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800109
한자 地質公園
영어공식명칭 Hantan River Geopark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강원도 철원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의한

[정의]

강원도 철원 지역에서 지질학·지형학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는 명소를 자연상태 그대로 보존하여 조성한 공원.

[개설]

지질공원[Geopark]은 지질학·지형학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고 경관이 우수한 지질·지형 명소를 자연상태 그대로 보존하는 동시에 이를 교육과 관광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다. 세계유산, 생물권보전지역, 국립공원 등 기존의 자연환경 보존 제도는 자연환경 보존에 초점이 맞추어지기 때문에 주민 생활에 과도한 행위 규제가 가해지고 이에 따라 여러 불편이 초래되었다. 그러나 지질공원은 자연환경 보존과 더불어 지질·지형 명소를 교육 및 관광 자원으로 적극 활용하여 주민의 소득 향상 및 지역 경제의 할성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대안적 제도로 각광을 받고 있다.

[지질공원의 특징]

지질공원은 지질학·지형학적 가치는 물론 생물학·역사학·고고학·민속학적 가치를 포괄하여 운영되고 있다. 지질공원은 세계지질공원망[Global Geopark Network, GGN], 유럽지질공원망[European Geopark Network, EGN], 아시아-태평양지질공원망[Asia Pacific Geopark Network, APGN] 등의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운영되는 범세계적 규모의 지질·지형 유산 보존 및·활용 프로그램이다.

지질공원은 유네스코 3대 자연보존제도[세계유산, 생물권보전지역, 세계지질공원]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행위 제한이 가장 적고 지질·지형 ·생물·역사·고고·민속 등 다양한 유산을 관광 자원으로 활용하여 지역 경제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지속가능한 발전 모델이다. 지질공원은 보존을 최우선으로 하는 다른 제도와 달리 보존과 활용을 동시에 추구하는 제도로 알려져 있다.

[국가지질공원]

국가지질공원제도는 지질학·지형학적으로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지역지질공원 중 국가가 정한 기준에 부합하는 공원을 국가에서 국가지질공원으로 인증하여 지원하는 제도이다, 2020년 8월 현재 우리나라에는 제주도 국가지질공원, 울릉도·독도 국가지질공원, 부산 국가지질공원, 강원평화지역 국가지질공원, 청송 국가지질공원, 무등산권 국가지질공원, 한탄강 국가지질공원, 강원고생대 국가지질공원, 전북서해안 국가지질공원, 경북동해안 국가지질공원, 백령·대청 국가지질공원, 진안·무주 국가지질공원, 단양 국가지질공원 등 총 13개의 국가지질공원이 운영되고 있다.

강원도 철원은 과거 화천, 양구, 인제, 고성 등과 함께 강원평화지역 국가지질공원에 속하였으나 2017년 12월 강원평화지역 국가지질공원에서 분리되어 한탄강 지질공원에 병합되었다. 한탄강 지질공원의 지오사이트 총 26곳 중 철원에 속하는 지오사이트는 샘통[용출수], 소이산[철원용암대지], 직탕폭포, 고석정, 삼부연폭포, 평화전망대[용암 기원지], 송대소 등 7곳이 있다. 그리고 포천에 속하는 지오사이트가 10곳, 연천에 속하는 지오사이트가 9곳이 있다.

[세계지질공원]

세계지질공원은 세계지질공원망의 회원으로 가입된 국가지질공원을 말한다. 세계지질공원망은 2004년 2월에 결성되었으며, 2020년 8월 현재 우리나라의 제주도 세계지질공원[2010년], 청송 세계지질공원[2017년], 무등산권 세계지질공원[2018년], 한탄강 지질공원[2020년] 등 44개국 161개의 세계지질공원이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다. 세계지질공원에 가입하기 위해서는 유네스코(UNESCO)에 신청서를 제출한 후 현지 실사 등을 통하여 자격을 부여받을 수 있으며, 인증을 받은 후 4년마다 재평가를 통하여 회원 자격을 갱신하게 된다.

한편 세계지질공원의 국가별 분포를 살펴보면 중국이 37개로 가장 많고, 에스파냐가 12개, 이탈리아가 10개, 일본이 9개, 프랑스가 7개, 영국이 6개, 독일이 5개, 그리스가 5개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국토 면적이 넓고 경관이 우수한 지질·지형 명소를 다수 보유한 미국, 러시아, 오스트레일리아에는 세계지질공원이 단 하나도 없다. 이는 유럽과 아시아를 중심으로 운영되는 세계지질공원망의 한계와 지역적 편재를 잘 보여 주는 것이다.

강원도 철원 지역을 비롯한 경기도 포천, 연천 등 3개 시군은 2016년 3월 한탄강 지질공원의 세계지질공원 인증을 공동 추진하기로 합의하였고, 2017년부터 세계지질공원 인증을 위한 학술 용역을 진행하였다. 이어 2018년 11월 환경부를 통하여 유네스코에 세계지질공원 인증을 위한 신청서를 제출하였고, 2019년 7월 인증의 마지막 절차인 현지 실사를 마쳤다. 한탄강 지질공원은 2020년 7월 유네스코 이사회로부터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증되었다.

[참고문헌]
  • 김창환, 「지오파크 명칭에 대한 논의」(『한국지형학회지』18-1, 한국지형학회, 2011)
  • 디지털포천문화대전(http://pocheon.grandculture.net)
  • 한탄강지질공원(http://www.hantangeopark.kr)
  • Global Geopark Network(http://www.globalgeopark.org)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