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1968 |
---|---|
한자 | 城山 烽燧 |
영어공식명칭 | Seongsan Signal-fire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지역 | 대구광역시 수성구 성동 산46-2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이영재 |
훼손 시기/일시 | 1895년![]()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2020년 8월 31일~9월 8일 - 성산 봉수 금오문화재연구원에서 정밀 시굴 조사 |
현 소재지 | 성산 봉수 -
대구광역시 수성구 성동 산46-2
![]() |
원소재지 | 성산 봉수 - 대구광역시 수성구 성동 산46-2 |
성격 | 봉수대 |
양식 | 내지 봉수 |
크기(높이,길이,둘레) | 103.3m[둘레] |
면적 | 792㎡[추정치] |
관리자 | 대구광역시 수성구청 |
대구광역시 수성구 성동 고산에 있는 조선시대 봉수대.
성산 봉수(城山烽燧)는 내지(內地) 봉수(烽燧)[조선시대 국경 지역 해안가에 설치한 연변(沿邊) 봉수(烽燧)와 한양의 경봉수(京烽燧)를 연결하기 위하여 내륙에 설치한 봉수]에 해당하며,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병고조(兵考條)에 의하면 제2거 직봉(直烽)[동래-한양 간]에 포함된 간봉(間烽)[5개의 직봉 노선 사이에 연락의 단절을 우려하여 각 노선마다 보조로 설치한 봉수] 가운데 하나였음을 알 수 있다.
성산 봉수는 1425년에 간행된 『경상도지리지(慶尙道地理志)』에 처음 나타나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그 이전부터 건립되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1895년(고종 32년) 봉수제도가 철폐되기까지 500여 년간 대응 봉수인 법이산 봉수에서 신호를 받아 경상북도 경산시 시산 봉수로 신호를 보내는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성산 봉수는 2020년 금오문화재연구원에서 정밀 시굴 조사를 진행하여 대략적인 윤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사단은 봉수대의 타원형 방호벽과 숙화시설, 석렬, 수혈 등을 확인하였다고 한다.
성산 봉수는 고려 말~조선 초에 왜구의 침입이 해안 지대를 넘어 내륙으로까지 확산되는 상황이 초래되자 감시 체계를 대대적으로 정비하는 과정에서 건립되었다고 여겨진다.
성산 봉수는 대구광역시 수성구 성동 산46-2번지에 있는 고산[95.3m]의 남사면 끝자락에 위치하며 성동산성 내에 있다.
대략적 윤곽만이 확인되었을 뿐이지만 방호벽을 갖춘 초대형 내지 봉수이다. 방호벽은 타원형이며, 둘레는 기저부 기준으로 103.3m, 상부 기준으로는 98.2m이다.
성산 봉수대는 2020년 정밀 시굴 조사가 종료된 이후에 복토가 이루어졌다.
성산 봉수대는 조선 초부터 존재하였던 봉수이다. 규모 면에서 대구 법이산 봉수와 더불어 초대형 내지 봉수로 분류할 수 있는 데에서 군사적 중요도를 가늠하여 볼 수 있는 유적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