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안병극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401654
한자 安柄極
영어음역 An Byeonggeuk
이칭/별칭 성노(聖老)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중가구리
시대 근대/근대,현대/현대
집필자 한준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독립운동가
출신지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중가구리 지도보기
성별
생년 1893년연표보기
몰년 1965년연표보기
본관 순흥

[정의]

일제강점기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활동사항]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성노(聖老)이다. 1893년 현재의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중가구리에서 태어났다. 한문을 수학하며 쓰러져 가는 나라를 항상 걱정하며 청년 시절을 보내던 안병극은 1910년 나라가 무너지고, 1919년 고종 황제의 죽음으로 전국적으로 3·1운동이 일어나자 이를 통해 무너진 나라를 다시 찾으려고 하였다. 안동 지역의 3·1만세시위는 3월 13일부터 27일까지 안동·예안·임동·임하·길안 등 11개 지역에서 14회에서 걸쳐 일어났다. 이 가운데 안병극은 1919년 3월 17일 일어난 예안면 1차 만세시위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였다.

예안면 1차 만세시위는 이광호(李洸鎬)·이동봉(李東鳳) 등이 군중을 이끌고 면사무소 뒤편 선성산(宣城山)에 올라가 일제가 세운 ‘어대전기념비(御大典記念碑)’를 쓰러뜨리면서 시작되었다. 이와 동시에 1,500여 명의 시위 군중은 예안주재소로 몰려가 독립만세를 불렀으며, 약 600명은 산을 타고 안동시내로 들어가 3월 18일 안동면 2차 시위에 합세하였다.

안병극은 당시 이병린(李炳麟)을 비롯한 시위 군중과 함께 예안면 주재소로 몰려가 구금자의 석방을 요구하였다. 그리고 주재소로 들어가 돌과 기와를 던져 유리창을 깨고 만세를 외쳤다. 이로 인해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1919년 5월 21일 대구지방재판소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3년형을 언도 받고 항소하여, 6월 24일 대구복심법원에서 징역 1년 6월형이 확정되어 옥고를 치렀다.

[상훈과 추모]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이용자 의견
이** 참고로 보훈처에서는 저에게 적자가 무엇인지 물어 보더군요. 그때 그 심정은 2016.04.05
이** 안병극 적자인 외 할아버님(안장환)께서는 국가기관의 소홀로 적 손녀인(안효자)저의 어머님 국가 보훈자녀로 등록 되지 않았읍니다. 더군다나 어머님 돌아가실때까지 외할아버님의 사망 소식을 몰랐읍니다.
왜 인지요 저의가족이 모를 잘 못 했는지요. 대한민국은 3.1 운동의 기반이 아니었는지요. 원하신다면 안동 순흥안씨 안병극 외증조부님의 호적을 보여드릴까요.
  • 답변
  • 디지털안동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문의주신 내용은 국가보훈처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16.04.05
이** 필요하시다면 (저의 외증조부님)의호적등본을 보내드리죠 2016.04.02
이** 안병극 외 증조부님의 유일한 적자 (안장환 외 할아님) 그리고 유일한 적손녀(안효자) 그리고 유일한 나
안동 문화 대전은 무엇인가요..
2016.04.02
저는 안병극 외증조부님의 장남인 안장환씨의 손자입니다. 비록 안장환씨의 사망신고를 남이 하고 알려주지 않아 유일한 혈육인 어머님이 알지 못해 유공자 자녀로써 등록 못해 유공자는 못했지만요......
  • 답변
  • 디지털안동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2016.03.08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