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월정승노래」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301319
한자 寧越政丞-
영어공식명칭 Yeongwol-Jeongseung-norae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강원도 영월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신성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시기/일시 1979년 8월 16일 - 「영월정승노래」 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봉길리에서 제보자 주손남으로부터 채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0년 - 「영월정승노래」 채록 문헌 『한국구비문학대계』 7-2권 출간
채록지 수제동 - 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봉길리
성격 노동요
기능 구분 길쌈노동요
가창자/시연자 주손남

[정의]

강원도 영월군과 관련하여 경상북도 경주시 일대에 전승되어 온 노동요.

[채록/수집 상황]

「영월정승노래」는 1980년 간행된 『한국구비문학대계』 7-2권에 수록되어 있다. 1979년 8월 16일 경상북도 월성군 양북면 봉길리[현 경상북도 경주시 문무대왕면 봉길리] 수제동에서 제보자 주손남[여, 당시 74세]으로부터 채록된 것이다. 조사자가 길쌈할 때 부르는 노래를 불러 달라고 요청하자 주손남이 노래를 불렀고, 노래의 제목을 묻자 「영월정승노래」라고 하였다고 한다.

[구성 및 형식]

「영월정승노래」는 「아리랑」의 일종이며 총 4절로 되어 있다. 각 절 앞부분에 “아리아리랑 시리시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고개 고개마/ 나를 냉게 주소”가 나오는 형식이다.

[내용]

「영월정승노래」의 노랫말은 다음과 같다. “아리아리랑 서리서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고개 고개마/ 나를 냉겨 주소/ 우리 집 서방님으노/ 행경도 명태바리로 갔는데/ 샛바람아 불거들라/ 석 달 열흘마 불아라/ 밤사촌 오륙촌/되거들랑/ 너도 사 오너라/ 가로디기가 지거들랑/ 십분동안만 지이먼/ 전라도 바우리뱃님이가/ 떼죽음 난다아// 아아리아리랑 서리서리랑/ 아라리가 났네 에에/ 아리랑 고개 고개마/ 나를 냉게 주소/ 아주까리 씰데없는/ 열라 컸는 콩팥으는/ 니와 못 열고/ 씰데없는 아주까리는/ 연연이 왜여능교/ 머리 고개 단장으노/ 나날이 하고/ 영월정승/ 물레방아노 물을 안고/ 빙글빙글빙글빙글빙글/동글동글 도는데/ 우리 집 서방님으노/ 나를 안고돈다아// 아리아리랑 시리시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고개 고개마/ 나를 냉게 주소/ 저 건네 저 산이/얼마나 명산이라/ 오동지 섯달에/ 분꽃이 핀다// 아아리아리랑 시리시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고개 고개마/ 나를 냉게 주소/ 아리랑 고개는/ 열두 고개요/ 내야 고개는/ 땅고개로구나/ 울 밑에 담 밑에다/ 임을 숨아 놓고/ 호박잎이 난들난들/ 나를 쇡이는구나.”

[의의와 평가]

「영월정승노래」는 강원도와 경상북도, 충청도 지역에서 유행하던 「아라리」의 한 유형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