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995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흥수로 488[노화리 325-54]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중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2008년연표보기 - 부여군 굿뜨래농업대학 설립
최초 설립지 부여군 굿뜨래농업대학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흥수로 488[노화리 325-54]
현 소재지 부여군 굿뜨래농업대학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흥수로 488[노화리 325-54]지도보기
성격 공공 기관
설립자 부여군
전화 041-830-2561
홈페이지 https://www.buyeo.go.kr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노화리에 있는 농업 인재 육성 기관.

[개설]

부여군 굿뜨래농업대학은 부여군이 농업 혁신과 변화를 선도하는 농업 인재를 육성하기 위하여 운영하는 농업인 교육 기관이다. 교육 기간은 1년이다.

[설립 목적]

부여군 굿뜨래농업대학은 2008년 부여군 농업의 특화 발전에 필요한 품목별 장기 기술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작지만 강한 농업 실현을 위한 전문 경영인을 양성하고 농업 현장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굿뜨래농업대학부여군 농업기술센터가 주관하여 현장 농업인을 대상으로 이론 교육과 실무 교육을 함께 실시하고 있다. 굿뜨래농업대학은 부여군에서 2008년부터 운영하고 있다.

2021년의 경우 학과별로 교육 교재 3종 210권을 제작 및 배부하여 교육하였다. 이론 교육의 경우 농업기술센터 강당에서 이루어지기도 하지만, 농산물 가공과 실습 교육은 굿뜨래 로컬푸드 종합유통센터 등 현장 시설을 이용하기도 한다. 한국식품정보원 등 전문 기관에 의뢰하여 위탁 교육을 하기도 한다.

2022학년도 교육 과정의 경우 연간 총 30회, 120시간 동안 기초·전문 과목과 실습 교육, 자치 활동 등으로 나뉘어 교육이 진행되었다.

[현황]

2021학년도 과정에서는 농산물가공과와 딸기과가 개설되었는데 2022학년도에는 청년농업과, 친환경농업과, 대추과로 교육 과정이 개편되었다. 교육 인원은 2021년 61명이었고, 2022년에는 81명으로 늘어났다.

2021학년도에는 농산물가공과 29명과 딸기과 25명이 졸업하였다. 2022년도에는 3월 17일 부여 농업기술센터 대강당에서 입학식을 개최하였으며 3월 17일부터 12월 1일까지 1년 과정의 교육이 진행되었다.교육 과정 운영을 위하여 운영위원회가 설치되어 있는데, 운영위원 6명은 농업 관련 분야 전문가와 농업인 단체 대표들로 이루어져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상황 속에서는 SNS를 활용하여 비대면 농업 정보 제공 및 교육을 추진하였다. 비대면 교육을 위하여 굿뜨래농업방송국을 운영하여 활용하였다.

[의의와 평가]

부여군 굿뜨래농업대학은 부여군 지역 농업 기술 발전에 일익을 담당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