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3911 |
---|---|
한자 | 觀音池 |
영어공식명칭 | Gwaneumji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대구광역시 북구 관음동 149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우종현 |
준공 시기/일시 | 1945년![]() |
---|---|
최초 설립지 | 관음지 - 대구광역시 북구 관음동 149 |
현 소재지 | 관음지 -
대구광역시 북구 관음동 149
![]() |
성격 | 저수지 |
면적 | 780,000㎡[유역 면적]|17,000㎡[만수 면적] |
대구광역시 북구 관음동에 있는 저수지.
관음지는 1945년 준공되었으며 명봉산[402.1m]에서 태복산[194.2m]으로 이어지는 능선의 동쪽 비탈에 조성되어 있다.
관음지는 유역 면적 78만㎡, 만수 면적 1만 7000㎡이다. 저수량과 유효저수량은 각각 3만 4100톤이다. 제방 높이는 5.0m이며 길이는 100m이다. 주변 지역의 대규모 택지 개발로 농경지가 없어서 유역 면적이나 수혜 면적은 파악되지 않고 있다.
관음지는 대구광역시 북구청에서 관리하고 있다. 중앙고속도로와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저수지의 상류 지역은 과수 묘목과 밭 작물을 주로 재배하는 농경지와 주택이 분포하며, 하류 지역은 대규모 택지 개발로 인한 비농업적 토지 이용으로 전환되면서 농업용수 공급 기능을 상실하였다. 하천 유역도 대지로 전환되어 저수지의 형태를 확인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