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백자청화정부인영광정씨 묘지및 지석함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600384
한자 白磁靑華貞夫人靈光丁氏 墓地-誌石函
영어공식명칭 The Memorial Tablet and Box of Jeongbuin Yeonggwang Jeong Clan, the White Porcelain in Underglaze Cobalt Blue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기명류
지역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토화길 70[구문천리 594]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박성남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토|발굴 시기/일시 2006년 - 백자청화정부인영광정씨 묘지및 지석함 출토
문화재 지정 일시 2011년 10월 4일연표보기 - 백자청화정부인영광정씨 묘지및 지석함 경기도 유형문화재 지정
현 소장처 송헌문화재단 -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토화길 70[구문천리 594]지도보기
출토|발견지 경기도 김포시 운양동
성격 묘지|지석함
재질 철화 백자[묘지석]|석재[지석함]
크기(높이) 19.5㎝[묘지석 가로]|27.0㎝[묘지석 세로]|2.7㎝[묘지석 두께]|20㎝[지석함 외부 가로]|45㎝[지석함 외부 세로]|60㎝[지석함 외부 높이]|7㎝[지석함 내부 가로]|20㎝[지석함 내부 세로]|30㎝[지석함 내부 높이]
소유자 송헌문화재단
관리자 송헌문화재단
문화재 지정 번호 경기도 유형문화재

[정의]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에 있는 조선 전기 인물 신면의 부인 영광 정씨의 묘지 및 지석함.

[개설]

백자청화정부인영광정씨 묘지및 지석함은 경기수군절도사를 지낸 정극근(丁克勤)의 손녀이자 신숙주(申叔舟)의 둘째 아들 신면(申㴐)의 부인인 영광 정씨[1437~1497]의 묘지와 지석함이다. 묘지(墓誌)는 묘주의 행적, 무덤 위치와 좌향(坐向)[묏자리 등을 등진 상태에서 정면을 바라본 방향] 등 묘주의 일생에 있어 중요한 순간들을 기록한 것이다. 조선 시대 묘지는 석재로 만든 경우도 있지만, 주로 도자기로 제작되었다. 조선 초기에는 분청사기나 백자로 만든 묘지가 많이 사용되었으며, 시간이 지나며 청화나 철화로 글씨를 새기는 형태가 늘어난다.

백자청화정부인영광정씨 묘지및 지석함은 2006년 경기도 김포시 운양동에서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구문천리로 무덤을 이장하는 과정에서 발견되었다. 발견 이후 송헌문화재단에서 관리하고 있다.

[형태]

백자청화정부인영광정씨 묘지및 지석함은 묘지석 4매와 지석함 1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묘지석의 형태는 직사각형의 판형(板形)이며, 글씨는 해서체이다. 재질은 산화철 안료를 사용하여 제작한 철화 백자이다. 묘지석 첫 장에 ‘유조선정부인정씨지묘(有朝鮮貞夫人丁氏之墓)’라고 적혀 있어 무덤 주인이 정씨임을 알 수 있다. 나머지 3장에는 영광 정씨의 아버지와 어머니, 할아버지 등 가족에 대한 내용, 묘주의 성품, 혼인 등 이력 사항, 자녀들에 관한 내용이 적혀 있다. 글자 배열은 가로 12자, 세로 13~16자이다. 3장의 측면에는 순서를 나타내기 위해 일장(一張)·이장(二張)·삼장(三張)이라는 글자가 각각 적혀 있다.

[특징]

백자청화정부인영광정씨 묘지및 지석함은 오랜 시간이 지났음에도 상태가 상당히 양호하여 글자 판독에 어려움이 없다.

[의의와 평가]

백자청화정부인영광정씨 묘지및 지석함은 묘지와 지석함이 세트로 확인되었다는 점, 묘주가 여성인 묘지석은 수량이 한정되어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조선 전기 사대부가 묘지명 연구에 매우 귀중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한편, 무덤 이장 과정에서 수정 구슬도 함께 출토되었다. 지위를 고려하여 품격을 갖춰 매장하였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