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박선승 관련 고문서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700482
한자 朴善承 關聯 古文書
이칭/별칭 박선승 관계 고문서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문서
지역 경상남도 밀양시 상동면 가곡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현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작성 시기/일시 1663년연표보기 - 박선승 관련 고문서 중 초문기 작성
작성 시기/일시 1670년연표보기 - 박선승 관련 고문서 중 화의문서 작성
문화재 지정 일시 1998년 11월 13일연표보기 - 박선승 관계 고문서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39호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8년 12월 20일연표보기 - 박선승 관계 고문서에서 박선승 관련 고문서로 개칭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6월 29일 - 박선승 관련 고문서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지정 번호 삭제
소장처 밀성박씨 우윤공파 가곡종중 - 경상남도 밀양시 상동면 가곡리 지도보기
성격 고문서
관련 인물 박선승
발급자 박선승
문화재 지정 번호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39호

[정의]

경상남도 밀양시 상동면 가곡리밀성박씨 우윤공파 가곡종중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 후기 박선승의 분재기.

[개설]

박선승 관련 고문서(朴善承關聯古文書)밀성박씨(密城朴氏) 우윤공파(右尹公派) 가곡종중(佳谷宗中)의 원모정(遠慕亭)에서 보관하고 있다. 1998년 11월 13일에 박선승 관계 고문서라는 명칭으로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39호에 지정되었다가, 2018년 12월 20일 박선승 관련 고문서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그 후 2021년 6월 2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제작 발급 경위]

박선승 관련 고문서는 가선대부(嘉善大副) 한성부우윤(漢城府右尹)을 지낸 박선승(朴善承)[1584~1668]이 1663년(현종 4)에 슬하의 처첩(妻妾) 자녀 22명에게 재산을 분재(分財)한 서류인 초문기(草文記)와 1670년(현종 11)에 슬하의 자녀들이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재산을 상호 협의한 문서인 화의증서, 그리고 토지와 관련하여 발생한 분쟁을 해소하기 위하여 올린 일종의 청원서(請願書)이다.

[형태]

박선승 관련 고문서는 7종류의 14점의 종이로 된 형태이다. 문서의 크기는 다음과 같다. 초문기는 한지 410×33㎝, 초문기(草文記) 원안(原安)은 한지 540×40㎝이고, 화의증서(和議證書)는 한지 330×31㎝, 화의문기(和議文記)는 한지 405×46㎝이다. 원정(原情)은 한지 160×32㎝, 호구단자(戶口單子)는 한지 83×110㎝이며, 교지(敎旨)는 한지 75×55㎝, 76×54㎝, 53×54㎝, 73×57㎝, 73×58㎝, 72×57㎝, 71×53㎝, 72×57㎝이다.

[구성/내용]

박선승 관련 고문서의 구성은 초문기, 화의증서, 원정, 호구 단자, 교지 등이다.

초문기는 1663년에 작성된 자녀 22명에 대한 재산 분재 문서이다. 초문기 도입부에 아버지가 정실의 자녀와 첩의 자녀에게 재산을 나누어 주는 내용을 문서로 작성하여 법식을 갖추어 적어서 관청에 보관한다는 내용과 함께 아버지 한성부우윤 박선승과 증인으로 외손 유학 김하석의 이름이 보인다. 또한 초문기를 남긴 것은 재산 분쟁을 대비하기 위한 것이라는 점을 밝히고 있다. 특이한 것은 본종의 며느리에게도 토지를 나누어 주고, 제사를 위한 재산을 제위조(祭位條)와 외종제위조(外宗祭位條)로 구분하고 있다.

화의증서의 화회문기는 1670년에 박선승이 작성한 재산 분재 기록을 자식들이 상호 협의하여 다시 작성한 것이다. 내용 중 일부는 초문기에 첩의 자식 중에 물려받은 몫의 태반이 균등하지 못하여 이를 다시 조정한다는 내용이 있다.

원정은 토지 관련 분쟁 해소 청원서이다. 적서 간의 토지 상속과 관련한 송사를 초문기의 원문과 회회문기에 따라 처리할 것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그 외에 호구 단자와 교지가 있다.

[의의와 평가]

박선승 관련 고문서는 1600년대 중반 언어 연구 및 사회상 재조명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되고, 특히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경상남도 밀양에서 세거하는 박선승 가문의 재산 현황과 조선시대 사회·경제사를 연구하는 데 참고가 되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 밀양문화원(http://miryang.kccf.or.kr)
  • 밀양시청(https://www.miryang.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