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899
한자 姜日求
영어공식명칭 Kang Ilgu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민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10년 9월 23일연표보기 - 강일구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31년 10월 - 강일구 공산주의연구협의회 결성 주도
활동 시기/일시 1933년 3월 - 강일구 공산주의자협의회 결성 주도
활동 시기/일시 1933년 4월 - 강일구 칠모회 결정 주도
활동 시기/일시 1933년 5월 - 강일구 일제 경찰에 체포
활동 시기/일시 1935년 11월 25일 - 강일구 공주지방법원에서 징역 1년 6월에 집행유예 5년 선고받음
몰년 시기/일시 1961년 3월 20일연표보기 - 강일구 사망
추모 시기/일시 2009년연표보기 - 강일구 건국포장 수훈
출생지 청포리 - 충청남도 부여군 세도면 청포리 지도보기
학교|수학지 부여공립보통학교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쌍북리 지도보기
학교|수학지 배재고등보통학교 -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
활동지 부여 - 충청남도 부여군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현충원로 251[갑동 산23-1] 독립유공자 4묘역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남성

[정의]

충청남도 부여 출신의 독립운동가.

[가계]

강일구(姜日求)[1910~1961]는 1910년 9월 23일 부여군 세도면 청포리에서 태어났다. 부여공립보통학교[현 부여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의 배재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하였으나 중퇴하였다. 만주와 일본 등지를 다니다가 1931년 8월 귀향한 뒤에는 최재봉(崔在鳳)이 경영하는 조선일보 부여지국에서 일하며 장정야학당 교사를 겸임하였다.

강일구는 사회과학 서적을 읽으며 사회주의 사상에 접근하였고, 1931년 10월 5일 부여군 구룡면에서 공산주의연구협의회 결성을 주도하고 교양부를 담당하였다. 1933년 3월 23일에는 더욱 적극적인 활동을 위하여 공산주의연구협의회를 해체하고 공산주의자협의회로 조직을 개편하였는데, 강일구는 평의원이 되어 연극·강연 등으로 농민 계몽 운동을 전개하였다. 4월 중순에는 강일(姜日)[강성구(姜星求)]·강성모(姜聖模)·강병국(姜秉國)·강병욱(姜秉郁)·강병환(姜秉煥)·강주구 등의 장정야학 교사들과 함께 칠모회(七眸會)를 결성하고 야학 운영과 사회주의 보급에 힘썼다.

강일구는 1933년 5월 장암면의 야학 담당자로 활동하던 중 일제 경찰에 체포되었다. 1935년 11월 25일 공주지방법원에서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징역 1년 6월에 집행유예 5년형을 선고받았으며, 1961년 3월 20일 사망하였다.

[묘소]

강일구의 묘소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현충원로 251[갑동 산23-1]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4묘역에 있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강일구의 공적을 기려 2009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