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627
한자 扶餘 觀音寺址
영어공식명칭 Temple Site Gwaneum
이칭/별칭 관음사지,부여 관음사 터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터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탑리 201
시대 고대/삼국 시대/백제
집필자 김영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04년 3월 12일~2004년 4월 6일 - 부여 관음사지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에서 시굴 조사
문화재 지정 일시 2007년 12월 28일연표보기 - 부여 관음사지 부여군 향토문화유산 제92호 지정
소재지 부여 관음사지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탑리 201 지도보기
출토 유물 소장처 국립부여박물관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동남리 산16-1]지도보기
성격 절터
지정 면적 11,039㎡
소유자 개인
관리자 부여군청
문화재 지정 번호 부여군 향토문화유산 제92호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탑리에 있는 백제 시대 절터.

[개설]

부여 관음사지사비도성 내부에 있는 사찰로서 서나성의 서편에 있다. 서나성을 사이에 두고 백제 금동대향로가 출토된 부여 능산리 사지부여 능산리 고분이 있어 역사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다. 부여 관음사지는 2007년 12월 28일 부여군 향토문화유산 제92호로 지정되었다. 지정 면적은 1만 1039㎡이다.

[변천]

관음사는 사찰 이름이나 유래가 전해지지 않은 백제 시대의 사찰로 알려져 있으며, 청동불상과 치미 조각이 출토된 바 있어 ‘관음사지’라고 불러 왔다.

[위치]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에서 충청남도 논산시 방향으로 통하는 국도 제4호를 따라 가다 보면 나성에 못미쳐 가나다가스충전소가 있다. 가스충전소에서 동쪽으로 해발 70m 정도인 야산 하단부 서남록 계곡부 가남골에 조성된 계단식 농경지에 부여 관음사지가 있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2004년 3월 12일부터 2004년 4월 6일까지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에서 실시한 시굴 조사 결과, 사찰과 관련된 건물지 2동을 확인하였다. 건물지 1의 경우 와적층과 기단석 등이 노출되었으며, 동편 기단에서는 지대석이 확인되어 장방형의 석축 기단 건물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건물지 2는 건물지 1의 북편 기단에서 북쪽으로 약 20m 떨어진 지점에 있는데, 기단석 상부가 노출되었다. 건물지의 기단은 치석한 흔적이 있는 소형 할석을 3매~4매 정도 쌓아 만든 석축 기단으로 확인되었다.

[현황]

부여 관음사지는 2023년 현재 계단식 농경지로, 개간과 경작 등으로 점차 훼손되어 가고 있는 상태이다.

[의의와 평가]

부여 관음사지는 시굴 조사를 통하여 구전으로 전하던 백제 시대 관음사지에 대한 실체가 밝혀지게 되었지만, 사역 전체에 대한 정밀 조사를 실시하여 부여 관음사지의 규모와 구조, 정확한 위치 등을 확인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