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901376
한자 俞漢雋
이칭/별칭 한경(漢炅),만청(曼倩),여성(汝成),저암(著菴),창애(蒼厓)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경기도 남양주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변명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732년연표보기 - 유한준 출생
활동 시기/일시 1768년 - 유한준 진사시 합격
활동 시기/일시 1794년 - 유한준 김포군수 제수
활동 시기/일시 1796년 - 유한준 삼척부사 제수
활동 시기/일시 1811년 - 유한준 형조참의 제수
몰년 시기/일시 1811년연표보기 - 유한준 사망
부임|활동지 김포 - 경기도 김포시
부임|활동지 삼척 - 강원도 삼척시
묘소|단소 유한준 묘소 -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수레로 995[차산리 775-4]지도보기
성격 문신|문인
성별 남성
본관 기계(杞溪)
대표 관직 형조참판

[정의]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차산리에 묘소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문인.

[가계]

유한준(俞漢雋)[1732~1811]의 본관은 기계(杞溪)이며, 자는 만청(曼倩) 또는 여성(汝成), 호는 저암(著菴) 또는 창애(蒼厓)이다. 초명은 유한경(俞漢炅)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자교당(慈敎堂) 유명뢰(兪命賚)이고, 할아버지는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에 오른 유광기(兪廣基)이다. 아버지는 진사 유언일(兪彦鎰)이며, 어머니는 창녕 성씨(昌寧 成氏)이다. 부인은 안취범(安取範)의 딸 순흥 안씨(順興 安氏)이다. 아들로 『흠영(欽英)』을 지은 유만주(兪晩柱)가 있다.

[활동 사항]

유한준은 1732년(영조 8)에 출생하였다. 1768년(영조 44)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음직으로 관직을 시작해 1794년(정조 18) 김포군수에 이르렀다. 1796년(정조 20) 삼척부사에 제수되었으며, 1811년(순조 11) 형조참의에 제수되었으나, 1811년에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유한준은 유년기 시절부터 고문사(古文辭)를 배웠으며, 김이곤(金履坤)에게서 시를, 남유용(南有容)에게서 문장을 수학하였다. 특히 송시열을 매우 추숭하였기에 『송자대전(宋子大全)』을 늘 가까이 하였다. 중년에 이르러서는 ‘사원거장(詞苑鋸匠)’으로 여겨지는 등 문장가로서 명성을 떨쳤다. 인간 개개인의 삶 그 자체를 긍정하고, 각자가 자신의 도(道)를 중시하여 자신을 완성하는 과정 속에서 예술과 삶의 성취를 달성할 수 있다는 ‘각도기도론(各道其道論)’을 주장하기도 하였다.

박지원과 동시대 문장가로서 쌍벽을 이루며 젊은 시절에 친한 관계였으나, 이후 서로 경쟁하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한준은 박지원의 작품에 대해 “오랑캐의 연호를 쓴 글[虜號之稿]”이라며 혹평하였고, 박지원은 “유한준의 글이 너무 기교에 치우쳤다.”라며 논박하였다.

그림에도 상당한 소질이 있었다고 하지만 남아있는 작품은 없다. 다만 당시 화가들의 그림에 쓴 제발문(題跋文)이 다수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화가들과 깊은 교류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유한준의 시문집으로는 『저암집(著菴集)』이 전해진다.

[묘소]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차산리에는 기계 유씨 묘역 및 신도비가 조성되어 있는데, 남양주시 향토유적으로 지정되어 있다. 유한준의 묘도 기계 유씨 묘역에 조성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