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1107
한자 無量寺
영어공식명칭 Muryangsa Temple
분야 종교/불교
유형 기관 단체/사찰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무량로 203[만수리 116]
시대 고대/남북국 시대/통일 신라
집필자 정선용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중수|중창 시기/일시 1400년대 - 무량사 중창
관련 사항 시기/일시 1488년 - 무량사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간행
관련 사항 시기/일시 1493년 - 무량사 『묘법연화경』 간행
관련 사항 시기/일시 1522년 - 무량사 『몽산화상육도보설』 간행
중수|중창 시기/일시 1562년~1633년 - 무량사 중창
건립 시기/일시 1624년~1636년 - 무량사 재건
관련 사항 시기/일시 1624년 - 무량사 극락전 조성
관련 사항 시기/일시 1627년 - 무량사 미륵불괘불탱화 조성
관련 사항 시기/일시 1633년 - 무량사 아미타여래삼존좌상 조성
관련 사항 시기/일시 1636년 - 무량사범종 조성
관련 사항 시기/일시 1654년 - 무량사 무량사 삼전패 제작
관련 사항 시기/일시 1745년 - 무량사극락전삼장보살탱 조성
중수|중창 시기/일시 1871년 - 무량사 중수
관련 사항 시기/일시 1872년 - 무량사 명부전 및 영산전 건립
중수|중창 시기/일시 1930년 - 무량사 중수
문화재 지정 일시 1963년 1월 21일 -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보물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1963년 1월 21일 - 부여 무량사 석등 보물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1963년 1월 21일 - 부여 무량사 극락전 보물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1973년 12월 26일 - 무량사김시습부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1976년 1월 8일 - 무량사당간지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1997년 8월 8일 - 무량사 미륵불 괘불탱 보물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02년 1월 10일 - 무량사극락전삼장보살탱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02년 1월 10일 - 무량사구지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02년 1월 10일 - 무량사동종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02년 1월 10일 - 무량사극락전후불탱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04년 4월 10일 - 부여무량사지장보살및시왕상일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04년 4월 10일 - 부여무량사명부전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06년 12월 29일 - 김시습 초상 보물 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7년 - 무량사 청한당 조성
문화재 지정 일시 2008년 6월 27일 - 부여 무량사 소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보물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10년 12월 30일 - 부여 무량사 영산전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15년 3월 4일 - 부여 무량사 삼전패 보물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0년 2월 27일 -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출토 금동불상 일괄 보물 지정
현 소재지 무량사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무량로 203[만수리 116]지도보기
성격 사찰
창건자 범일
홈페이지 https://muryangsa.net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 만수산의 남쪽 기슭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의 말사.

[개설]

무량사(無量寺)는 신라 말에 범일(梵日)[810~889]이 창건하였다고 알려져 있다. 고려 초에 제작된 오층석탑과 석등이 남아 있으며, 조선 시대 생육신 가운데 한 사람으로 알려진 김시습(金時習)[1435~1493]이 만년에 은거하다가 생을 마감한 절로 잘 알려져 있다. 임진왜란 때 모두 불탔으나 인조 때 승려 진묵[1562~1633]이 다시 세웠으며, 다수의 보물급 문화재를 소장하고 있다.

[건립 경위 및 변천]

무량사는 신라 말에 범일이 창건하였고, 무염(無染)[801~888]이 한때 머물렀다는 기록이 있다. 무염보다 50여 년 뒤에 활동한 여엄(麗嚴)[862~930]이 9세에 무량사로 출가하였다가 무염의 제자가 되었다는 「보리사 대경대사 현기탑비(菩提寺 大鏡大師 玄機塔碑)」의 기록과 무량사구지에서 발굴된 통일 신라 선문기와 계열 와적층 및 기단석렬 등의 유물로 보아, 최소한 통일 신라 말에 존재하였던 것은 분명하다. 경내의 오층석탑 및 석등과 무량사구지에서 출토된 건덕 9년[971]·중희 14년[1045]·청녕병신[1056] 등과 같은 간지명이 새겨진 기와의 존재를 보면, 고려 초에 최소한 3번 이상 중수하였음을 알 수 있다.

조선 시대에는 어느 정도의 사격을 갖추었는지 알 수 없지만, 세조의 아들인 덕원군(德源君)[1449~1498]이 중창하였다는 기록을 부산의 고불사에 소장된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1493]에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무량사김시습이 만년을 보내다 죽은 곳으로 사대부들의 많은 관심을 받기도 하였다. 그렇지만 임진왜란 때인 1596년(선조 29) 발생한 이몽학의 난에 연루된 데 이어 왜구의 분탕질까지 겪으면서 무량사는 완전히 불에 타서 소실되었다. 그런데 진묵이 1624년(인조 2)에 극락전을 시작으로 1627년 미륵불괘불탱화, 1633년 아미타여래삼존좌상, 1636년 범종 등을 차례로 조성하면서 재건하였다. 그 뒤, 1871년과 1930년 각각 현오(玄悟)와 동초(東招)가 중수하였다는 기록도 있다.

