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781
한자 朴名賢
영어공식명칭 Bak Myeonghyeon
이칭/별칭 군빙(君聘),박명현(朴命賢),연창군(延昌君)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근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61년연표보기 - 박명현 출생
활동 시기/일시 1589년 - 박명현 증광시 무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593년(선조 26) - 박명현 평안도좌방어사 역임
활동 시기/일시 1594년 - 박명현 토포사 임명
활동 시기/일시 1596년 - 박명현 이몽학의 난 진압
몰년 시기/일시 1608년연표보기 - 박명현 사망
부임|활동지 홍주 - 충청남도 홍성군
성격 무신
성별 남성
본관 죽산(竹山)
대표 관직 전라도병마절도사

[정의]

조선 전기 부여 지역에서 발생한 이몽학의 난을 진압한 무신.

[가계]

박명현(朴名賢)[1561~1608]의 본관은 죽산(竹山)이며, 자는 군빙(君聘)이다. 아버지는 박근(朴近)이고, 형은 박영현(朴英賢)·박제현(朴濟賢) 등이다. 박명현(朴命賢)으로 알려지기도 하였다.

[활동 사항]

박명현은 1561년(명종 16)에 태어나 1589년(선조 22) 증광시 무과에 급제하였다. 임진왜란 때인 1593년 명나라 군대와 함께 평양 공격에 참여하였으며, 6월에는 평안도좌방어사로서 의병장 조호익(曺好益) 등과 함께 경상도 청도에 있던 일본군을 공격하였다. 1593년 8월에는 독포사 박진(朴晉), 별장 박종남(朴宗男) 등과 함께 명나라 군대와 연합하여 초계(草溪)를 수비하였고, 12월에는 무군사(撫軍司)에 참여하여 세자를 호위하였다. 1594년 8월 경기도 이천과 죽산 등지에서 토적(土賊)이 일어나자 토적을 진압하기 위한 토포사(討捕使)에 임명되었다.

1596년 이몽학(李夢鶴)이 주도하여 부여에서 난을 일으키고 홍주로 진격하자 박명현은 병사들을 거느리고 홍주성으로 들어가 홍주목사 홍가신(洪可臣)과 협력하였다. 이몽학 등이 전세가 불리하여 청양으로 쫓겨 달아나자 박명현은 무장 임득의(林得義)와 함께 추격하여 난을 평정하였다.

박명현은 이후 충청도방어사와 전라도병마절도사 등을 지냈고, 1607년 청난공신 2등에 녹훈되고 연창군(延昌君)에 책봉되었다. 1608년(광해군 즉위년) 임해군(臨海君) 옥사와 관련하여 국문을 받다가 사망하였으며, 고언백(高彦伯)·유영경(柳永慶) 등과 함께 훈적(勳籍)에서도 삭제되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