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200597
한자 申叔舟
이칭/별칭 희현당(希賢堂),보한재(保閑齋)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서울특별시 동작구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차인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417년연표보기 - 신숙주 출생
활동 시기/일시 1438년 - 신숙주 사마양시 급제
몰년 시기/일시 1475년연표보기 - 신숙주 사망
묘소|단소 신숙주 묘소 - 경기도 의정부시 고산로163번길 34-39
사당|배향지 보한재 신숙주 선생 사당 - 경기도 평택시 청북읍 원고잔길 20
성격 문신
성별
본관 고령
대표 관직 영의정

[정의]

서울특별시 동작구 지역에 있었던 효사정에 대한 시문을 남긴 조선 전기 문신.

[가계]

신숙주(申叔舟)[1417~1475]의 증조는 신덕린(申德麟)이며, 할아버지는 공조참의 신포시(申包翅)이고, 아버지는 공조참판 신장(申檣)이며, 어머니는 지성주사(知成州事) 정유(鄭有)의 딸이다.

[활동 사항]

1438년(세종 20) 21세 나이로 생원시, 진사시에 동시 합격한 것을 시작으로 좌의정, 우의정, 영의정 등 삼정승을 모두 역임했다. 그리고 정난공신, 좌익공신, 익대공신, 좌리공신 등 4번이나 공신록에 등재되었다. 신숙주수양대군이 강압적으로 단종의 왕위를 승계받는 계유정란에 가담했고, 단종복위운동을 진압하는데 주도적 역할을 했다. 신숙주의 이러한 정치적 태도가 후대 사림파에게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신숙주는 말년에 성종의 즉위에 공을 세워 ‘순성명량경제홍화좌리공신(純誠明亮經濟弘化佐理功臣)’의 호를 받고 재차 영의정에 올랐다. 1475년(성종 6) 사망하였다.

동작구에 신숙주와 관련한 유적으로 효사정(孝思亭)이 있다. 효사정세종 대 우의정을 지낸 노한(盧閈)이 돌아가신 어머니를 그리워하여 세운 정자로, 『신증동국여지승람』 경기 금천현(衿川縣) 누정(樓亭)조에는 효사정에서의 감응을 담은 시문들이 소개되어 있다. 여기에 세종대 집현전 학자인 정인지, 서거정, 김수온과 함께 신숙주의 시(詩)도 포함되어 있다. 현재 효사정은 과거 위치를 추정하여 동작구 흑석동 141번지 일대에 1993년 신축한 것이다.

효사정신숙주가 남긴 시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산세(山勢)가 큰 들 머리에 꿈틀거리며, 영수(靈秀)한 기운을 잉태(半胎)하여 어느 때나 아름답다. 세 봉우리는 하늘 밖에 솟아 화산(華山)이 푸르고, 한 줄기는 뜰 앞에 돌아 한수가 흐른다. 착함을 쌓아 선세(先世)부터 간단이 없었고, 효성은 대마다 전해 유명(幽明)에 통했네. 잇달은 경서가 다하지 않으리. 아름다운 기운이 밤낮으로 떴구나[山勢蛇賤大野頭 鍾英卒秀幾時休 三峯天外華山碧 一帶階前漢水流 善積自先無間斷 孝誠傳世洞明幽 繩繩慶應難盡 佳氣䓤䓤日夕浮].

[학문과 저술]

신숙주는 집현전학사로 훈민정음 창제에 공헌하였으며, 문자의 음운을 기록한 『동국정운(東國正韻)』 편찬을 주도하였다. 『세종실록(世宗實錄)』, 『예종실록(睿宗實錄)』의 편수 책임을 맡았으며, 삼국 시대로부터 고려 말까지의 역사서인 『동국통감(東國通鑑)』, 역대 임금의 치적을 담은 『국조보감(國朝寶鑑)』, 국가 의례 준칙인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등을 편찬하였다.

[묘소]

경기도 의정부시 송산동에 묘소가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