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500543
한자 嶺南邑誌盈德邑誌寧海邑誌
이칭/별칭 영덕읍지,영해읍지
분야 역사/근현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경상북도 영덕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재두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편찬 시기/일시 1871년연표보기 - 『영남읍지』 「영덕읍지·영해읍지」 편찬
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56-1]
성격 읍지
편자 영덕현|영해도호부
권책 19책
행자 20행 20자
규격 20.8×31.2㎝
권수제 영덕읍지(盈德邑誌)|영해읍지(寧海邑誌)

[정의]

경상도 영덕현과 영해도호부의 읍지.

[개설]

1871년(고종 8) 의정부(議政府)의 지시에 따라 경상도 영덕현(盈德縣)영해도호부(寧海都護府)에서 편찬한 읍지이다. 「영덕읍지(盈德邑誌)」는 1832년 편찬된 『경상도읍지(慶尙道邑誌)』의 보유 편에도 재필사하여 수록되어 있다. 1832년 편찬된 영덕현의 읍지가 분실되었기 때문이다.

[저자]

『영남읍지(嶺南邑誌)』는 1871년 영덕현령과 영해도호부사가 각각 편찬을 주도하였다.

[편찬/간행 경위]

1871년 의정부의 지시에 따라 각 고을은 읍지·지도·사례대개(事例大槩) 및 영(營)·진(鎭)·역지(驛誌) 편찬을 시작하였다. 이때 영덕현영해도호부 등은 장당 20행인 책판 견양에 맞추고, 지도를 실어 읍지를 편찬한 뒤 성책하지 않은 상태에서 경상감영으로 올려 보냈다. 경상감영은 이를 19책의 『영남읍지』로 엮었는데, 현재 2책은 분실되어 17책만 남아 있다.

[형태/서지]

『영남읍지』의 제7-1책에 「영덕읍지」, 제6-3책에 「영해읍지」가 각각 수록되어 있다. 분량은 「영덕읍지」가 18장, 「영해읍지」가 22장이다. 행자수는 20행 20자, 규격은 가로 20.8㎝, 세로 31.2㎝이다.

[구성/내용]

「영덕읍지」의 항목은 채색지도, 강역, 건치 연혁, 군명, 성씨, 직관(職官), 고적, 부곡, 봉름, 공해(公廨), 궁실, 누대제영(樓臺題詠), 창고, 조적(糶糴), 전부(田賦), 군액(軍額), 풍속, 형승, 토산, 진공, 사묘(祠廟), 교원(校院), 명산대천, 불우, 제언, 교량, 우역(郵驛), 봉수, 장시, 능묘[무(無)], 충효열(忠孝烈), 명환(名宦), 인물, 방리(坊里) 부(附) 호구(戶口), 군병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누대제영 편에는 청심루(淸心樓)·임벽정(臨碧亭)에 게시한 시를 다수 실었다. 명환 편에는 1868년 영덕현령으로 부임한 민영상(閔泳商)까지 수록하였다. 인호(人戶)는 3,809호인데, 1878년에 편찬한 국립고궁박물관 소장의 『읍지』와 동일한 수치이다. 1760년의 『여지도서(輿地圖書)』에는 3,199호, 1786년의 『경상도읍지』에는 3,760호, 1841년의 『영남여지(嶺南輿誌)』는 3,795호로 나타난다.

「영해읍지」의 항목은 채색지도, 건치 연혁, 군명, 관직, 성씨, 산천, 풍속, 방리, 호구, 전부, 군액, 성지, 임수(林藪), 창고, 군기, 관애[무(無)], 진보[무(無)], 봉수, 학교, 단묘, 총묘[무(無)], 불우, 공해, 누정, 도로, 교량, 도서, 제언, 장시, 역원, 목장[무(無)], 형승, 고적, 토산, 진공, 봉름, 환적, 과거, 인물, 제영, 비판(碑板)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환적 편에는 1870년 영해도호부사로 부임한 이정까지 기록되어 있다. 호구는 1,503호인데, 『여지도서』의 2,355호, 1786년 『경상도읍지』의 2,455호이다. 1832년 『경상도읍지』와 1878년에 편찬한 국립고궁박물관 수록 『읍지』의 2,503호, 『영해군읍지』의 1,998호보다 적은 수치이다. 비판 편에는 남민(南敏)과 이곡(李穀)·이색(李穡) 유허비 비문 전체와 안평대군의 병풍판(屛風板)을 수록하였다.

[의의와 평가]

『영남읍지(嶺南邑誌)』는 19세기 영덕·영해 지역의 사회적·경제적 상황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