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큰소쩍새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900326
영어공식명칭 Collard Scops Owl
분야 지리/동식물
유형 동물/동물
지역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부평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건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천연기념물 지정 일시 1982년 11월 4일연표보기 - 큰소쩍새 천연기념물 제324-7호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큰소쩍새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천연기념물 지정 번호 삭제
지역 출현 장소 광릉숲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부평리 지도보기
성격 텃새|겨울철새
학명 Otus bakkamoena
생물학적 분류 동물계〉척삭동물문〉조강〉올빼미목〉올빼밋과
서식지 광릉숲
몸길이 수컷 21.5~23.5㎝|암컷 23.5~25.5㎝
새끼(알) 낳는 시기 5~6월
천연기념물 지정 번호 천연기념물

[정의]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부평리에 있는 광릉숲에 서식하는 올빼빗과의 텃새이자 겨울철새.

[개설]

올빼밋과의 맹금류인 큰소쩍새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네팔, 중국 동북부, 대만, 동남아시아 등에서 번식한다. 우리나라에서는 흔하지 않은 겨울철새이자 텃새이며, 1982년 11월 4일 천연기념물 제324-7호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천연기념물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경기도 남양주시에서는 진접읍 부평리에 있는 광릉숲 일대에 큰소쩍새가 서식하고 있는 모습이 발견되고 있다.

[형태]

수컷은 21.5~23.5㎝고, 암컷은 23.5~25.5㎝로 수컷이 암컷보다 약간 크다. 전체적으로 회갈색이고, 복잡한 검은색과 회색 무늬가 있다. 몸 아랫부분은 진한 검은색의 세로 줄무늬를 띄며 폭 넓은 가로 줄무늬가 듬성듬성 있다. 홍채는 대부분 오렌지색이지만, 간혹 노란색 빛을 띠는 개체도 있다. 깃털이 발가락까지 덮고 있으며, 귀깃이 크게 자란다.

[생태 및 사육법]

낮에는 수목이 무성한 숲속의 나무 구멍이나 나뭇가지에서 휴식을 취하다가 어두워지면 활동한다. 주로 나무 구멍이나 건물의 처마 밑에 둥지를 튼다. 먹이는 쥐를 비롯하여 작은 짐승, 양서류, 곤충류 등을 먹는다. 번식기인 5~6월에는 한 번에 3~5개의 흰색 알을 낳으며 28일 동안 품는다. 알을 품는 동안 암컷은 둥지를 지키고, 수컷이 사냥해 먹이를 암컷에게 전해 준다. 사람이 접근해도 잘 날아가지 않는 대신에, 부리로 딱닥 소리를 내며 위협한다.

[현황]

남양주시의 광릉숲에는 2022년 현재 큰소쩍새를 포함한 총 18종의 조류 천연기념물이 서식하고 있다. 큰소쩍새는 먹이의 감소, 서식지의 파괴, 인간들의 남획 등으로 말미암아 생존을 위협받고 있어 각별한 관심과 보호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