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400489
한자 大山洞校理宅所藏典籍
영어공식명칭 Publications, Collection of Gyori's Residence in Daesandong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한개2길 23-12[대산리 411]
시대 조선/조선 전기,조선/조선 후기,근대/개항기
집필자 이미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소장처 대산동 교리댁 -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한개2길 23-12[대산리 411]지도보기
성격 전적|고서|고문서

[정의]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 한개 마을 교리댁에 소장되어 있는 전적 일체.

[개설]

대산동 교리댁은 조선 영조 때 사간원 사간, 사헌부 집의 등을 지낸 이석구(李碩九)가 지은 집이다. 이석구가 홍문관 교리를 역임했기 때문에 교리댁이라고 불렸다고 한다.

[형태/서지]

대산동 교리댁 사랑채에 고서 55종 353책, 고문서 15건 등이 소장되어 있다.

[구성/내용]

고서로는 이의조(李宣朝)의 『가례증해(家禮增解)』[1824, 목판본], 『고문진보(古文眞寶)』[필사본, 영본(零本) 1책], 이만상(李萬相)의 『교재문집(僑齋文集)』[목활자본, 6권 2책], 『국문불경』[신식활자본, 1책], 『국조보감(國朝寶鑑)』[18세기, 목판본], 『기록(綺鹿)』[필사본, 1책], 『논어집주대전(論語集註大全)』[목판본, 영본 1책], 김창협(金昌協)의 『농암집(農巖集)』[신식활자본, 영본 2책], 『대전통편(大典通編)』[목판본, 6권 4책], 『동의보감(東醫寶鑑)』「내경편(內景篇)」[1613, 목판본, 영본 1책], 『매화성(賣花聲)』[필사본, 1책], 정구(鄭逑)가 편찬한 『문헌공실기(文獻公實紀)』[목판본, 1책], 민진원(閔鎭遠)의 『민문충공주의(閔文忠公奏議)』[1757, 목판본, 영본 3책], 이진상(李震相)『사례집요(四禮輯要)』[1906, 목판본, 영본 6책], 권이생(權以生)이 편찬한 『사요취선(史要聚選)』[목판본, 영본 9권 6책], 『사한일통(史漢一統)』[18세기, 목판본, 영본 14책], 『상례비요(喪禮備要)』[1872, 목판본, 2권 2책], 『상지즉조삼십이년갑오식년사마방목(上之卽祚三十二年甲午式年司馬榜目)』[1842, 영본 2책], 『서전대전(書傳大全)』[19세기 말, 목판본, 영본 2책), 『서전정문(書傳正文)』[17세기, 목판본, 상하 2책), 송환기(宋煥箕)의 『성담선생집(性潭先生集)』[목활자본, 영본 15책]이 있다.

그리고 『성산 이씨 가보(星山李氏家譜)』[필사본, 1책] 『성산 이씨 세보(星山李氏世譜)』[신식활자본, 영본 1책], 『성주 이씨 세보(星州李氏世譜)』[목판본, 영본 2책], 『성주 이씨 세보(星州李氏世譜)』[목판본, 영본 4책], 『성주 이씨 세보(星州李氏世譜)』[목판본, 영본 1책], 송시열(宋時烈)의 『송자대전(宋子大全)』[1647, 목판본, 영본 119책], 『신편역대회영(新編歷代會英[靈])』[20세기, 필사본, 영본 1책], 『신편역대회영(新編歷代會英[靈])』[20세기 초, 필사본, 2권 2책], 『신편역대회영(新編歷代會英[靈])』[20세기 초, 필사본, 4권 4책], 『운리제성(雲裡帝城)』[필사본, 1책], 『을해청초오순교문(乙亥靑初五順敎文)』[필사본, 1책], 『제중신편(濟衆新編)』[18세기 말, 목판본, 영본 2책], 『진정책(賑政策)』[필사본, 3책], 『주서요류(朱書要類)』[목판본, 12권 12책], 『주역언해(周易諺解)』[18세기, 목판본, 9권 5책], 『주역전의대전(周易傳義大全)』[1798, 목판본, 25권 13책], 『주자대전(朱子大全)』[목판본, 영본 71책], 『주자대전별집(朱子大全別集)』[18세기, 목판본, 10권 3책], 『주자대전속집(朱子大全續集)』[목판본, 11권 3책], 『중용장구대전(中庸章句大全)』[1858, 목판본, 1책], 임소주(林紹周)가 찬술하고 지일빈(池日賓)이 증보(增補)한 『증보참찬비전천기대요(增補參贊秘傳天機大要)』[목판본, 2권 2책], 『진감선사비명(眞鑒禪師碑銘)』[목판본, 1책], 『천수천안(千手千眼)』[필사본, 1책], 최순(崔淳)의 『초종례요람(初終禮要覽[諺解])』[1920, 신식활자본, 1책], 『춘추좌씨전상절구해(春秋左氏傳詳節句解)』[19세기 말, 목판본, 영본 7책], 모곤(茅坤)이 찬술한 『팔대가문초(八大家文抄)』[19세기 초, 목판본, 영본 10책], 김인후(金麟厚)의 『하서선생전집(河書先生全集)』[목판본, 영본 6책], 허균(許筠)의 『한정록(閒情錄)』[필사본, 3권 1책], 『해동삼강록(海東三綱錄)』[목판본, 16권 7책], 『해상명화고(海上名畵稿)』[석인본(중국), 1책], 『황유(皇猷)』[필사본, 1책] 등이 있다.

이 외에도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가 쓴 ‘구시와(求是窩)’, 석봉(石峯) 한호(韓濩)가 쓴 ‘근도(根道)’ 등 5종의 현판(懸板)도 보유하고 있다. 고문서로는 녹패(祿牌), 관속안(官屬案), 대자 법서(大字法書), 수진 시첩(壽辰詩帖), 수연 시첩(壽燕詩帖), 수연운(晬讌韻), 탁대(倬對), 고서 신첩(古書新帖), 「어제우암송선생묘갈비명탁본(御製尤庵宋先生墓碣碑銘拓本)」, 도(圖) 등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