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901379
한자 李培元
영어공식명칭 Yi Baewon
이칭/별칭 양백(養伯),귀휴당(歸休堂)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경기도 남양주시 퇴계원읍 퇴계원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행묵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75년연표보기 - 이배원 출생
활동 시기/일시 1601년 - 이배원 사마시 합격
활동 시기/일시 1612년 - 이배원 문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615년 - 이배원 평안평사 제수
활동 시기/일시 1623년 - 이배원 정언 임명
활동 시기/일시 1635년 - 이배원 충원겸토포사 역임
활동 시기/일시 1636년 - 이배원 황해도관찰사 역임
몰년 시기/일시 1653년연표보기 - 이배원 사망
묘소|단소 이배원 묘소 - 경기도 남양주시 퇴계원읍 퇴계원리 지도보기
성격 문신
성별 남성
본관 함평(咸平)
대표 관직 황해도관찰사|공조참의

[정의]

경기도 남양주시 퇴계원읍 퇴계원리에 묘소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가계]

이배원(李培元)[1575~1653]의 본관은 함평(咸平)이며, 자는 양백(養伯), 호는 귀휴당(歸休堂)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경상우도병마우후 이세성(李世成)이고, 할아버지는 갑산부사 이윤탕(李允宕)이다. 아버지는 이염(李琰)이고, 어머니는 강원도관찰사 최개국(崔蓋國)의 딸 충주 최씨(忠州 崔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대사헌 유사원(柳思瑗)의 딸 문화 유씨(文化 柳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양성현감 윤경원(尹慶元)의 딸 칠원 윤씨(漆原 尹氏)이다. 형은 이수원(李樹元)이고, 사위는 이거원(李巨源)·송유효(宋孺孝)·이시혁(李時赫)·이민식(李敏植)이다.

[활동 사항]

이배원은 1575년(선조 8)에 태어나 1601년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1612년(광해군 4) 증광시 문과에 병과 6위로 급제하여 승문원에 소속되었다. 1615년(광해군 7) 평안평사에 임명되었으나 관직에서 물러나 10여 년간 고향에 은거하였다.

이배원은 인조반정(仁祖反正) 이후 관직에 복귀하여 1623년(인조 1) 정언에 임명되었고, 이어 곡산군수·광산현감 등을 역임하였다. 1627년 정묘호란이 발생했을 때에는 태묘의 신주를 받들고 인조를 호종하여 강화도에 들어갔다. 그 뒤에 사복시정·장악원정·원주목사를 지냈으며, 1635년 충원겸토포사(忠原兼討捕使)로 나아가 도적들을 소탕한 공으로 통정의 품계에 올랐다. 1636년 비변사의 추천으로 황해도관찰사에 임명되었는데, 병자호란이 발발하자 백성들을 이끌고 산성을 지켰다. 1637년 2월 청 황제가 돌아갈 때 이배원은 황해도관찰사로서 호행(護行)을 위하여 나와서 기다려야 했으나 이를 거부하고 연안부사를 임시 관찰사로 삼고는 끝내 움직이지 않았다. 이배원은 이 일로 파면되었으나 이후 다시 등용되어 형조참의·공조참의 등을 지내고 1653년(효종 4)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이배원의 저술로는 문집인 『귀휴당집(歸休堂集)』 3권이 있다. 1779년(정조 3) 이배원의 5대손인 이경일이 유고를 정리하여 필사하였으나 흩어져 사라지고, 그 뒤 1851년(철종 2)에 9대손인 이돈여와 이돈시 등이 다시 편집하여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학수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이익운·이경일·이돈여 등의 발문이 있다. 『귀휴당집』은 현재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다.

[묘소]

이배원은 사망한 뒤 좌의정에 추증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