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500218
영어의미역 rooftile treading
이칭/별칭 지와밟기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놀이/놀이
지역 전라남도 진도군
집필자 이옥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여성놀이
유래지 전라남도 서해안|남해안 지역
노는시기 추석|정월대보름|백중
관련의례/행사 대보름

[정의]

전라남도 진도군에서 강강술래를 추는 중간에 부수적으로 하는 놀이.

[개설]

허리를 굽히고 늘어선 대열의 등을 밟고 건너는 놀이로 경상도 안동, 의성 등에서 행해지는 놋다리밟기와 유사하다. 기와밟기의 가사는 창을 교환하는 방식인데, 앞소리는 물어보는 형식이고 뒷소리는 대답하는 형식이다.

앞소리 : 어디골 기완가/ 뒷소리 : 장자 장자골 기와세

앞소리 : 기와밟세/ 뒷소리 : 기와밟세

앞소리 : 어디골 기완가/ 뒷소리 : 장자골 기와세

앞소리 : 어디골 기완가/ 뒷소리 : 전라도 지와세

앞소리 : 몇닷냥 쳤는가/ 뒷소리 : 스물닷냥 쳤네

[연원]

기와밟기 놀이는 옛날 왕과 공주가 난리를 만나 피난을 가다 하천을 건너게 되었을 때 공주의 발이 젖지 않도록 마을 소녀들이 등을 굽혀 그 위를 공주가 밟고 건너게 한 데서 비롯되었다.

[놀이장소]

마을의 넓은 마당이나 잔디밭에 모여 강강술래를 추다가 놀이를 하였다.

[놀이방법]

놀이꾼들은 허리를 굽혀 앞사람의 왼쪽 허리 부분에 오른쪽 뺨을 대고 두 팔로 앞사람의 허리를 껴안는다. 끝에서 두 번째와 세 번째 사람은 좌우로 갈라서서 맨 끝사람이 일렬로 구부린 사람들 위로 올라서는 것을 도와주고 손을 잡아주어 등을 밟고 걸어갈 때 넘어지지 않게 부축해 준다.

허리를 굽힌 사람들이 ‘어디골 기완가’를 노래하면 밟고 가는 사람은 ‘장자골 기와세’라 응수하며 조심스럽게 등 위를 밟고 나아간다. 다 밟고 건너가면 내려서 맨 앞에 허리를 구부리고 그 다음 사람이 등을 밟고 걷는다.

[민속생활적 관련사항]

강강술래는 전라남도 서·남해안 지역에서 부녀자들에 의해 전승되어 온 대표적인 민속놀이이다. 추석이나 정월대보름, 백중 같은 명절날 밤에 서로 손을 잡고 둥글게 돌며 춤을 추다가 중간 중간 기와밟기를 비롯하여 남생아 놀아라, 고사리 꺾자, 개고리타령, 청애엮기, 기와밟기, 밭갈이 가세, 손치기발치기, 문쥐새끼 등 여러가지 놀이를 한다.

[의의와 평가]

기와밟기는 다리밟기의 전통이 여성들의 놀이로 승화된 것으로 보여진다. 다리밟기는 이수광의 『지봉유설』에서도 그 사례가 발견되는데, 정월대보름에 행해지던 세시의례의 하나로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의미가 깃들어 있다. 기와밟기를 통해 이루고자 하는 바를 실현하면서 그것을 놀이로 전환한 전통사회 여성들의 예술적 창조 역량이 엿보인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