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077
한자 林川川
영어공식명칭 Imcheoncheon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군사리|만사리|구교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종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전구간 임천천 - 충청남도 부여군
해당 지역 소재지 임천천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군사리|만사리|구교리지도보기
성격 하천
면적 8.25㎢[유역 면적]
길이 3.6㎞[하천 연장]|4.48㎞[유로 연장]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군사리에서 발원하여 만사리에서 칠산천과 합류하여 금강으로 들어가는 하천.

[자연환경]

임천천(林川川) 상류에는 하천을 따라 다양한 지형이 형성되어 있다. 풍화 작용에 의하여 형성된 돌출 암석 토르가 나타난다. 산 사면이 수직에 가까운 지형인 급애(急崖)는 식생의 침입으로 관찰이 쉽지 않거나, 도로 개설로 인하여 많이 훼손되었다. 화학적 풍화 작용에 의하여 기반암 표면에 형성된 접시 모양의 풍화혈인 나마(gnamma)가 나타난다. 나마 옆에는 암석의 측면에 벌집처럼 집단적으로 파인 구멍들인 타포니(tafoni)가 같이 관찰된다.

임천천과 남성천이 합류하는 지역에 형성된 구릉은 하천 평야 내에 고립되어 나타나는 모습을 보인다. 이러한 고립 구릉은 비교적 장기간의 풍화와 침식 과정을 거쳐 형성되었다.

[현황]

임천천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군사리에서 발원하여 만사리에서 칠산천과 합류하여 금강으로 흘러드는 금강의 제2지류이다. 임천천임천면 구교리 방천교 아래에서 다른 소하천이 합수하여 남쪽으로 흘러 금강에 유입한다. 하천 연장은 총 3.6㎞이고, 유로 연장은 4.48㎞이며, 유역 면적은 8.25㎢이다. 하천 제방은 총 6.65㎞가 건설되어 있고, 그중 제방 보강 필요 구간은 2.2㎞, 제방 신설 필요 구간은 4.45㎞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