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신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839
한자 李重信
영어공식명칭 Lee Joongshin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안승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611년연표보기 - 이중신 출생
활동 시기/일시 1637년 - 이중신 무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644년 - 이중신 옥과현감 역임
활동 시기/일시 1649년 - 이중신 덕원부사 부임
활동 시기/일시 1658년 - 이중신 전남우수사 부임
활동 시기/일시 1661년 - 이중신 황해병사 부임
활동 시기/일시 1662년 - 이중신 제주목사 부임
활동 시기/일시 1666년 - 이중신 총융사중군 역임
활동 시기/일시 1671년 - 이중신 북병사 부임
활동 시기/일시 1675년 - 이중신 경상좌병사 부임
출생지 부여 - 충청남도 부여군
성격 무신
성별 남성
본관 한산(韓山)
대표 관직 경상좌병사

[정의]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무신.

[가계]

이중신(李重信)[1611~?]의 본관은 한산(韓山)이다. 아버지는 선전관을 지낸 이조성(李朝晟)이고, 어머니는 이구한(李久漢)의 딸 전주 이씨(全州 李氏)이다. 아들은 이장협(李長莢)·이장명(李長蓂)이다.

[활동 사항]

이중신은 1611년(광해군 3) 부여에서 태어나 1637년(인조 15) 별시 무과에 급제하였다. 1644년 옥과현감으로 재직 중 암행어사 홍처대(洪處大)의 장계에 따라 소를 잡은 죄로 신문을 받았다. 1649년 4월 덕원부사로 부임하였고, 1658년(효종 9) 전남우수사에 제수되었다. 1661년(현종 2) 황해병사를 거쳐 1662년 제주목사가 되었다.

1666년 3월 총융사중군으로 있을 때 현종(顯宗)이 직접 수원 군병들의 진법을 시험했는데, 이때 진법 훈련을 잘하여 총융사 구인기(具仁墍)와 함께 사복마(司僕馬) 한 필을 상으로 받았다. 1671년 8월 10일 집의 신정(申晸)과 장령 이섬(李暹)이 평사(評事)의 폐해를 언급하며 이미 사망한 판서 서필원(徐必遠)을 욕보였다는 이유로 이중신의 파직을 요청하였으나 현종이 허락하지 않았다. 이중신은 1673년 현종이 춘당대에서 무사들의 무예를 시험했는데, 마음대로 명단에서 빠졌다는 이유로 벌을 받았다. 1674년(숙종 즉위년) 영의정 김수흥(金壽興)의 건의로 직첩을 환급받았고, 1675년(숙종 1) 경상좌병사에 제수되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