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둔배미의 윤정승」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501527
한자 -尹政丞
영어의미역 Yun Prime Minister of Dunbaemi Village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
집필자 이현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설화|인물담
주요 등장인물 김선달|문내시|윤판서|임금|윤정승|구주물 서낭
관련지명 둔배미|동산골|오지미고개|양짓말|군자봉
모티프 유형 윤정승을 혼을 낸 문내시|서낭신을 욕보인 윤정승

[정의]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에서 윤정승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초지동둔배미마을에는 윤정승과 관련된 두 가지의 인물담이 전해진다. 하나는 「대전내시에게 혼난 윤정승과 안흥 관찰사」이고, 또 하나는 「다리 잘린 윤정승」이다. 둔배미는 현 초지동의 고려개발이 있던 자리에 위치했던 마을로서, 조선 시대에는 안산군 와리면 원당리였다. 이곳은 안산 제일의 포구이자 군사적 요새지로서 원포(元浦)·원당포(元當浦)라고 불렸다. 고려 시대부터 둔전병(屯田兵)[군사상 중요한 요지이거나 군대가 오래 머무는 곳에서 농사를 짓는 병졸]들이 부치는 논배미가 있었으므로 일명 둔배미라고도 불렀다 한다.

[채록/수집상황]

1995년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으로 현지조사를 나가 주민 주장성[남, 76]으로부터 이현우가 채록하였는데, 이는 1999년 안산시사편찬위원회에서 발간한 『안산시사』 중권에 실려 있다.

[내용]

1. 「대전내시에게 혼난 윤정승과 안흥 관찰사」

둔배미에 중선(中船)을 부리는 김선달이라는 사람이 살았는데, 김선달에게 뒷돈을 대주는 전주(錢主)는 고종 때의 대전내시(大殿內侍)인 문내시였다. 하루는 김선달이 고기잡이를 나가려고 채비를 하는데 동산골[현 소프트웨어지원센터, 전 근로청소년회관 동쪽 아래에 있던 마을]의 윤정승이 갑자기 선유(船遊)[뱃놀이]를 가자는 명을 내렸다. 윤정승의 명이 워낙 지엄한지라 김선달이 어쩔 줄 모르고 있는데 마침 문내시가 휴가를 얻어 한양에서 내려왔다.

문내시가 오지미[현 초지동사무소 앞] 고개에 올라서서 보니 배가 내일 나간다고 했는데 기가 하나만 꽂혀 있었다. 이상하게 생각한 문내시는 김선달을 찾아 닦달을 하였다. 당시 김선달의 중선 한 척에는 어부 80여 명이 탔으며, 식수를 비롯한 식량은 두 달치를 실어 놓았었다. 그런데 윤정승의 명으로 뱃놀이를 가기 위해 준비는 물론 뱃고사도 못 지내고 있다고 하자 문내시는 대노하여 당장 윤정승을 불러들여 “고기잡이 나갈 배를 붙잡고 선유가 무엇이오!” 하고 호통을 쳐 윤정승의 사죄를 받았다. 당시 문내시는 임금의 상투를 트는 현직 대전내시여서 윤정승도 꼼짝을 못했던 것이다.

또한 김선달의 배가 연평 조기잡이를 마치고 충청도 안흥(安興) 앞바다에서 고기잡이를 하는데, 물목이 좋은 관장목에 그물을 치고 고기를 잡으니 그 곳 어부들이 안산 사람에게 좋은 목을 뺏겨 고기를 못 잡는다고 안흥 관찰사에게 고해 바쳤다. 그리하여 안산 둔배미 어부들이 관아로 끌려가 고기를 빼앗기고 볼기까지 맞고 돌아왔다.

이 사실을 또 김선달이 문내시에게 알렸다. 문내시는 이를 곧바로 임금에게 아뢰었고, 임금은 “바다의 고기를 잡는데 충청도니 경기도니 하고 사람을 따져 차별하는 것은 온당치 않다.”고 명하였다. 그리고 둔배미 어부들에게는 특별히 ‘나라 찬물선’이라는 기를 내려 주어 ‘임금에게 진상할 고기를 잡는 배’라 하여 다시는 고기를 빼앗기거나 볼기 맞는 일이 없게 하였다[안산시 단원구 신길동에는 사옹원분원이 있어 어부들에게 돈을 주어 고기를 잡게 하고 그 고기를 대궐에서 갖다 썼던 기록이 있음].

