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901242
한자 現代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기도 남양주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금보운

[정의]

1945년 해방 이후 경기도 남양주시에서 전개된 현대사의 주요 사건과 역사적 사실.

[해방 직후 미군정 하 남양주]

1945년 8월 15일 한반도의 해방은 일본이 연합군에 무조건 항복하면서 시작되었다. 30여 년 간의 식민 지배는 일본 제국주의 경제 블록에서 일본 자본주의를 팽창하려는 목적으로 실시되었고, 이를 기반으로 한 경제 성장은 한반도 주민 집단의 복리 증진과는 거리가 멀었다. 실제로 일제 치하에서 경제적·양적 팽창은 이루어졌지만, 조선 민중의 생활은 더욱 어려워졌다. 일제 식민 경험은 일본의 패망으로 해방이 된 이후 분단으로 이어지는 데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패전국에 대한 점령 정책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자유 진영과 공산 진영의 대립에 따라 분할 점령으로 귀결되었기 때문이다.

현재의 경기도 남양주시 지역을 포괄하는 경기도 양주군에는 1940년대 일제 패망을 예상하며 해방 이후를 준비하기 위한 조선건국동맹 산하 농민 조직이 결성되기도 했다. 경기도 양주군의 건국운동과 농민운동은 여운형의 활동과 관련되어 있어 중요하다. 1944년 10월 8일 건국동맹의 계층 조직인 농민동맹이 용문산에서 비밀리에 조직되었고, 여운형을 필두로 하여 주로 경기 동북 지역의 인물들이 참여하였기 때문이다. 경기도 양주군 지역에 근거를 둔 인물은 이전부터 여운형과 개인적으로 깊은 관계가 있었다. 이러한 대중운동 및 건국운동의 활성화와 함께 해방 전후 이 지역의 건국준비운동 역량이 고취되었다. 이후 인민위원회가 조직되었는데, 경기도 양주군의 기록을 보면 1945년 12월 12일 군청 회의실에서 군내 16개 면대표와 위원 100여 명이 참석하여 경기도 양주군 인민위원회 임시총회를 개최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들은 동조합을 면 단위로 설치하고, 한글보급강습회를 각 면에 결성하기로 했다. 하지만 인민위원회의 활동은 미군의 점령이 본격화되면서 무력화되었다.

현 경기도 남양주시가 포함된 경기도 양주군 역시 미군정의 관할 하에 포함되었다. 현 경기도 남양주시 지역을 포함한 경기도 양주군에 주둔한 미군 부대는 제68군정중대였다. 경기도에 설립된 지방 미군정은 다른 많은 미군들이 그러하였듯이 주민들과의 의사소통 문제로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미군정은 주둔 이후 행정 사업을 전개하기 시작하였는데, 그중 가장 큰 사업은 농지개혁이었다.

한국의 자본주의는 농지개혁을 실시하여 자작농을 창출하고, 귀속재산을 불하하여 개인 자본가를 육성하는 두 축에서 발전의 기틀을 마련하였다고 평가된다. 그만큼 ‘농지개혁 사업‘의 중요성과 파급력을 가늠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현재 경기도 남양주시 지역은 한국의 농업 문제를 전형적으로 보여 주는 지역이었다. 농지개혁 당시 경기도 남양주시 지역이 속해 있던 경기도 양주군은 지주소작제가 광범하게 발전하였다. 다만 해방 이후부터 1946년 말 사이 광범위하게 이루어진 농지 방매를 고려했을 때 실제 농지개혁의 대상은 매우 축소되었다고 볼 수 있다. 실제로 경기도 양주군의 농지 분배에서는 귀속 농지가 매수 농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다는 점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에서의 농지개혁은 땅을 반환받고 분배하는 과정에서 지주가 몰락하는 계기가 되기도 헀다. 지가 대신 받았던 지가증권이 제대로 상환되지 않거나,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지가증권의 가치가 하락했기 때문이다. 농지개혁 당시 경기도 양주군의 토지를 소유한 지주들은 대지주들로서 총 40인이었다. 이들 중 36명은 서울에 거주하는 부재지주들이었다. 상환 대상자 중에서는 토지를 분배받음과 동시에 토지를 분배해야 하는 대상자가 되기도 했는데, 토지와 주거지의 거리 문제로 가까운 토지를 소작하고 먼 거리의 자기 토지를 소작하게 한 경우 등으로 추측된다. 이는 농지개혁 당시 피분배당한 지주들 중에는 지주계급이라기보다는 사실상 농민계급에 가까운 이들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남한 단독정부 수립과 전쟁 시기 남양주]

