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900384
한자 古離國
영어공식명칭 Goliguk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기도 남양주시
시대 고대/초기 국가 시대
집필자 이종록

[정의]

경기도 남양주시 지역에 있던 것으로 추정되는 초기 국가 시대의 나라의 이름.

[개설]

고리국(古離國)은 초기 국가 시대 마한 54개국의 하나로 지금의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진건읍 일대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삼국지(三國志)』 「동이전(東夷傳)」 한(韓) 조에서는 마한이 50여 개의 국(國)으로 이루어졌다고 전하는데, 고리국은 마한의 여러 나라 중 하나였다. 이들 국은 대국이 약 1만여 호, 소국은 수천 호의 규모에 해당하였으며, 각기 일정한 독자성을 지닌 대국과 소국이 병존하고 있었다. 이 나라들 중 오늘날의 금강 유역에 있었던 목지국(目支國)이 마한의 대표적인 세력이었으나, 이후 백제에 의해 점차 복속되어 주도권을 넘겨주게 되며, 어느 시기 고리국 또한 백제의 일원이 된 것으로 여겨진다.

한편 「광개토왕릉왕(廣開土王陵碑)」에서는 396년 고구려의 광개토왕이 백제를 침공하여 여러 성을 점령하고 백제 국왕의 항복을 받아내는데, 이때 점령한 성들 중에서 고리성(古利城)이 있었다. 그 음운의 유사성을 보아 이 고리성은 마한의 고리국으로 이후 백제의 영역이 된 지역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삼국사기(三國史記)』 지리지에서는 과거 고구려의 영역으로 골의노현(骨衣奴縣)이 나타나는데, 고리(古離)-고리(古利)-골의(骨衣)가 모두 유사하기 때문에, 골의노현을 광개토왕 대에 백제로부터 탈취한 고리성이자 마한의 고리국으로 보기도 한다. 골의노현은 이후 신라의 삼국 통일 이후에는 한산주(漢山州), 이후 한주(漢州)의 한양군(漢陽郡) 속하게 되었으며, 그 명칭도 황양현(荒壤縣)으로 변경되었다.

한편 ‘고리국’이라는 명칭은 지리지 상에서 등장하는 또 다른 지명인 골내근현(骨乃斤縣)과도 유사하여, 골내근현이 있었던 경기도 여주시로 비정(比定)하는 시각도 있다.

[관련 기록]

“감해국(感奚國)·감해비리국(監奚卑離國)·건마국(乾馬國)·고랍국(古臘國)·고리국(古離國)·고비리국(古卑離國)·고원국(古爰國)·고탄자국(古誕者國)·고포국(古蒲國)·구로국(狗盧國)·구사오단국(臼斯烏旦國)·구소국(狗素國)·구해국(狗奚國)·내비리국(內卑離國)·노람국(怒藍國)·대석삭국(大石索國)·막로국(莫盧國)·만로국(萬盧國)·모로비리국(牟盧卑離國)·모수국(牟水國)·목지국(目支國)·백제국(伯濟國)·벽비리국(辟卑離國)·불미국(不彌國)·불사분사국(不斯濆邪國)·불운국(不雲國)·비리국(卑離國)·비미국(卑彌國)·사로국(駟盧國)·상외국(桑外國)·소석삭국(小石索國)·소위건국(素謂乾國)·속로불사국(速盧不斯國)·신분활국(臣濆活國)·신소도국(臣蘇塗國)·신운신국(臣雲新國)·신흔국(臣釁國)·아림국(兒林國)·여래비리국(如來卑離國)·염로국(冉路國)·우휴모탁국(優休牟涿國)·원양국(爰襄國)·원지국(爰池國)·일난국(一難國)·일리국(一離國)·일화국(日華國)·임소반국(臨素半國)·자리모로국(咨離牟盧國)·지반국(支半國)·지침국(支侵國)·첩로국(捷盧國)·초리국(楚離國)·초산도비리국(楚山塗卑離國)·치리국국(致利鞠國)”

[『삼국지(三國志)』 권(卷)30 왜서(魏書)30 동이전(東夷傳) 한(韓)]

“한양군(漢陽郡) …… 황양현(荒壤縣). 본래 고구려의 골의노현으로 경덕왕 대에 이름을 [황양현으로] 바꾸었다. 지금의 풍양현이다[本髙句麗骨衣奴縣 景徳王改名 今豊壤縣].”

[『삼국사기(三國史記)』 권(卷)35 잡지(雜志)4 지리(地理)2 신라(新羅) 한양군(漢陽郡)]

“[영락] 6년 병신(丙申)에 왕이 몸소 군사을 이끌고 [백]잔국([百]殘國)을 토벌하였다. [우리] 군사가 ……하여 영팔성(寧八城)·구모로성(臼模盧城)·각모로성(各模盧城)·간호리성(幹弖利城)·□□성(□□城)·관미성(關彌城)·모로성(牟盧城)·미사성(彌沙城)·□사조성(▨舍蔦城)·아단성(阿旦城)·고리성(古利城)·□리성(□利城)·잡진성(雜珍城)·오리성(奧利城)·구모성(句牟城)·고수야라성(古須耶羅城)·막□□□□성(莫□□□□城)·□이야라성(□而耶羅城)·전성(瑑城)·어리성(於利城)·농매성(農賣城)·두노성(豆奴城)·비□□리성(沸□□利城)·미추성(彌鄒城)·야리성(也利城)·태산한성(太山韓城)·소가성(掃加城)·돈발성(敦拔城)·□□성(□□城)·□루매성(□婁賣城)·산나성(散那城)·나단성(那旦城)·세성(細城)·모루성(牟婁城)·우루성(亐婁城)·소회성(蘇灰城)·연루성(燕婁城)·석지리성(析支利城)·암문□성(巖門□城)·미성(味城)·□□□□□□□리성(□□□□□□□利城)·취추성(就鄒城)·□발성(□拔城)·고모루성(古牟婁城)·윤노성(閏奴城)·관노성(貫奴城)·삼양성(彡穰城)·□□성(□□城)·유□노성(儒□盧城)·구천성(仇天城)·□□□성(□□□城)을 공취(攻取)하고, 그 국성(國城)을 …… 하였다.”

[「광개토왕릉비(廣開土王陵碑)」영락(永樂) 6년 병신(丙申)]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