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목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0895
한자 光州牧誌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문헌/전적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서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798년 - 『광주목지』 간행 추정
소장처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103동[신림동 산56-1]
성격 서책
권책 1책 2권
규격 21.6㎝[가로]|34.7㎝[세로]

[정의]

1798년 간행된 것으로 추정되는 전라도 광주목의 읍지.

[형태/서지]

『광주목지(光州牧誌)』는 필사본 1책 2권이며, 책 크기는 가로 21.6㎝, 세로 34.7㎝이다. 표지를 제외하고 목록과 본문을 포함하면 92면이다.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서 소장·관리하고 있다.

[구성/내용]

『광주목지』는 1책 2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1권에는 건치 연혁·직관[부속직]·방리·호구·전결·성지·형승·풍속·산천·고적·교원·단묘·해사·관역·누정·사찰·교량·제언·장시·조적·공부·군액[부군기]·산·성씨·인물·명환을 다루고 있다. 2권에는 운장·서술·제영이 수록되어 있다. 운장 항목에는 정조가 김덕령에게 좌찬성 시충장공을 하사하고 지은 「어제김충장공유사서(御製金忠壯公遺事序)」 및 1798년 전라도 유생에게 명하여 짓도록 한 「어제호남교준유생응제시제(御製湖南校準儒生應製試題)」로 시·부·전·의·책 등이 실려 있다. 서술 항목에는 기대승의 「흥학비기(興學碑記)」, 정홍명의 「서석산부(瑞石山賦)」, 김상헌의 「포충사가인(褒忠祠歌引)」, 서형수의 「봉안각기(奉安閣記)」 등이 수록되어 있다. 「제영(題詠)」에는 이덕형, 김인후, 이황, 송순, 소세양, 유희춘, 이안눌, 기대승, 고경명, 장유 등의 시문이 전하고 있으며 인물과 시문의 비중이 크다.

[의의와 평가]

『광주목지』광주목의 지형과 인구, 자연, 인물, 문화 등에 관한 내용과 여러 시문이 실려 있는 것이 특징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