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1125
한자 敬慕祠
영어공식명칭 Gyeongmosa shrine
분야 종교/유교
유형 유적/건물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탑로 79-97[가탑리 233-5]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장인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973년연표보기 - 경모사 건립
개축|증축 시기/일시 2003년 10월 - 경모사 중건
현 소재지 경모사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탑로 79-97[가탑리 233-5]지도보기
성격 사당
양식 겹처마 맞배지붕
정면 칸수 5칸[사당]|3칸[묘문]
측면 칸수 3칸[사당]|1칸[묘문]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탑리에 있는 임윤덕을 기리기 위해 건립한 사당.

[개설]

경모사(敬慕祠)는 예천 임씨 두문제(杜門齊) 임윤덕(林允德)[1352~1415]을 기리기 위해 세운 사당이다. 임윤덕은 고려 말기 정3품인 판전객사사(判典客寺事)를 지냈으나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자 백마강 천정대 아래에서 은거하였다. 조정에서 여러 차례 임윤덕을 불렀으나 거절하였다. 임윤덕가 죽은 후 조선에서는 충절을 기려 이조판서 정헌대부로 추증하였다.

[위치]

경모사는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탑로 79-97[가탑리 233-5]에 있다. 부여읍 중심에 있는 금성산 자락이 동남 방면으로 흘러 들을 만나는 언저리에 있다.

[변천]

1973년 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동에 있던 건물을 구입하여 이건하고 ‘경모각’이라 하였다. 2003년 10월 후손들이 모금하여 기존 건물을 헐고 사우를 중건하였다. 이때 사우를 ‘경모사’라 현액하였다.

[형태]

경모사는 사당, 묘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와를 올린 돌담으로 둘렀다. 사당은 정면 5칸, 측면 3칸으로 겹처마 맞배지붕 건물이다. 사당의 전면 어칸 상부에는 ‘경모사’ 편액이 걸려 있다. 묘문은 정면 3칸, 측면 1칸의 솟을삼문이며 ‘경모문’이라는 편액이 걸려 있다. 묘문 앞 좌우에는 두문제 임윤덕의 신도비와 공적비 등이 배치되어 있는데, 임윤덕 신도비는 호암리 묘소에 있는 것을 이기(移記)하고 번역한 것이다.

[현황]

경모사에서는 매년 4월 21일 전국 각지에서 후손들이 모여 춘향제를 봉행한다.

[의의와 평가]

경모사는 예천 임씨 두문제공파 후손이 두문제 임윤덕의 충절을 기리며 친목을 다지는 사당으로 의미가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