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500491
한자 巫歌
영어음역 muga
영어의미역 shamanic song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남도 진도군
집필자 이경엽

[정의]

무당이 굿을 하며 부르는 노래.

[개설]

무가는 굿이라는 종교 의례에서 연행되므로 일반 노래와 달리 주술 종교성이 있다. 또한 무당이라는 전문가에 의해 전승되어 왔기 때문에 문화적 가치와 문학성이 남다르다. 그리고 무가에는 서정·교술·서사·희곡 장르가 모두 포함되어 있어 무가를 통해 우리는 민속 문학의 기층성과 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

[채록 경위]

진도 무가는 1969년 문화재관리국에서 실시한 『한국민속종합보고서』(전남편)에 처음 수록되었다. 이후 진도씻김굿을 무형문화재로 지정하기 위한 조사보고서에 씻김굿 전체 무가가 수록되었다. 그리고 『진도무속현지조사』에 채정례 무녀의 씻김굿 무가가 악보와 함께 실려 있다. 또한 국립국악원의 『진도씻김굿』은 음향자료가 함께 있어 진도씻김굿을 입체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종류]

진도 무가와 관련된 제의에는 비손·기도·성주물림·용신굿·용왕굿·씻김굿·덕물림 등이 있다.

비손은 잔병, 소아병, 집안의 잔일을 위하여 행하는 소규모 의식이다. 기도는 신년, 회갑, 선고입비(先考立碑) 등의 계기에 행하는 큰굿이다. 성주물림은 집들이를 할 때 행하며 집단의 안녕·재복·장수를 기원하는 의식이다.

용신굿은 해신에게 뱃길의 무사함과 풍어를 기원하는 의식이다. 용왕굿은 물에 빠져 죽은 이의 혼백을 건지는 의식이다. 씻김굿은 죽은 자의 영혼이 극락에 가도록 비는 의식이다. 덕물림은 혼인식에서 신부가 신랑 집에 들어올 때 대문 밖에 상을 차려 놓고 상 앞에 앉아 징을 치면서 무가를 부르는 의식이다.

[장단]

진도 무가에 쓰이는 장단에는 살풀이·자진모리(덩덕궁이)·삼장개비·흘림·대왕놀이(엇중머리)·굿거리·진양 중모리가 있다. 토리는 노도토리가 주가 되며 가끔씩 성주풀이토리를 곁들인다.

[특징]

진도 무가에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첫째, 무가는 굿의 진행과 관련이 있다. 진도씻김굿 무가는 10여 거리 이상의 절차로 구성되어 있다. 조왕-안당-초가망석-손님굿-제석굿-조상굿-고풀이-씻김-넋올리기-희설-길닦음-중천 등의 절차가 그것이다.

둘째, 진도 무가는 음악과 긴밀한 관련성이 있다. 무가의 음악성은 호남지역 일반의 특징이기도 하지만 진도 무가에서 특히 부각된다. 진도 무가에서는 사설의 문학적 짜임새나 서사적 체계보다 음악적 표현이 강조된다. 그래서 장단의 변화가 많고 선율이 복잡하다. 서정무가가 발달한 대신, 단조로운 장단을 사용한 축원 무가나 서사무가가 많지 않은 것은 이런 사실과 관련이 있다.

셋째, 음악의 발달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이 서정무가다. 진도씻김굿에서는 초가망석, 씻김, 넋올리기, 길닦음 등에서 서정무가가 많이 나온다. 초가망석을 보면, “은황산 그늘아래 슬피우는 벅궁새야 / 너는 어이 슬피를 우느냐 / 죽은 고목이 새순이 나서 가지가지 꽃이 피니 / 마음이 슬퍼 울음을 운다.”라는 대목에서와 같이 객체적 사실과 대비되는 자아의 모습을 통해 슬픈 정감을 환기시키고 있다.

이 작품에서 시적 자아는 고목에서 새순이 돋고 꽃이 피는 순환적 질서를 보면서, 그것과 대조되는 유한한 인생을 슬퍼하고 있다. 진양 장단에 맞춰 표현되는 이러한 서정은 남다른 문학적 성취를 보여 준다.

넷째, 진도에는 서사무가의 전승이 미약하다. 전라남도의 다른 지역에 다 있는 서사무가인 바리데기나 장자풀이가 진도에는 전승되지 않는다. 죽은 자를 위한 사령굿에서 바리데기와 장자풀이가 전승되지 않는다는 점은 특이한 일이다.

진도에 전승되는 유일한 서사무가는 제석풀이다. 그런데 제석풀이마저도 자세히 듣지 않으면 서사적인 흐름이 불분명하다고 할 만큼 서사성이 약하다. 이런 점들은 음악성이 강조되어 온 전승 배경과 관련이 있다.

다섯째, 진도 무가는 음악적 구성이 화려하다. 예를 들어 제석굿을 보면 음악을 통한 연희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제석굿에 나타난 말과 창의 교체, 장단의 분화 양상은 판소리적 구성을 연상시킨다.

중 근본찾기(말)-지도문(진양)-절구경(자진모리·진·진양)-중의 등장(말)-염불(중모리)-시주받기(중모리)-명당터잡기(말)-명당경(자진모리)-지경다구기(굿거리)-집짓기(자진모리·굿거리)-입춘붙이기(굿거리)-노적청(중모리)-업청(굿거리)-당산놀이(말·무악)-군웅놀이(엇모리)의 구성은 판소리와 흡사하다. 여기에서 진도 무가가 지닌 예술적 지향성을 파악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