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600494
한자 水原府邑志
분야 역사/근현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경기도 화성시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이왕무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편찬 시기/일시 1899년연표보기 - 『수원부읍지』 편찬
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신림동 산56-1]
성격 전적
편자 수원부
권책 『수원부읍지』(규10743): 1책, 『수원부읍지』(규10702): 1책 , 『수원부읍지』(규17364): 1책
행자 『수원부읍지』(규10702): 10행 20자
규격 『수원부읍지』(규10743): 29.4×25.4㎝, 『수원부읍지』(규10702): 26.8×19㎝, 『수원부읍지』(규17364): 30.2×21.4㎝

[정의]

조선 후기에서 일제 강점기까지 간행된 화성 지역에 대한 지리지.

[개설]

화성 지역의 지리지로 사례적(事例的)인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주기(注記)된 내용은 정조시기, 대한제국으로 변모되던 근대 시기의 화성 지역 변화상을 나타내고 있다.

[편찬/간행 경위]

『수원부읍지』(규10743)는 정조 17년(1793)경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된다. 『수원부읍지』(규10702)는 1899년(광무 3) 전국 읍지를 작성해서 올리라는 지시에 의해 수원군수 이범선(李範善)이 주도하여 편찬한 화성 지역의 읍지(邑誌)이다. 『수원부읍지』(규17364)는 일제 강점기 때 정조 연간에 작성된 『수원부읍지』를 전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형태/서지]

『수원부읍지』(규10743)는 필사본으로, 1책(27장)이다. 채색지도가 수록되어 있으며 크기는 세로 29.4㎝, 가로 25.4㎝이다. 『수원부읍지』(규10702)는 필사본으로, 1책(58장)이다. 크기는 세로 26.8㎝, 가로 19㎝이다. 『수원부읍지』(규17364)는 필사본으로, 1책(20장)이다. 크기는 세로 30.2㎝, 가로 21.4㎝이다.

[구성/내용]

『수원부읍지』(규10743)는 건치연혁(建置沿革), 읍명(邑名), 읍치(邑治), 방리(坊里), 호구(戶口), 결총(結摠), 성곽(城郭), 산천(山川), 산성(山城), 진도(津渡), 도서(島嶼), 탄로(彈路), 교량(橋梁), 봉수(烽燧), 제언(堤堰), 둔전(屯田), 우역(郵驛), 능원(陵園), 전우(殿宇), 행궁(行宮), 단묘(壇廟), 사원(祠院), 형승(形勝), 누정(樓亭), 지당(池塘), 각창(各倉), 장시(場市), 사찰(寺刹), 성씨(姓氏), 인물(人物), 충신(忠臣), 효자(孝子), 효부(孝婦), 열녀(烈女), 고적(古蹟), 풍속(風俗), 물산(物産), 부세(賦稅), 관직(官職), 원역(員役), 군총(軍摠), 관찰부(觀察府), 우체사(郵遞司), 소학교(小學校), 지방영(地方營), 부사선생(府使先生), 관찰사선생(觀察使先生), 판관선생(判官先生), 군수선생(郡守先生)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중 호구의 원호(元戶)는 12,579호이고 호전은 호 별로 3냥이다. 결총(結摠)의 원장부(元帳付) 전답결(田畓結)은 11,821결 61부 3속이다. 단묘는 향교가 있다. 각창에는 1869년(고종 6)에 사창(社倉)을 설치한 뒤에 각창이 폐지되었고, 환곡은 각 면에서 사수(社首)가 조적(糶糴)을 전담한다고 했다. 관직에는 1895년에 폐지된 유수·판관·중군(中軍)·찰방·검율(檢律) 등과 관찰사 군수 등이다. 영선생과 읍선생안은 정조 재위 이후 관직의 변화 모습을 보여준다.

『수원부읍지』(규10702)는 1899년(광무 3)에 작성된 수원군읍지(古915.12-Su93g)와 동일본으로 내역은 폭원(幅圓), 건치연혁, 읍명, 읍치, 방리, 호구, 결총, 성곽, 산천, 산성, 진도, 도서, 탄로, 교량, 봉수, 제언, 둔전, 우역, 능원, 전우, 행궁, 단묘, 사원, 형승, 누정, 지당, 각창, 시장(場市), 사찰, 성씨, 인물, 충신, 효자, 효부, 열녀, 고적, 풍속, 물산, 부세, 관직(官職-儒任·鄕官·將官), 원역, 군총, 관찰부, 본군 우체사(本郡 郵遞司), 소학교, 지방영, 부사선생, 관찰사선생, 판관선생, 군수선생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군수선생안은 1895년 5월에 부임한 정교(鄭喬)부터 1899년 2월에 부임해서 읍지 편찬을 주관한 이범선(李範善)까지 기재되었다.

『수원부읍지』(규17364)는 폭원, 건치연혁, 관직(官職), 중군(中軍), 읍명, 진관(鎭管), 읍치, 방리, 호구, 산천, 성지(城池), 형승(形勝), 풍속, 성씨, 진도, 도서, 암동(巖洞), 교량, 목장(牧場), 우역, 봉수, 제언, 물산, 진공(進貢), 원침(園寢), 단묘, 사원, 누정, 창고(倉庫), 시전(市廛), 사찰, 전결(田結), 부세, 곡총(穀摠), 군총, 인물, 고적, 과시(科試), 읍선생(邑先生) 순이다.

[의의와 평가]

『수원부읍지』3종은 시기 별로 변화되던 화성 지역의 양상을 분석할 수 있다.

[참고문헌]
  •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s://kyu.snu.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