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831
한자 黃愼
영어공식명칭 Hwang Sin
이칭/별칭 사숙(思叔),추포(秋浦),문민(文敏),회원부원군(檜原府院君)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근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62년연표보기 - 황신 출생
활동 시기/일시 1582년 - 황신 진사시 합격
활동 시기/일시 1588년 - 황신 알성시 문과 장원급제
활동 시기/일시 1590년 - 황신 사간원정언 역임
활동 시기/일시 1592년 - 황신 임진왜란 때 광해군 분조에서 병조좌랑 역임
활동 시기/일시 1601년 - 황신 스승 성혼을 변호하다 파직
활동 시기/일시 1607년 - 황신 복관되었으나 부여로 낙향
활동 시기/일시 1609년 - 황신 호조판서 역임
특기 사항 시기/일시 1612년 - 황신 위성공신 2등에 녹훈되고 회원부원군에 책봉
활동 시기/일시 1613년 - 황신 계축옥사에 연루되어 옹진현에 중도부처
몰년 시기/일시 1617년연표보기 - 황신 사망
추모 시기/일시 1629년 - 황신 문민(文敏) 시호를 받음
추모 시기/일시 1629년 - 황신 창강서원에 배향
거주|이주지 수락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송곡리 지도보기
거주|이주지 천정대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호암리 지도보기
거주|이주지 창두지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저석리 지도보기
유배|이배지 옹진 - 인천광역시 옹진군
묘소|단소 황신 묘소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삼충로서원북길 13-2[저석리 73-5]지도보기
사당|배향지 창강서원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삼충로서원북길 13-2[저석리 73-5]지도보기
성격 문신
성별 남성
본관 창원(昌原)
대표 관직 대사간|호조판서

[정의]

조선 후기 부여 지역으로 이주한 문신.

[가계]

황신(黃愼)[1562~1617]의 본관은 창원(昌原)이며, 자는 사숙(思叔), 호는 추포(秋浦)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공조판서 황형(黃衡)이고, 할아버지는 황원(黃瑗)이다. 아버지는 정랑 황대수(黃大受)이고, 어머니는 곽회영(郭懷英)의 딸 현풍 곽씨(玄風 郭氏)이다. 부인은 원천군(原川君) 이휘(李徽)의 딸 전주 이씨(全州 李氏)이다. 동생 황척(黃惕)의 아들 황일호(黃一皓)를 양자로 입적하였다.

[활동 사항]

황신은 1562년(명종 17)에 태어나 1582년(선조 15)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1588년 알성시 문과에 장원급제하였고, 이후 의영고주부·사헌부감찰·음죽현감·호조좌랑 등을 지내고 1590년 사간원정언에 제수되었다. 황신은 1589년 ‘정여립(鄭汝立) 옥사’가 전개될 때 정여립(鄭汝立)을 김제군수로 추천하였다는 이유로 이산해(李山海)를 탄핵하였다가 고산현감으로 좌천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황신은 이천(伊川)에 있던 광해군의 분조(分朝)에서 세자시강원사서와 병조좌랑 등을 지냈다. 1593년 광해군이 무군사(撫軍司)를 운영할 때 사서(司書)로서 수행하였고, 이후 병조정랑과 사헌부장령 등을 지냈다. 임진왜란황신은 명군 심유경(沈惟敬)의 접반사와 위유사(慰諭使), 찬획사(贊畫使)를 맡거나 한성부우윤·대사간 등의 관직을 지내면서 인재의 양성이나 공물의 안정적 운영 등에 대한 대책을 제시하였다.

1601년 정인홍(鄭仁弘) 등이 성혼(成渾)에 대하여 임금을 저버린 죄목 등으로 비난하자 황신은 스승인 성혼을 변호하다가 파직되었고, 1607년 복관되어 호군에 제수되었으나 조정에 나아가지 않고 부여로 낙향하였다. 이후 장인인 원천군 이휘에게 부여 지역의 노비를 별급받고, 이를 기반으로 삼아 부여로 이거하였다. 황신은 부여 수락·천정대·창두지 등에서 친구들과 교유하거나 학문에 매진하면서 후학을 양성하였다.

황신은 광해군이 즉위하자 진주부사(進奏副使)로 명나라에 다녀왔고, 1609년(광해군 1)에는 공조판서와 호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1612년 임진왜란 때 광해군을 시종한 공로로 위성공신(衛聖功臣) 2등에 책록되고 회원부원군(檜原府院君)에 책봉되었다. 1613년 계축옥사(癸丑獄事)에 연루되어 이정귀(李廷龜)·김상용(金尙容) 등과 함께 체포되었고, 옹진현에 중도부처(中途付處)되어 유배 생활을 하다가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황신의 저술로는 시문집인 『추포집(秋浦集)』을 비롯하여 『일본왕환일기(日本往還日記)』, 『막부삼사수창록(幕府三槎酬唱錄)』, 『대학강어(大學講語)』 등이 있다.

[묘소]

황신의 묘소는 부여군 부여읍 삼충로서원북길 13-2[저석리 73-5]에 있다.

[상훈과 추모]

1629년(인조 7) 지역 유림의 공의로 황신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부여군 부여읍창강서원(滄江書院)을 창건하여 황신을 배향하였다. 창강서원은 1871년(고종 8)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1953년 현재의 위치인 부여군 부여읍 삼충로서원북길 13-2[저석리 73-5]로 옮겨 복원되었다. 창강서원은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이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