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901386
한자 任叔英
영어공식명칭 Im Sukyeong
이칭/별칭 무숙(茂叔),소암(疎菴)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송촌리|능내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황재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76년연표보기 - 임숙영 출생
활동 시기/일시 1601년 - 임숙영 진사시 합격
활동 시기/일시 1610년 - 임숙영 동몽교관 제수
활동 시기/일시 1611년 - 임숙영 문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612년 - 임숙영 주서 역임
활동 시기/일시 1615년 - 임숙영 승문원박사·봉상시직장 역임
활동 시기/일시 1616년 - 임숙영 남양주에 은거
활동 시기/일시 1623년 - 임숙영 홍문관박사·수찬·사헌부지평 역임
활동 시기/일시 1623년연표보기 - 임숙영 사망
거주|이주지 용진 -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송촌리 지도보기
거주|이주지 봉안 -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 지도보기
묘소|단소 임숙영 묘소 - 경기도 하남시 청뜰로 65-1[초일동 산2]
성격 문신
성별 남성
본관 풍천(豐川)
대표 관직 사헌부지평

[정의]

경기도 남양주 지역에 은거하였던 조선 후기의 문신.

[가계]

임숙영(任叔英)[1576~1623]의 본관은 풍천(豐川)이며, 자는 무숙(茂叔), 호는 소암(疎菴)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한성부판윤 임열(任說)이고, 할아버지는 임숭로(任崇老)이다. 아버지는 임기(任奇)이고, 어머니는 대사간 정유일(鄭惟一)의 딸 동래 정씨(東萊 鄭氏)이다. 부인은 이조좌랑 이상홍(李尙弘)의 딸 여주 이씨(驪州 李氏)이며, 아들은 임량(任量)이다. 동생은 임세영(任世英)이다.

[활동 사항]

임숙영은 1576년(선조 9)에 태어났다. 1601년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1610년(광해군 2) 동몽교관이 되었다. 1611년 별시 문과에 응시하였는데, 주어지지 않은 제목으로 대책문(對策文)을 지어 왕의 인척들이 권세를 부리는 현실과 언로(言路)가 막힌 문제 등을 거론하였다. 시관들이 겁에 질려 합격시키지 않고자 하였으나 심희수(沈喜壽)가 실력을 아깝게 여겨서 병과의 끝에 붙여 급제시키도록 하였다. 광해군(光海君)이 크게 분노하여 시험관들을 질책하고 임숙영을 명단에서 삭제하도록 하였으나, 삼사와 대신들의 주장으로 과거 급제는 그대로 유지되었다. 이후 승문원의 정자와 박사를 거쳐 승정원주서가 되었다.

임숙영은 1613년 영창대군(永昌大君)의 무옥이 일어나자 다리에 통증이 있다고 핑계대면서 끝내 정청(庭請)에 참여하지 않았고, 파직된 후에는 광주(廣州)의 용진(龍津)[현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송촌리 일대]과 봉안(奉安)[조안면 능내리 일대] 등에 거주하며 은둔하였다.

임숙영광해군이 속은(贖銀)을 바치고 죄를 용서받도록 한 조치에도 반응하지 않았으며, 인조반정(仁祖反正) 이후에야 다시 정계에 복귀하였다. 1623년(인조 1) 홍문관박사와 수찬을 거쳐 사헌부지평이 되었으나 10월 3일에 사망하였다. 생활이 빈한하여 염습할 도구도 없고 다 해진 이불 하나만 있었는데 조정의 대신들을 비롯한 여러 사람들의 부의(賻儀)로 장례를 치렀다고 한다.

[학문과 저술]

임숙영의 저술로는 문집인 『소암집(疎菴集)』이 전한다. 원집 8권과 습유, 부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묘소]

임숙영의 묘는 경기도 하남시 청뜰로 65-1[초일동 산2]에 있다.

[상훈과 추모]

임숙영은 1704년(숙종 30) 광주(廣州) 구암서원(龜巖書院)에 배향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