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778
한자 金興國
영어공식명칭 Kim Hungkwuk
이칭/별칭 경인(景仁),수북정(水北停)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근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57년연표보기 - 김흥국 출생
활동 시기/일시 1589년 - 김흥국 문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593년 - 김흥국 승정원주서 역임
활동 시기/일시 1596년 - 김흥국 북평사 역임
활동 시기/일시 1602년 - 김흥국 형조정랑 역임
특기 사항 시기/일시 1605년 - 김흥국 호성원종공신에 녹훈
활동 시기/일시 1610년 - 김흥국 한산군수 부임
활동 시기/일시 1614년 - 김흥국 양주목사 부임
몰년 시기/일시 1623년 3월 18일연표보기 - 김흥국 사망
거주|이주지 수북정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수북로 76[규암리 147-2]지도보기
묘소|단소 김흥국의 묘소 -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도하리
성격 문신
성별 남성
본관 순천(順天)
대표 관직 양주목사

[정의]

조선 후기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규암리수북정을 짓고 은거한 문신.

[가계]

김흥국(金興國)[1557~1623]의 본관은 순천(順天)이며, 자는 경인(景仁), 호는 수북정(水北停)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병조참판 김약평(金若枰)이고, 할아버지는 김희려(金希呂)이다. 아버지는 사포서별좌 김응손(金膺孫)이고, 어머니는 정랑 이숙간(李叔幹)의 딸 용인 이씨(龍仁 李氏)이고, 부인은 백성 이씨(栢城 李氏)이다. 아들은 김영(金英)·김근(金芹)이다.

[활동 사항]

김흥국은 1557년(명종 12)에 태어났다. 1589년(선조 22) 증광시 문과에 급제하였고, 1593년 승정원주서를 지냈다. 이후 홍문관정자와 사간원정언을 거쳐 1596년 북평사를 지냈으며, 서장관으로 뽑혀 명나라에 다녀오기도 하였다. 1602년 형조정랑이 되었고, 1605년(선조 38)에는 호성원종공신(扈聖原從功臣)에 녹훈되었다. 1610년(광해군 2) 한산군수로 부임하였고, 1614년(광해군 6)에는 양주목사에 제수되었다.

광해군 대에 영창대군(永昌大君)이 죽고 장차 인목대비(仁穆大妃)를 폐위시키려는 논의가 일자 김흥국은 관직에서 물러나 부여로 낙향하였다. 이후 백마강 상류에 수북정(水北亭)[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이라는 정자를 짓고 은거하며 김장생(金長生)·조존성(趙存性) 등과 교유하였다. 1623년(인조 1) 인조반정 직후 부제학에 제수되었으나, 3월 18일에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김흥국의 저서로는 『수북정집(水北亭集)』이 있다.

[묘소]

김흥국의 묘소는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도하리에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