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700459
한자 密陽 魚變堂 古文書
영어공식명칭 Miryang Eobyeondang Gomunseo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문서
지역 경상남도 밀양시 무안면 연상1길 31[연상리 394]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양흥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작성 시기/일시 1886년 7월연표보기~1887년 12월연표보기 - 밀양 어변당 고문서 작성 시작
문화재 지정 일시 1979년 5월 2일연표보기 - 어변당 소장 고문서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08호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8년 12월연표보기 - 어변당 소장 고문서에서 밀양 어변당 고문서로 개칭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6월 29일 - 밀양 어변당 고문서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지정 번호 삭제
소장처 어변당 - 경상남도 밀양시 무안면 연상1길 31[연상리 394]지도보기
성격 공문서
관련 인물 박곤|박기우
용도 인수인계
발급자 박기우
문화재 지정 번호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08호

[정의]

경상남도 밀양시 무안면 연상리에 있는 어변당에 소장되어 있는 개항기 고문서들.

[개설]

어변당(魚變堂)은 조선 전기 장수였던 어변당 박곤(朴坤)[1370~1454]이 태어난 곳이자 학문과 무예를 닦았던 곳이다. 박기우(朴起羽)[1855~1900]는 박곤의 14대손인데, 박기우와 관련된 「부산포진해유문서(釜山浦鎭解由文書)」, 『민장초개책(民狀抄槩冊)』, 「안동 진영 상중기(安東鎭營上重記)」가 1979년 5월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08호로 지정되었다. 그 후 2021년 6월 2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현재 경상남도 밀양시 무안면 연상리 394어변당에 소장되어 있다.

「부산포진해유문서」는 부산포진(釜山浦鎭)의 첨절제사(僉節制使)로 있다가 전임할 때 작성한 인수인계 문서이다. 문서의 내용은 당시 부산포진의 시설, 병선·병기의 종류와 수량, 군대의 편성 등이 기록되어 있다. 특히 「부산포진해유문서」는 1876년(고종 13)에 체결된 병자수호조약에 따라 일본 측 요구로 개항되어 열강들의 출입구가 된 부산항의 상황, 규모와 운영 등을 생생하게 기록한 문서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형태]

「부산포진해유문서」는 두장의 문서가 붙어져 있는 형태로, 한 장의 크기는 53.5㎝×292㎝(①), 또 한 장의 크기는 101㎝×56.6㎝(②)로 앞면과 뒷면에 모두 내용이 있다. 『민장초개책』은 모두 네 책의 필사본이며, 1책은 26.4㎝×16.2㎝로 38장, 2책은 26.4㎝×16.5㎝로 38장, 3책은 26.8㎝×16.8㎝로 39장, 4책은 30.5㎝×19.5㎝로 39장이다. ‘안동진영상중기’는 표제(表題)이며, 권수제(卷首題)는 ‘광서십삼년구월일 안동진영상중기(光緖十三年九月日 安東鎭營上重記)’라고 되어 있다. 크기는 33.5㎝×26.5㎝로 29장이다.

[구성/내용]

해유문서는 관리가 교체될 때 후임자에게 해당 관청의 업무와 소관 물품을 인수인계하고, 그 책임을 벗어나기 위해 작성하는 문서이다. 이 해유문서(①)는 1887년(고종 24) 12월 15일 후임 부산진첨사와 동래부사가 같이 부산진이 속해 있는 경상좌수영의 좌수사에게 올린 첩정(牒呈)으로 전임 박기우에게서 받은 인수인계 상황을 보고하는 내용이다. 군영 장수에게 발급되는 병부(兵符)과 관인을 비롯하여 부산진영의 건물, 수군 전선(戰船)과 선박 물품, 각종 무기와 깃발 등의 명단이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박기우는 1887년 윤4월 7일 부산진첨사로 임명되어, 부산진에 부임한 것은 10월 8일이므로 부산진첨사로 재직한 것은 실제로 3개월이라는 내용도 있다. 또 하나의 문서(②)는 후임 부산진첨사에게서 첩정을 받은 경상좌수사가 부산진첨사 박기우의 해유를 위해 12월 16일 호조(戶曹)에 보낸 첩정이다. 이 문서의 뒷면에는 12월 호조에서 이조(吏曹)로 해유 사실을 알리는 관문이 쓰여져 있다.

『민장초개책』은 박기우가 안동진 영장(營將)에 재직하면서 민원을 접수하고 이를 처결한 재판일지이다. 민원의 내용은 관리의 횡포와 양반의 불의(不義), 재산 분쟁과 관련한 것이 많다. 1책은 병술(丙戌)[1886년] 7월 22일부터 11월 초6일까지, 2책은 11월 초8일부터 정해(丁亥)[1887년] 2월 초3일까지, 3책은 2월 초4일부터 4월 18일까지, 4책은 4월 19일부터 9월 13일 처결한 내용이 들어 있고 그리고 안동부사를 마치고 돌아갈 때 지역 인사들과 지은 전별시집 등이 들어있다.

「안동진영상중기」는 1887년 9월에 작성된 것이다. 중기는 관리가 교체될 때 작성하는 인수인계 서류이자 회계장부이다. 관청의 건물, 물품, 곡식, 도서 등을 기록하여 전체 재정 상황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안동진영상중기」에는 안동진(安東鎭)의 관할 지역인 안동, 순흥, 비안, 영천, 의성, 예천, 풍기, 진보, 영양, 예안, 용궁, 영덕, 영해, 봉화, 청송 등 15개 군현에 비치되어 있는 무기와 깃발, 군수물자 내역과 수량 등의 기록이 들어있다.

[의의와 평가]

밀양 출신의 무관 박기우 관련 고문서는 조선 후기 무관의 교체와 인수인계 상황, 재직 당시의 활동 양상, 조선의 육군과 수군 진영의 관리 실태를 상세히 알 수 있는 귀중한 사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