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방백 광안 차퇴도선생연경서원운 여급추 화」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6670
한자 尹方伯 光顔 次退陶先生硏經書院韻 余及追 和
영어공식명칭 Answer Yoon-Gwangan's Poem In Reply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대구광역시 북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곽명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736년 - 「윤방백 광안 차퇴도선생연경서원운 여급추 화」 저자 최흥립 출생
저자 몰년 시기/일시 1809년 - 「윤방백 광안 차퇴도선생연경서원운 여급추 화」 저자 최흥립 사망
편찬|간행 시기/일시 1921년 - 『천옹집』 간행
배경 지역 화암 - 대구광역시 북구 연경동 지도보기
성격 한시|칠언절구
작가 최흥립

[정의]

조선 후기 대구 출신 학자인 최흥립이 윤광안의 「차퇴도선생연경서원운」에 화답하여 지은 한시.

[개설]

「윤방백 광안 차퇴도선생연경서원운 여급추 화(尹方伯光顔次退陶先生硏經書院韻余及追和)」의 저자 최흥립(崔興岦)[1736~1809]의 본관은 경주(慶州)이며, 초명은 흥교(興敎), 자는 산보(山甫), 호는 천옹(喘翁)이다. 지금의 대구광역시 동구 지묘동 출신이다. 백불암(百弗庵) 최흥원(崔興遠)[1705~1786]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저서로 『천옹집(喘翁集)』이 있다.

윤광안(尹光顔)[1757~1815]은 조선 후기 문신이다. 본관은 파평(坡平)이고, 자는 복초(復初), 호는 반호(盤湖)이다. 대사간·대사성·충청도관찰사·이조참의·부호군 등을 역임하였다. 윤광안은 1806년(순조 6) 2월에 경상도관찰사로 부임하여 1808년 1월에 이임하였다. 윤광안의 시는 현재 전하지 않는다.

연경서원(硏經書院)은 대구 지역에 최초로 지어진 서원이다. 이황(李滉)[1501~1570]·정구(鄭逑)[1543~1620]·정경세(鄭經世)[1563~1633] 3인과 함께 별도로 향현사(鄕賢祠)를 세워 전경창(全慶昌)[1532~1585]과 이숙량(李淑樑)[1519~1592]을 제향하였던 서원이다. 1871년(고종 8)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1820~1898]의 서원 철폐령에 의하여 훼철되었다. 연경서원의 터는 현재 대구광역시 동구 지묘동북구 연경동 사이에 있다.

[구성]

「윤방백 광안 차퇴도선생연경서원운 여급추 화」는 칠언절구(七言絕句) 두 수이다.

[내용]

도술원종학이성(道術元從學以成)[도술의 근원을 좇아 학문을 이루니]

도연화액게연경(徒然華額揭硏經)[공연히 편액을 연경으로 걸었겠는가?]

사군사측군몽취(使君斯惻群蒙醉)[그대들의 뭇 몽매함과 취함 측은히 여기시어]

진중유시각환성(珍重留詩郤喚惺)[진중한 시 남겨 깨우칠 여지 만들어 주셨네]

수방공부적누성(收放工夫積累成)[방심 거두는 공부 쌓이고 쌓여 이루어지니]

장수유식유궁경(藏修遊息遺窮經)[장수하고 유식하며 경전 궁구하네]

선생유운침침고(先生遺韻浸浸古)[선생께서 남긴 시 점점 오래되어 가는데]

적식군몽기일성(擿埴群蒙幾日惺)[갈팡질팡하는 뭇 몽매함 언제나 깨달을까]

[특징]

「윤방백 광안 차퇴도선생연경서원운 여급추 화」이황의 「화암서원(畵巖書院)」에 사용된 ‘청(青)’ 계열의 운목을 사용하여 지은 칠언절구이다. 마지막 운인 ‘성(醒)’을 ‘성(惺)’으로 바꾸었다.

[의의와 평가]

「윤방백 광안 차퇴도선생연경서원운 여급추 화」는 구도(求道)의 자세가 드러난 시이다. 최흥립의 학문하는 자세를 알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