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900450
한자 水石里土城
이칭/별칭 수석동 보루,수석동토성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터
지역 경기도 남양주시 수석동 산2-2
시대 고대/남북국 시대/통일 신라,고려/고려 전기
집필자 윤성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86년 9월 7일연표보기 - 수석리토성 경기도 기념물 제94호 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9년 - 수석리토성 토지주택박물관에서 지표 조사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3년 - 수석리토성 육군박물관에서 지표 조사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8년 - 수석리토성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발굴 조사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수석리토성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경기도 기념물 지정 번호 삭제
소재지 수석리토성 - 경기도 남양주시 수석동 산2-2 지도보기
성격 토성
지정 면적 991㎡

[정의]

경기도 남양주시 수석동에 있는 통일 신라의 토성.

[개설]

수석리토성(水石里土城)경기도 남양주시 수석동에 있다. 수석동은 삼국 시대 이후 한강 유역을 둘러싸고 치열한 충돌이 벌어진 곳이다. 수석리토성의 북쪽에는 안산보루, 동쪽에는 역촌토성이 있다. 한강과 나루는 군사적·경제적으로 중요한 의미가 있었기 때문에 여러 시기에 걸쳐서 수석동 일대에 관방 시설이 설치 운영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위치]

수석리토성경기도 남양주시 수석동 산2-2번지의 해발 81.6m의 구릉 정상부에 있다. 수석리토성이 있는 구릉은 양주 조씨의 문중 소유로 수석리토성의 경사면에 묘역이 조성되어 있다. 구릉은 한강의 북쪽에 접하여 있으며, 서쪽은 왕숙천한강에 합류한다. 수석리토성은 낮은 구릉에 있지만 일대의 수계를 한눈에 감시할 수 있는 요충지였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수석리토성은 일제 강점기 토지 조사 사업 과정에서 토축의 성지가 존재한다는 것이 보고되었다. 둘레가 약 70간이고 외측 사면의 높이는 약 1간 반에 정상부는 사각형이라고 기록되었다. 1977년 간행된 『문화유적총람』에서는 둘레 126m, 높이 4m에 면적은 300평[약 991㎡]인 봉화대로 추정하였다. 1986년 한양대학교 박물관의 보고서에서는 전체 둘레 140.5m의 반월형의 백제와 관련된 토성이고, 정상부의 고대지는 봉화와 관련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1999년 토지주택박물관의 광역 지표 조사와 2003년 육군박물관의 남양주시 군사 유적 조사 과정에서 지표 조사가 진행되었으나 고대지의 흔적은 확인하지 못하였다. 이후 2008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발굴 조사를 진행하였다. 지명의 변천에 따라서 수석동토성으로도 불리는데, 2008년 조사에서는 수석동 보루로 부르기도 하였다.

[현황]

수석리토성은 장방형으로 하단부를 기준으로 둘레 197.7m, 남북으로 폭이 37.5m, 동서로 폭이 49.3m이다. 수석리토성은 과거 백제 토성 혹은 봉수와 관련된 시설로 추정되어 국립중앙박물관에서는 성벽 구간과 내부를 연결하는 3곳에 트렌치를 설치하여 수석리토성의 성격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성벽 부분은 경사면을 계단상으로 단을 주면서 가장 외곽에는 석열과 소토층을 조성하여 기저부를 다졌다. 이후 영정주를 설치하여 물성이 다른 점질토, 사질토, 소토 등을 교호성토하여 토성벽을 축성한 것이 확인되었다.

정상부에서는 건물터 등의 유구가 확인되지 않았고 토성벽에서 문터의 흔적도 확인할 수 없었다. 정상부의 경우 민묘가 조성되면서 교란되었을 가능성을 생각할 수 있지만, 성벽부에 출입 시설이 없다는 점에서 국립중앙박물관은 소규모 보루의 성격을 가진다고 평가하였다. 발굴 조사 과정에서 백제 유물은 확인되지 않았고, 통일 신라 시대 토기편과 고려 시대 토기와 기와편 등이 출토되어 삼국 시대 이후의 토성으로 추정된다.

[의의와 평가]

통일 신라 시대 이후에도 한강 유역에서는 후삼국의 쟁패기 등의 군사적인 충돌이 있었고, 고려 시대 이후에도 수계의 통제, 나루와 조창의 관리는 필수적인 국가의 중대사였다. 이러한 점에서 수석리토성은 지속적으로 운영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서해안 해안 지역과 안성천 일대에서 통일 신라 시대 이후의 소규모 토성이 다수 확인되는데, 한강 수계에서도 유사한 기능을 가진 토성이 학술적으로 확인된 것은 중요한 역사적인 의미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