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쥐불싸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201137
영어공식명칭 Jwibul fight
이칭/별칭 쥐불놀이,서화희(鼠火戲),훈서화(燻鼠火)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놀이/놀이
지역 서울특별시 동작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서모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속놀이
노는 시기 음력 1월 15일 정월대보름과 그 전일

[정의]

서울특별시 동작구에서 음력 1월 15일 정월대보름과 그 전날에 편을 갈라 들판에 불을 지르고 그 기세를 겨루던 놀이.

[개설]

쥐불싸움의 첫 번째 목적은 그 용어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쥐를 쫓기 위한 것이다. 유사한 놀이로는 쥐불놀이가 있다. 쥐불싸움과 쥐불놀이는 모두 정월대보름날과 그 전날인 음력 1월 14일에 논과 밭에 불을 지르는데, 이는 곡식을 축내는 들판의 쥐와 농사에 해를 끼치는 벌레와 그 알, 유충 등을 없애고 짚이나 나무를 태운 재로 농토를 비옥하게 만들기 위한 것이라 한다.

[연원]

조선 시대의 쥐불싸움 혹은 쥐불놀이는 대보름[上元]날이 아닌 상자일(上子日)의 풍속으로 기록되어 있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따르면 정월 첫 번째 쥐날, 즉 상자일(上子日)의 풍습으로 호서지방 사람들이 횃불을 들고 떼를 지어 다니며 불을 지르는데 이를 쥐 태우는 불, 즉 훈서화(燻鼠火)라고 하였다고 한다. 또, 정월 첫 번째 돼지날과 쥐날에는 지위가 낮은 젊은 관리들이 궁중에서 횃불을 땅에 끌면서 각각 ‘돼지를 그슬리자, 쥐를 그슬리자’라고 외치고 다녔다고 한다.

[놀이 도구 및 장소]

작물이 자라고 있지 않은 들판에서 횃불을 이용해 불을 옮긴다. 동작구에서는 횃불을 만들어 사용하지 않고 짚을 이용해 여기저기 불을 놓았다고도 한다. 근대 이후에는 깡통에 구멍을 뚫고 줄을 단 도구를 만들어 불을 옮기거나 빙빙 돌리며 놀기도 했다.

[놀이 방법]

동작구에서 즐기는 쥐불싸움이 쥐불놀이가 아니고 ‘싸움’인 이유는 놀이 방식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쥐불싸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편을 나눠 불을 지른 뒤 불길의 크기를 겨루는 것이다. 『동작구지』의 구술자[황윤수]에 따르면 일제 강점기에는 현재의 노량진1동을 기준으로 동, 서쪽 양쪽 산에서 쥐불싸움을 하였다고 한다. 쥐불싸움은 우선 깡통에 불을 넣고 돌리는 놀이로 시작한다. 그 다음에는 소나무가지를 쌓아두고 불을 붙이는데, 이때 불길이 더 높이 솟구치는 편이 이기는 것이었다고 한다.

[현황]

쥐불놀이나 쥐불싸움을 할 때, 조선 시대에는 횃불을 사용하여 불을 옮겼으나, 근대 이후에는 깡통에 구멍을 뚫고 그 속에 삭정이, 지푸라기 등을 넣고 불을 붙여 옮기는 방법으로 변화하였다. 남녀 아이들은 불이 담긴 깡통에 줄을 달아 크게 원을 그리면서 돌리기도 했는데 최근에는 이 방식이 대표적인 쥐불놀이의 이미지로 고착화 된 경향이 있다. 최근 치러진 지방자치단체의 대보름 행사에는 깡통에 불을 담아 돌리는 쥐불놀이가 대표적인 체험 이벤트 중 하나로 진행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