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촌동 유적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1514
한자 昇村洞遺蹟
영어공식명칭 Seungchon-dong Sites|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남구 승촌동 588-14
시대 선사/청동기,고려/고려,조선/조선
집필자 이정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09년 - 승촌동 유적 대한문화재연구원에서 지표조사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09년 11월 30일~2010년 12월 10일 - 승촌동 유적 대한문화재연구원에서 시·발굴 조사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10년 1월 18일~3월 20일 - 승촌동 유적 대한문화재연구원에서 1구역 발굴 조사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10년 10월 20일~12월 10일 - 승촌동 유적 대한문화재연구원에서 2구역 발굴 조사
현 소재지 승촌동 유적 - 광주광역시 남구 승촌동 588-14 일대지도보기
출토 유물 소장처 국립광주박물관 - 광주광역시 북구 하서로 110[매곡동 산83-3]지도보기
성격

[정의]

광주광역시 남구 승촌동에 있는 청동기시대·고려시대·조선시대의 유적.

[위치]

광주광역시 남구 승촌동 일대는 분적산 자락에서 갈라진 밭이 울타리를 치고 있고 그 사이로 남서쪽으로 대촌천과 북서쪽으로 극락천이 흐르고 있다. 광주광역시 남구 승촌동은 동쪽으로는 양촌동 양촌마을과 인접하고 서쪽으로는 영산강[115.5㎞]과 지석강이 합류되는 곳이며, 남쪽으로는 지석천과 전라남도 나주시 금천면, 산포면으로 나뉘며, 북쪽으로는 넓은 평야가 형성되어 있다. 유적 발굴 조사는 2개 구역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는데 1구역은 영산강 북서쪽의 인공제방 바깥쪽에, 2구역은 안쪽에 있다.

[발굴조사 경위 및 결과]

광주광역시 승촌동 유적은 4대강[영산강] 살리기 사업 구간에 속해 2009년 대한문화재연구원의 지표조사에 이어 2009년 11월 30일부터 2010년 12월 10일까지 대한문화재연구원에서 2개 구역으로 나누어 3차례의 시·발굴 조사를 진행하였다. 승촌동 유적에서는 청동기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유구(遺構)가 확인되었으며, 청동기시대의 구 1기, 고려시대의 구덩이[수혈(竪穴)] 1기, 고려시대·조선시대의 밭 경작지 4개층이 확인되었으며, 민무늬토기, 도기류, 자기류 등이 출토되었다. 특히, 1구역에서 확인된 구 1기는 강과 인접한 지리적 여건으로 인한 범람 때문에 청동기 시대 문화층이 유실된 것으로 판단되며, 과거 청동기 시대 취락이 존재했을 가능성을 추측하게 해 준다.

[현황]

광주광역시 승촌동 유적에서는 고려시대에서 조선 후기에 이르는 4면의 경작지가 층을 달리하여 확인되었고, 경작지의 토양 시료를 분석한 결과 모든 경작면에서 벼 기동 세포 규산체가 검출되었으며, 2구역의 1경작면에서는 목화종과 메밀의 화분이 검출되었다. 이를 통해 승촌동 유적에서 처음 취락이 조성된 청동기시대 이래로 고려시대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 계속해서 경작 활동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승촌동 유적은 4대강[영산강] 살리기 사업 이후 현재 유구는 남아 있지 않으며, 출토된 유물은 국립광주박물관에서 소장 및 관리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광주광역시 승촌동 유적에서 확인된 유구는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에 해당하는 밭 경작지이다. 우리나라에서 밭 유구 또는 경작 유구에 대한 조사는 1990년대 광주 신창동 유적 조사가 처음으로 실시된 이후 경상남도 진주시 남강 유역에서 주로 실시되었다. 경작 유구 중 전국의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에 해당하는 유적은 현재까지 15개이며, 광주광역시 지역에서 조사된 경작 유구에는 용봉동 유적이 있다. 승촌동 유적용봉동 유적뿐만 아니라 타 지역 경작 유구와의 비교 연구를 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자료로서 가치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