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정리 고분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489
한자 合井里 古墳群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고분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합정리 583
시대 고대/삼국 시대/백제
집필자 서현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01년~2008년 - 합정리 고분군 발굴 조사 실시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11년 - 합정리 고분군 합정리 문냉이골 분묘군, 합정리 갱고개골 유적, 합정리 갱고개 유적, 합정리 석실묘군 발굴 조사 실시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17년 4월~2017년 9월 - 합정리 고분군 합정리 369번지 유적 발굴 조사 실시
소재지 합정리 고분군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합정리 583 지도보기
성격 고분군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합정리에 있는 백제 사비 시기 고분군.

[개설]

합정리 고분군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에서 금강 너머 서북쪽에 있는 옥천산과 수리봉에서 뻗어 내린 능선 사면에 조성된 백제 사비 시기 돌방무덤 고분군이다.

[위치]

합정리 고분군 Ⅰ~Ⅳ는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합정리 산9 일원에 있다. 합정리 문냉이골 분묘군, 합정리 갱고개골 유적, 합정리 갱고개 유적, 합정리 석실묘군은 각각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합정리 산1, 합정리 578, 합정리 314, 합정리 산76 일원에 있다. 합정리 369번지 유적은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합정리 369 일원에 있다.

합정리 고분군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에서 금강 너머 서북쪽에 있는 옥천산에서 남쪽으로 이어지는 두 개의 가지 능선 중 서편 능선의 남사면, 동편 능선의 서사면에 해당하고, 합정리 369번지 유적은 합정리 고분군보다 동쪽에 있는 능선의 사면에 해당한다. 합정리 문냉이골 분묘군, 합정리 갱고개골유적, 합정리 갱고개유적, 합정리 석실묘군은 합정리 고분군보다 더 동쪽에 있는데, 수리봉에서 남쪽으로 길게 뻗어 내린 능선의 서사면이나 남서사면에 해당한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합정리 유적백제 문화 단지 조성 부지에 포함되어 있어, 2001년부터 2008년까지 여러 차례에 걸쳐 발굴 조사되었다. 그 결과, 백제 시대 돌방무덤 47기·독무덤 1기·구덩이 주거지 2기·구덩이 유구 7기, 청동기 시대 주거지, 조선 시대 주거지와 건물지, 움무덤, 구동이 유구 등도 확인되었다.

합정리 문냉이골 분묘군, 합정리 갱고개골 유적, 합정리 갱고개 유적, 합정리 석실묘군은 백제 문화 단지 주변 롯데 리조트 골프장 부지에 포함되어 있어 2011년에 4개 지점으로 나누어 발굴 조사되었다. 그 결과, 합정리 문냉이골 분묘군에서는 백제 시대부터 고려 시대까지 돌방무덤 110여 기와 독무덤 4기, 조선 시대 움무덤들이 확인되었다. 합정리 갱고개골 유적은 백제 시대 석실분 49기, 원형 구덩이 22기, 합정리 갱고개 유적은 백제 시대와 고려 시대 돌방무덤 42기, 합정리 석실묘군은 백제 시대 돌방무덤 24기가 확인되었다.

합정리 369번지 유적은 백제 문화 단지 내 테마 파크 조성 부지에 포함되어 2017년 4월부터 2017년 9월까지 발굴 조사되었다. 그 결과, 백제 시대 돌방무덤 10기, 조선 시대 주거지와 분묘, 주거지 등이 확인되었다.

[형태]

합정리 고분군에서는 백제 시대 돌방무덤 47기와 독무덤 1기가 확인되었고, 주거지 등은 토기로 보아 더 이른 5세기대로 추정된다. 몇 기의 고분들에서는 둘레도량도 확인되어 봉분도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돌방무덤은 앞트임식이 더 많지만 굴식도 10기가 넘어 다른 유적에 비하여 많은 편인데, 굴식은 Ⅲ지구에 해당하는 서편 능선의 사면 위쪽, 앞트임식은 대체로 사면 아래쪽에 분포한다. 앞트임식 돌방무덤 중 Ⅲ-5호분과 6호분은 벽석이 판석으로 축조되고, 현문이 문틀식 구조이며 배수 시설도 확인된다. Ⅲ-7호분은 파괴가 심하지만 돌방의 평면 형태가 ㄱ자형, 현문은 문틀식 구조로 추정되며, 널방 규모는 길이 252㎝, 124㎝이다. Ⅲ-20호분도 돌방을 판석으로 축조하였는데, 평면 형태가 갑(甲)자형이며 널방의 규모는 줄어들었다.

합정리 문냉이골 분묘군은 돌방무덤과 독무덤 4기 등 120기의 고분이 확인되었는데, 대부분 백제 사비 시기에 해당한다. 돌방무덤은 1지역 1호분처럼 굴식이지만 널방이 방형이고 토기로 보아 웅진기 요소가 강한 것도 일부 있지만, 대부분 널방이 장방형이며 굴식과 앞트임식이다. 굴식 중에는 돌방 평면이 ㄱ자형이거나 갑(甲) 자형, 현문 구조가 개구식과 문틀식 등 다양하게 확인된다. 동제 가랑비녀나 토기 등의 유물로 보아 고려 시대[1지역 34호분·35호분], 통일 신라 시대로 추정되는 돌방무덤[2지역 88호분]도 소수 확인된다.

합정리 석실묘군은 3-2지점과 3-4지점에서 사비 시기 돌방무덤이 각각 7기와 17기가 확인되었다. 돌방무덤은 벽석이 작은 판상석으로 축조되었는데 3-2지점 4호 굴식 돌방무덤처럼 돌방의 평면 형태가 ㄱ자형이고 현문은 문틀식 구조이며 널방 규모가 길이 233㎝, 너비 133㎝인 것도 있지만, 더 작은 것들이 많다. 3-2지점 1호 굴식 돌방무덤처럼 3-2지점 사면 위쪽에 있으며 문틀식 현문 구조가 거의 퇴화된 것도 이에 해당한다.

[출토 유물]

합정리 석실묘군에서는 대부분의 돌방무덤에서 철제 관고리와 널못이 출토되었다. 중요 유물로는 1호 굴식 돌방무덤에서 철제 관모 틀과 동제 띠꾸미개, 3-4지점 9호 굴식 돌방무덤에서 은화(銀花) 관꾸미개가 확인된다. 합정리 문냉이골 분묘군도 대부분의 돌방무덤에서 철제 관고리와 널못이 출토되며, 중요 유물로 1지역 11호분에서 동제 띠꾸미개, 금동제 귀걸이 등이 확인된다. 합정리 고분군에도 철제 관고리와 널못이 많은 편이며, ⅡA-7호분에서는 철제 관모 틀도 출토되었다.

[현황]

합정리 고분군에는 백제 문화 단지롯데 리조트 골프장이 만들어져 원형은 보존되지 않았다.

[의의와 평가]

합정리 고분군사비도성의 서북쪽 바깥, 금강 건너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일대에 군집을 이룬 백제 사비 시기 고분군이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합정리 고분군과 합정리 문냉이골 분묘군 등의 고분군은 돌방 구조와 규모로 보아 사비 시기 거의 전 기간에 걸쳐 고분이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합정리 고분군과 합정리 문냉이골 분묘군은 고분군의 규모가 크고, 돌방무덤의 석재 치석 정도, 은화 관꾸미개, 띠구미개 등의 중요 유물이 출토되어 피장자의 위계가 높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합정리 고분군사비도성에서 가까운 곳에 있고, 고분군의 규모도 크며 사비 시기 전 기간에 걸쳐 고분이 만들어진 점에서 사비도성 내 거주민의 무덤일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