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201142
한자 城主|成造
이칭/별칭 성조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서울특별시 동작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유선영

[정의]

서울특별시 동작구에서 집을 관장하는 가신(家神)으로 모시는 신.

[개설]

성주는 집안을 지키는 신 중에 으뜸신으로 가옥을 관장하는 신이다. 집안의 가장(家長)을 상징하는 신으로 가장이 사망하면 성주도 떠난다고 한다. 성주는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모셔지는 가장 대표적인 가정신이다. 주로 대들보에 신체를 봉안하거나 신체가 없더라도 대들보 자체를 성주로 인식하여 ‘성주가 없는 집이 없다’고 여길 정도로 모든 집에 존재하는 신이다. 지역에 따라 안방에 모시기도 한다. 신체의 형태는 대들보에 종이를 붙인 것, 쌀주머니를 매단 것, 대를 만들어 매단 것, 단지로 모신 것 등 다양하다.

성주는 이사를 하거나 집을 짓거나 할 때 상량식을 하거나 안택을 하면서 성주를 받아 모신다. 주로 대주(大主)인 가장(家長)의 나이가 홀수인 해에 성주를 받아 모시고 이것을 ‘상량 올린다’, ‘성주매다’, ‘성주 옷 입힌다’고 한다.

[의례현황]

동작구에서는 주로 성주의 신체를 상량 기둥에 모신다. 이분옥은 백지에 집안이 무사하게 해 달라는 글을 써서 매어 놓았다. 이것을 성주기둥이라 하고 가정신을 위한 텃제사를 지낼 때 성주기둥 밑에 제물을 차려놓고 지낸다. 김순녀 역시 성주신은 마루의 대들보에 있다고 여긴다. 집을 지으면 쌀 한 움큼을 종이에 싸서 북어와 함께 매달아 놓는 것을 신체로 삼았다. 떡과 같은 음식을 해 먹으면 꼭 갖다 놓고 위한다. 동작구에서는 10월 상달이 되면 어느 집에서나 길일(吉日)을 택해 성주에 제를 올렸다[상달고사]. 특히 성주신은 가내의 안정을 관장하므로 정성을 들여 햇곡식으로 술과 떡을 빚고 각종 과일을 장만하여 성주제를 지내며 가족의 평안을 기원했다. 성주제는 주로 주부가 간소하게 제물을 마련하여 절을 하거나 손을 비비면서 기원하는[비손] 형식으로 한다. 하지만 부잣집이나 크게 위하는 경우에는 만신을 불러 굿을 하기도 한다. 이를 성주굿, 성주받이굿, 안택굿, 고사라 한다. 박영임의 경우 10월 성주제를 앞두고 온 집안 식구가 목욕재계를 했다고 한다. 성주제에는 삶은 돼지머리, 시루떡, 막걸리를 사용하며 성주신에게 집안의 태평과 무사를 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