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2544
한자 金小釗
영어공식명칭 Kim Sokyo
이칭/별칭 김세형(金世馨)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인물(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재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26년연표보기 - 김소교 출생
수학 시기/일시 1940년 5월 - 김소교 대구중학교 중퇴
수학 시기/일시 1956년 10월 - 김소교 서라벌예술대학 문예창작과 중퇴
활동 시기/일시 1956년 - 김소교 대구고등법원 민사부 서기과 임명
활동 시기/일시 1957년 4월 - 김소교 대구고등법원 서기보 사직
활동 시기/일시 1960년 6월 - 김소교 사회대중당 경북도당 선전부장 선임
활동 시기/일시 1960년 12월 30일 - 김소교 사회당 경북도당 국토통일위원장 및 선전위원장 선임
활동 시기/일시 1961년 3월 21일 - 김소교 이대악법반대공동투쟁위원회 주최 2대 악법 반대대회 참가
활동 시기/일시 1961년 3월 27일 - 김소교 민주민족청년동맹 안동군동맹 주최 이대악법반대성토대회 참가하여 연설
활동 시기/일시 1961년 4월 7일 - 김소교 수성천변에서 개최된 이대악법반대궐기대회 참가
활동 시기/일시 1962년 1월 26일 - 김소교 혁명재판소에서 징역 3년에 집행유예 5년 선고
거주|이주지 대명동 -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 지도보기
학교|수학지 대구중학교 - 대구광역시 남구 대봉로 120[이천동 258]지도보기
학교|수학지 서라벌예술대학 - 대구광역시
활동지 대구 - 대구광역시
성격 사회운동가
성별 남성
대표 경력 사회당 경북도당 선전위원장

[정의]

대구에서 활동한 사회운동가.

[개설]

김소교(金小釗)[1926~?]는 사회당 경북도당의 국토통일위원장 및 선전위원장으로 활동하며 대구에서 이대악법반대운동을 전개하였다. 김세형(金世馨)이라는 이름으로도 활동하였다.

[활동 사항]

김소교는 1926년에 태어났다. 1940년 5월 대구중학교를 중퇴하였으나 광복 이후 다시 공부하여 서라벌예술대학 문예창작과에 진학하였다. 1956년 10월 서라벌예술대학을 중퇴하고 대구고등법원 민사부 서기과 서기보가 되었고, 1957년 4월 사직하였다. 1960년 6월 중순경 사회대중당 경북도당 선전부장이 되었으며, 12월 30일 사회당 경북도당 국토통일위원장 및 선전위원장에 선임되었다.

1961년 3월 21일 대구역 앞에서 사회당 경북도당을 비롯한 11개 혁신정당 및 사회단체가 이대악법반대경북정당사회단체공동투쟁위원회를 구성하여 ‘2대 악법 반대대회’를 개최할 때 김소교사회당 경북도당 간부로서 참가하였다. 3월 27일에는 안동군 안동읍[현 경상북도 안동시] 안흥동 신시장에서 민주민족청년동맹 안동군동맹 주최로 이대악법반대성토대회가 열렸는데, 김소교도 참가하여 ‘국제 정세와 장면 내각’이라는 연제로 반공법과 데모규제법의 제정을 반대한다는 내용의 연설을 하였다. 이대악법반대경북정당사회단체공동투쟁위원회가 4월 7일 대구시 수성천 변에서 2대 악법 반대 궐기대회를 개최하자 이때도 참가하여 수성천 변에서부터 삼덕로터리를 경유하여 반월당 앞까지 시위를 이어 갔다.

김소교는 5·16군사쿠데타 이후 체포되어 1962년 1월 26일 혁명재판소 심판부 제3부에서 「특수범죄처벌에 관한 특별법」 위반으로 징역 3년에 집행유예 5년을 선고받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