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0753
영어공식명칭 Tunnel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민정

[정의]

대구광역시의 도로나 철도 및 수로를 연결하기 위하여 산, 강, 바다 밑을 뚫어 만든 통로.

[개설]

터널은 도로나 철도 또는 지하철 등 교통시설이나 수로가 원활히 소통될 수 있도록, 산이나 강, 바다에 있는 암반이나 흙을 인공적으로 관통시켜 설치하는 시설이다.

[변천]

대구광역시 내에서 가장 오래된 터널은 북구 국우동에 있는 국우터널이다. 국우터널은 1998년 7월 7일에 준공되었다. 2000년대 들어 21개소의 터널이 준공되었다.

[현황]

2019년 12월 현재, 대구광역시 내에는 특별법 1종 터널 15개소, 2종 터널 7개소로 총 22개소의 터널이 있다.

1종 터널은 연장 1,000m로 3차로 이상의 터널, 2종 터널은 제1종에 해당하지 않는 터널로서 연장 300m 이상의 지방도, 시도, 군도, 구도의 터널을 의미한다[「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의한 특별법 시행령」].

특별법 1종에 해당하는 터널은 국우터널, 공산터널, 두리봉터널, 범물터널[범물 방향, 상인 방향], 앞산터널[범물 방향, 상인 방향], 명곡터널[수목원 방향, 테크노 방향], 기세터널[수목원 방향, 테크노 방향], 김흥2터널[수목원 방향, 테크노 방향], 초곡터널[수목원 방향, 테크노 방향] 등 총 15개이다. 특별법 2종에 해당하는 터널은 팔조령터널, 무학터널[상하], 본리터널[수목원 방향, 테크노 방향], 김흥1터널[수목원 방향, 테크노 방향] 총 7개이다.

길이가 가장 긴 터널은 2013년 5월 15일 달서구 도원동에 준공된 앞산터널[범물 방향]로 길이 4,392m이며, 그다음으로 긴 터널은 수성구 파동에 위치한 앞산터널[상인 방향]로 4,282m이다. 즉, 앞산터널이 현재 대구광역시에서는 가장 긴 터널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가장 짧은 터널은 2014년 11월 30일에 준공된 김흥1터널[수목원 방향]로 길이 348m이며, 달성군 옥포면에 있다.

[참고문헌]
  • 「내부자료」(대구광역시 도로과, 2019. 12.)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