주변이나 해변에 주로 나타난다. 해안의 경사가 급하고 갯벌의 폭이 좁은 것이 특징이다. 사질 갯벌은 모래 알갱이의 평균 크기가 0.2~0.7㎜ 정도로 유기물의 함량은 적다.

[현황]

은포리갯벌은 보령 지역 내에서 바지락이 가장 많이 서식하는 곳이며, 동죽·서해비단고둥·갯고둥 등도 서식한다. 은포리갯벌에는 은포리 주민들이 관리하는 넓은 바지락 양식장이 있고, 양식장 밖에서는 보령 시민들의 맨손 어업이 활발하다. 은포리갯벌은 지형이 완만하여 해안에서부터 수 ㎞를 들어가야 하기 때문에 안개가 발생하면 안전상에 위험이 있다.

[참고문헌]
  • 『보령시지』상(보령시지편찬위원회, 2010)
  • 『보령시지』중(보령시지편찬위원회, 2010)
  • 『1:50,000 지형도』-보령(국토지리정보원, 2021)
  • 두산백과 두피디아(https://www.doopedia.co.kr)
  • 무창포어촌계(http://www.muchangpo.org)
  • 보령시청(https://www.brcn.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