미군정은 점령 기간 농지개혁을 실행하였고, 한국정부 수립을 끝으로 3년 간의 점령을 마쳤다. 남북 공동 정부 수립을 위한 미소공동위원회 결렬 이후 미국에 의해 수립된 유엔 감시 하 총선거 계획은 북한 및 소련의 거부로 무산되었고, 결국 남한 단독 정부 수립으로 귀결되었다. 이 과정에서 선거를 둘러싼 국내의 반발은 숙군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한국정부는 식민지 시기 임시정부 수립 경험을 기반으로 형성했던 「헌법」을 제정하며 본격적으로 정부 운영을 시작하였다. 하지만 이는 오래가지 않았는데, 미소 합의 하에 설정된 38선 인근에서의 군사적 대립이 전쟁으로 확대된 것이다.

전쟁은 1950년 6월 25일 북한 인민군의 남침으로 시작되었다. 인민군은 3일만에 경기도 동두천시[경기도 양주군 이담면]-경기도 의정부시[경기도 양주군 의정부읍]-서울시 강북구 미아동[서울시 성북구 미아동]으로 이어지는 방어선을 뚫고 서울에 진입하였다. 곧 바로 미군이 투입되었지만 개전 3개월여 만에 부산을 중심으로 한 경상남도 지역을 제외하고 인민군에 점령당하였다.

반격은 1950년 9월 유엔군의 인천상륙작전 성공으로 시작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한국 해병대의 ‘남양주 전투’는 서울 회복 이후 북한 지역으로 진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이후 1950년 10월 중국군의 개입과 1951년 1·4후퇴 시기에도 전선을 수호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 전투가 전개되었다. 미 25사단과 중국 인민지원군의 전투가 벌어졌던 한강 인근에는 전투를 성공적으로 이끌었던 미 25사단을 기념하기 위한 기념비가 세워졌다. 이처럼 서울과 인접하며 전선과도 가까운 지역에 위치한 관계로 전개되었던 경기도 남양주시 일대에서의 전투는 진격과 방어 과정에서 중요했는데, 동시에 지뢰 지대를 비롯하여 전투로 인한 피해 등 주민들의 희생이 따르기도 했다. 특히 지금의 경기도 남양주시 일대는 개전 직후 이른 시기에 인민군에 점령되었던 관계로 다른 지역에 비해 오랜 시간 인민군의 점령 하에 있었고, 인민위원회의 활동을 경험하였던 상황으로 인해 서울 수복과 1·4후퇴 시기 북한 인민군과 한국경찰대에 의한 민간인 학살이 전개되기도 했다.

[민주화 운동과 남양주]

1953년 정전협정 이후 분단과 안보 위기를 매개로 한 독재와 권위주의 정부가 집권하였지만, 이에 대응하여 1960년 4·19혁명 등 민주화에 대한 사회 구성원의 요구 역시 가시화되었다. 특히 일제 식민지의 유산으로 시작된 경제 구조는 저임금을 기반으로 한 열악한 노동 환경을 기반으로 오랜 시간 유지되어 왔기에 민주화 운동과 함께 적극적으로 개선 요구가 제기되었다. 사회적, 경제적 민주화 운동은 정부에 의해 내란과 간첩 행위로 간주되었고, 이는 사형 판결로 이어지기도 했다. 이처럼 민주화 운동 과정에서 사망한 인물들은 ‘민족 민주 열사’로 지칭되었는데, 이 가운데 많은 이들은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월산리에 있는 모란공원에 안장되었다.

모란공원은 1966년 건설된 한국 최초의 사설 공원묘지이다. 1969년 진보 경제학자였던 권재혁이 ‘해방전략당’ 조작 사건으로 사형당한 이후 모란공원에 안장되었다. 이후 1970년 노동자의 권리 보장을 주장하며 분신한 전태일 열사, 1971년 노동운동 중 살해된 김진수 열사, 1973년 간첩단 수사 관련 참고인 조사로 소환되었다가 의문사를 당한 최종길 열사 등 민주화 운동, 통일 운동, 사회 운동, 노동 운동, 학생 운동 중 희생된 150여 명의 열사들이 안장되었다.

이처럼 경기도 남양주시는 해방 이후 한국의 근대화와 사회 발전의 주요 사건을 경험하고 그 흔적을 담고 있는 지역으로서 한국 현대사에서 중요한 공간적 의미를 갖는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