2. 「다리 잘린 윤정승」

둔배미 사람들은 모두 하나 같이 체격이 크고 힘이 장사였다. 게다가 배를 타고 험한 바다를 누비는 뱃사람들인지라 무척 거칠었다. 어느 날 윤정승의 동생[두포(杜浦) 자손이라 전하나 두포 자손이 무슨 뜻인지 제보자는 모르고 있음. 두포윤지완의 형 좌의정 윤지선의 호이며, 여기서 윤정승 동생이라 함은 윤지완을 이르는 것임]이 양짓말[중소기업연수원에서부터 원곡1동 사무소, 라성호텔 지역에 걸쳐 있던 마을]에서 둔배미로 이사를 왔다.

둔배미로 이사를 오니, 사람들이 모두 날쌔고 힘이 장사라 절구통 세 개를 쌓아 놓고 모듬발로 뛰어넘기는 보통이고, 이로 절구통을 물어 올려 머리 뒤로 던지기까지 하였다. 윤정승의 동생이 원인을 알아보니 마을의 우물물이 신비하여 그 물을 먹고 사는 마을 사람들이 모두 장사라는 것이었다. 윤정승의 동생은 우물을 메우고 다시 양짓말로 이사를 갔다.

한 번은 구주물 서낭[군자봉 성황]이 마을로 유가를 도는 중 동산골에 이르자 윤정승이 나와 멈추게 하고 “네가 그렇게 영험하다니 혼자서 서 보아라.” 하고 서낭기에게 명하였다. 서낭기가 홀로 우뚝 서자 윤정승은 다시 “서기만 하지 말고 뛰어서 저 외나무다리를 건너 보아라.” 하고 명하였다. 그러나 이번에는 꼼짝도 하지 않았다. 서낭기가 전혀 움직이지 않자 윤정승은 “영험하다는 게 모두 거짓말이었구나.”하며 비웃고 돌아섰다.

그런데 그날 밤 윤정승 꿈에 수염이 하얀 노인이 나타나 서낭님을 욕했으니 벌을 받기 전에 어서 사과하라고 하였다. 그러나 윤정승은 이에 응하지 않았다. 다음날도 그 다음날도 몇 번 다시 꿈에 나타나 빌지 않으면 네 자식들을 모두 잡아가겠다고 했으나 끝내 윤정승은 이를 거절하였다. 그후 윤정승의 세 아들은 모두 이름 모를 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아들이 죽은 후 노인은 다시 윤정승의 꿈에 나타나 사죄하라고 했으나 윤정승은 또 거절하였다. 그러자 노인은 “에이 지독한 놈!” 하며 들고 있던 낫으로 한 쪽 다리를 찍으면서 “너도 한 쪽 다리로 뛰어서 외나무다리를 건너보아라.” 하면서 꿈에서 사라졌다. 그 후 윤정승은 한 쪽 다리를 잃었고, 구주물 서낭도 유가를 돌 때 동산골 앞은 절대로 지나지 않고 산을 멀리 돌아 둔배미로 왔다고 한다.

[모티프 분석]

「대전내시에게 혼난 윤정승과 안흥 관찰사」의 주요 모티프는 ‘윤정승을 혼을 낸 문내시’이다. 고기잡이 갈 배를 자신의 유흥에 쓰려던 윤정승을 혼을 낸 문내시의 이야기로, 세도가들의 횡포와 어부들의 고충을 말해주는 인물담이다. 또한 「대전내시에게 혼난 윤정승과 안흥 관찰사」는 경기도 어선이 충청도에서 고기를 잡다 혼이 난 이야기로, 지역 이기주의 타파에 의의가 있다.

「다리 잘린 윤정승」의 주요 모티프는 ‘서낭신을 욕보인 윤정승’이다. 윤정승이 서낭신의 노여움을 받아 다리가 잘린 것으로 전승되고 있는데, 단원구 원곡동동산골에 전승되는 「동산골과 일각정승」은 효심이 깊어 부모님의 3년 상을 치르느라 동상에 걸려 다리가 잘린 것으로 전하여 하나의 일각정승을 두고 의미가 다른 두 설화가 비교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