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1043
영어공식명칭 Goodtraepay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제도/법령과 제도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홍성효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시행 시기/일시 2019년 12월연표보기 - 굿뜨래페이 출시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2년 - 지역사랑상품권 우수 사례 평가 대통령상 수상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이 발행하는 공동체 순환형 지역화폐.

[개설]

굿뜨래페이는 충청남도 부여군이 발행하는, 블록체인 기술 기반으로 만든 전자식 화폐다. 굿뜨래페이로 결제하면 현금으로 정산되어 들어오지 않고 굿뜨래페이로 들어오기 때문에 그대로 타 가맹점에서 재사용되는 공동체 순환형 지역화폐이다. 굿뜨래[goodtrae]는 부여군의 공동 브랜드로서, 부여의 좋은[Good] 뜰에[trae]서 만들어진 가장 좋은 것들이라는 뜻이다.

[제정 경위 및 목적]

굿뜨래페이는 지역민의 지역 내 소비 촉진을 통하여 지역 소득의 역외 유출을 막음으로써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기 2019년 12월 출시되었다.

[내용]

블록체인 기술 기반으로 만든 전자식 화폐인 굿뜨래페이는 인구 6만 2000여 명의 부여군에서 경제 인구 90%가 사용하고 있으며, 2021년 10월 코로나 상생 국민 지원금을 신용카드가 아닌 지역화폐로 신청한 비율이 50.2%나 될 만큼 군민 생활 깊숙이 자리 잡았다.

2019년 12월 출시된 이후 14개월 만에 발행액이 1000억 원을 돌파하였다. 고령 농민의 인구 비율이 높은 부여군에서 스마트기기의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층을 위하여 NFC카드를 발급하고 농민 수당, 환경 수당 등 부여군의 정책 수당을 굿뜨래페이로 지급한 것이 굿뜨래페이가 자리 잡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2020년 5월 14일 충전 시 충전 인센티브 10%, 사용 시 사용 인센티브 8%, 가맹점 매출 순환 시 순환 인센티브 5%를 지급하는 등의 혜택을 포함하였다. 다만, 2022년 8월 1일 현재 충전 인센티브는 월 50만 원 한도 내에서 5%가 지급되고, 소비 인센티브는 월 매출 1000만 원 이하 점포 이용 시 거래 금액의 7%, 월 매출 1000만~4000만 원 점포 이용 시 거래 금액의 3%, 월 매출 4000만 원 초과 점포 이용 시 인센티브를 지급하지 않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인센티브 지급 정책의 개편은 정부의 지역화폐 정책 기조 변화에 따른 국비 및 도비의 지원 부족에 기인한다.

[변천]

굿뜨래페이는 행정안전부 주관 2022년 지역사랑상품권 우수 사례 평가에서 대통령상을 받았다.

[의의와 평가]

굿뜨래페이는 지역 내 소비와 매출 증가로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부여군은 농촌 지역으로서 소비 관련 시설이나 서비스가 상대적으로 덜 발달되어 지역민의 소비 행위가 타 지역에서 이루어짐으로써 지역 소득의 역외 유출 가능성이 높다. 지역화폐는 지역민의 소비 행태에서 변화를 야기하여 지역 소득의 역외 유출을 감소시킬 것으로 전망된다.

[참고문헌]
  • 굿뜨래페이(https://goodtraepay.buyeo.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