[활동 사항]

무량사에서는 임진왜란 이전에 호림박물관 소장의 보물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1488], 고불사 소장의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1493], 『몽산화상육도보설(蒙山和尙六道普說)』[1522] 등 다수의 경판을 간행하였다. 1654년(효종 5)에는 부여 무량사 삼전패를, 1745년(영조 23)에는 무량사극락전삼장보살탱 등을 조성하고, 1872년에는 원열화상이 명부전과 영산전을 새로 건립하였다. 1976년에는 아미타여래삼존좌상의 개금불사를 거행하였으며, 2007년에는 청한당을 신축하기도 하였다. 1928년에는 무량사부여박물관을 건립하려는 움직임도 있었다.

한편, 현재 무진암 입구에 조성된 무량사김시습부도는 일제 강점기에 폭풍우로 나무가 쓰러지면서 함께 넘어졌는데, 부도 안에서 발견된 사리 1점을 국립부여박물관에 별도로 보관하고 부도를 보수하였다. 그러다 2017년 9월에 국립부여박물관으로부터 사리를 반환받아 경내에 김시습부도탑을 조성하여 2020년 10월 28일 이안하였다.

무량사는 2022년 현재 매년 김시습다례제 및 학술대회, 전통산사 문화재 활용사업, 산사음악회, 자선 바자회를 개최하고 템플스테이도 운영하는 등 활발한 대외 활동을 펼치고 있다.

[현황(조직,시설 현황 포함)]

2022년 현재 무량사는 인조 때 세워진 2층의 극락전을 중심 전각으로 삼고, 명부전, 영산전, 산신각, 진영각, 천불전, 우화궁, 범종각, 천왕문, 일주문, 청한당 등 10여 동의 크고 작은 전각을 갖추고 있다. 또한 고려 초기에 세워진 오층석탑·석등·당간지주 등의 석조물이 있고, 극락전 안에 봉안된 소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삼전패·후불탱·삼장보살탱 등과 같은 장엄물도 있다. 임진왜란 당시 불탄 이래로 사실상 방치되어 왔던 무량사구지도 2000년대에 일부 발굴 조사가 이루어졌다. 2022년 현재 무량사에 소속된 승려는 주지승인 정덕 승려를 포함하여 5명, 신도는 8,000명에 이른다.

[관련 문화유산]

국내 사찰 가운데 가장 많은 보물을 보유하고 있다는 평가를 들을 정도로 무량사는 많은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다. 보물로 지정된 것만 해도 고려 초기 양식의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扶餘 無量寺 五層石塔)[1963년 1월 21일 보물 지정]과 부여 무량사 석등(扶餘 無量寺 石燈)[1963년 1월 21일 보물 지정]을 필두로 부여 무량사 극락전(扶餘 無量寺 極樂殿)[1963년 1월 21일 보물 지정], 무량사 미륵불 괘불탱(無量寺 彌勒佛 掛佛幀)[1997년 8월 8일 보물 지정], 부여 무량사 소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扶餘 無量寺 塑造阿彌陀如來三尊坐像)[2008년 6월 27일 보물 지정] 3구, 부여 무량사 삼전패(扶餘 無量寺 三殿牌)[2015년 3월 4일 보물 지정] 3점, 그리고 불교중앙박물관에 이관된 김시습 초상(金時習 肖像)[2006년 12월 29일 보물 지정]과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출토 금동불상 일괄(扶餘 無量寺 五層石塔 出土 金銅佛像 一括)[2020년 2월 27일 보물 지정] 등이 있다.

이 외에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무량사김시습부도(無量寺金時習浮屠)[1973년 12월 26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지정]·무량사당간지주(無量寺幢竿支柱)[1976년 1월 8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지정]·무량사동종(無量寺銅鐘)[2002년 1월 10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지정]·무량사극락전후불탱(無量寺極樂殿後佛幀)[2002년 1월 10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지정] 3폭·부여무량사지장보살및시왕상일괄(扶餘無量寺地藏菩薩및十王像一括)[2004년 4월 10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지정] 등 6건이 있고,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된 무량사극락전삼장보살탱(無量寺極樂殿三壯菩薩幀)[2002년 1월 10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지정] 1폭·무량사구지(無量寺舊址)[2002년 1월 10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지정]·부여무량사명부전(扶餘無量寺冥府殿)[2004년 4월 10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지정]·부여 무량사 영산전(扶餘 無量寺 靈山殿)[2010년 12월 30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지정] 등 4건이 있다.

고불사 묘법연화경은 1493년(성종 24)경 충청도 홍산(鴻山) 만수산(萬夀山) 무량사(無量寺)에서 간행한 목판을 후대에 찍어 만든 불교 경전이다. 부산광역시 기장군 고불사에 소장되어 있다. 묘법연화경은 구마라집(鳩摩羅什)이 한문으로 번역한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을 계환(戒環)이 주해를 붙여 지은 『묘법연화경요해(妙法蓮華經要解)』이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