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귀수춘운」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6521
한자 龜峀春雲
영어공식명칭 Recite the spring clouds of Yeongu mountain
이칭/별칭 연구산의 봄 구름을 읊다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대구광역시 중구 봉산동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곽명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592년 - 오숙 출생
저자 몰년 시기/일시 1634년 - 오숙 사망
편찬|간행 시기/일시 1646년 - 「귀수춘운」 저자 오숙의 『천파집』 간행
배경 지역 연구산 - 대구광역시 중구 봉산동 지도보기
성격 한시|칠언절구
작가 오숙

[정의]

대구 지역 연구산의 경치를 읊은 서거정「귀수춘운」을 조선 후기 문신인 오숙이 차운하여 지은 한시.

[개설]

「귀수춘운(龜峀春雲)」을 쓴 오숙(吳䎘)[1592~1634]은 본관이 해주(海州)이며, 자는 숙우(肅羽)이고, 호는 천파(天坡)이다. 아버지는 오사겸(吳士謙)이고, 어머니는 이집중(李執中)의 딸이다. 오숙은 문장이 간명(簡明)하며 뛰어났고, 당대의 문장가인 장유(張維), 이명한(李明漢) 등과 교유하였다. 저서로 1646년 간행된 『천파집』이 있다.

「대구십영(大丘十詠)」서거정(徐居正)[1420~1488]이 대구 지역의 명승지 10곳을 선정하여 칠언절구로 읊은 작품이다. 「귀수춘운」은 연구산(連龜山)의 봄 구름을 노래한 것이다. 연구산은 현재 대구광역시 중구 봉산동 제일중학교 일대이다. 오숙의 「귀수춘운」은 1631년 경상도관찰사를 역임할 때 지은 작품으로 추정된다. ‘연구산의 봄 구름을 읊다’라는 의미이다.

[구성]

「귀수춘운」은 칠언절구이다.

[내용]

원야위이공취잠(原野逶迤拱翠岑)[드넓은 들판에 구불구불 푸른 봉우리들이 둘러져 있고]

편운서권역하심(片雲舒卷亦何心)[조각구름들이 모였다가 흩어짐은 또한 무슨 마음인고]

신공본재허무리(神功本在虛無裏)[신령한 공덕은 본래 텅 비고 아득한 가운데 있는 것이니]

시간삼농부설림(試看三農傅說霖)[농민들에게 부열의 장맛비와 같은 단비 보게 하리라]

[특징]

「귀수춘운」은 평성 침(侵) 계열 운목의 운자가 사용된 칠언절구이다.

[의의와 평가]

「귀수춘운」은 지금의 대구광역시 중구 봉산동 연구산에 올라 대구의 전경을 읊은 한시이다. 관찰사로서 경세제민(經世濟民)의 의지가 엿보이는 작품이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