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501165
한자 白石里洞祭
영어공식명칭 Village Ritual in Baekseok-ri
분야 생활·민속/민속,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의례/제
지역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백석2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창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의례 장소 할배신 -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백석리 지도보기
성격 의례|제
의례 시기/일시 정월대보름/자정
신당/신체 당집/팽나무

[정의]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백석리 백륙마을·흰돌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개설]

백석2리는 동해안을 따라 남북으로 인접하여 하나의 마을처럼 여겨진다. 그러나 백석항에 인접한 백석2리 흰돌마을은 어촌이며, 백석1리 백륙마을은 농촌으로 각기 정월대보름에 동제(洞祭)를 지내고 있다.

[백석1리 백륙마을의 제당과 제의 절차]

백륙마을의 제당(祭堂)은 마을의 남쪽 입구에 형성된 소나무 숲에 있다. 이 숲에 토담으로 둘러싼 흙벽돌에 조립식 팔작지붕을 얹은 당집이 백륙마을의 제당이다. 당집 주변으로 철조망을 둘러 제당에의 접근을 제한하고 있다. 당집 내부 제단(祭壇)의 중앙에 ‘성황지신(城隍之神)’, 왼쪽으로 ‘토지지신(土地之神)’, 오른쪽으로 ‘존위지신(尊位之神)’의 위패가 있다. 마을 사람들은 신격(神格)을 할배신으로 여기고 있으며, ‘안씨 터전에 윤씨 골매기’로 칭한다. 정월 초사흘에 남자 세 명, 여자 한 명의 부정(不淨)함이 없는 사람을 골라 제관(祭官)을 선출하였다. 제수(祭需)로는 해산물[대구, 가자미, 청어 등], 탕[대구탕]을 진설하는데, 육류는 일절 사용하지 않는다. 제의(祭儀)는 유교식으로 분향(焚香), 재배(再拜), 강신(降神), 삼헌(三獻), 소지(燒紙)의 순으로 진행하고 있다. 제비(祭儀)는 마을 사람들에게 갹출하여 사용한다.

[백석2리 흰돌마을의 제당과 제의 절차 ]

백석2리 흰돌마을의 제당은 마을의 주거 지역 가장자리에 있는 목조 기와지붕의 당집과 당목(堂木)으로 구성되어 있다. 당목은 팽나무이며, 당집 주변으로 벽돌담을 둘렀다. 당집의 내부에는 ‘토지지신(土地之神)’, ‘성황지신(城隍之神)’의 두 위패가 있다. 마을 사람들은 동신(洞神)의 신격을 할배신으로 여기며, ‘정씨 터전에 맹씨 골매기’로 칭하고 있다. 정월 초사흘에 제관 세 명을 선정하고, 초열흘에는 세 명의 제관과 부인 한 명이 회관에서 숙식하며 근신(謹愼)한다. 제관은 부정이 없는 사람이어야 한다. 제수로는 해산물[대구, 청어, 가자미], 탕[대구탕], 대추, 밤, 곶감 등의 과실을 진설한다. 제상(祭床)은 성황신과 토지신을 위해 각각 두 상을 준비한다. 제의는 유교식으로 분향, 재배, 강신, 삼헌, 소지의 순으로 진행하고 있다. 제비는 마을 사람들에게 갹출하고 어촌계의 찬조로 충당한다.

[축문]

백석1리 백륙마을의 동제 축문은 다음과 같다.

유세차 OO년 O월O O삭십오일

유학 OOO 감소고우

성황지신 복유명령 진무일동 풍마운차 시강재상 구려축앙 초화강상 번아축목 영아민생 등아오곡 우아만성 황타재랭 구거사랑 백실영지 만구강재 풍화우조 해안민휴 인염어해 고영숙속 신황기다 민원영석 자인월정 경천비박 복유명신 영수차리 물정성수 서사 상향

維 歲次 OO年 O月O O朔十五日

幼學OOO敢昭告于

城隍之神 伏惟明靈 鎮撫一同 風馬雲車 時降在上 驅癘逐 殃 招和降祥 繁我畜牧 寧我民生 登我五穀 祐我萬姓 偟他 災冷 驅去射狼 伯室盈止 萬口康哉 風和雨調 海晏民休 人 厭魚蟹 家盈菽粟 神況既多 民願永錫 茲因月正 敬薦菲薄 伏惟明神 永綏此里 物精誠殊 庶賜 尚饗

백석2리 흰돌마을의 동제 축문은 다음과 같다.

유세차 정월 삭 십오일

유학 OOO 감소고우

성황지신 공유지신 자해지빈 백석지타 유아생령 세세흠숭 향우극성 강복무궁 아금불상 산해양양 인물총총 축유채식 오곡등풍 가가만차 어업경영 연안어장 예라어족 축복유기 가용평강 근이 청작서수 공신전언 상향

維歲次 正月 朔 十五日

幼學 ○○○敢昭告于

城隍之神 恭惟之神 紫海之濱 白石之垞 惟我生靈 歲歲歆崇 嚮于極誠 降福無窮 阿噤不祥 山海洋洋 人物總總 畜有蔡息 五穀登豐 家家滿庫 漁業經營 沿岸漁場 曳羅魚族 祝福有期 家用平康 謹以 淸酌庶羞 恭伸奠獻 尚饗

[현황]

예전에 비해 백석리의 동제는 간소화되었다. 특히 제의를 마친 다음날인 정월대보름에 행했던 지신밟기는 중단되었고, 반별로 음복(飮福)과 윷놀이를 하는 정도로 간소화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