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문흥동 유적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1565
한자 文興洞遺蹟
영어공식명칭 Munheung-dong Sites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북구 문산로 66[문흥동 990-1]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강은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92년 7월 2일~8월 19일 - 문흥동 유적 조선대학교박물관에서 발굴 조사
현 소재지 문흥동 유적 - 광주광역시 북구 문산로 66[문흥동 990-1] 일대지도보기
출토 유물 소장처 국립광주박물관 - 광주광역시 북구 하서로 110[매곡동 산 83-3]지도보기
성격 유적

[정의]

광주광역시 북구 문흥동에서 확인된 조선시대 건물지와 기단(基壇), 폐기장.

[위치]

광주광역시 문흥동 유적월각산[274m]에서 이어내린 동남쪽 줄기의 서남향 비탈에 있으며, 앞에 골짜기를 개간한 논이 있고 작은 개울이 흐른다.

[발굴조사 경위 및 결과]

광주광역시 문흥동 유적은 1991년 문흥지구 택지개발 지역의 지표조사로 알려졌다. 이를 토대로 광주광역시가 조선대학교박물관에 경질토기 산포지 1개소의 발굴 조사를 요청하여 1992년 7월 2일~8월 19일에 발굴 조사하였다. 발굴 조사 결과 조선시대에 속하는 5개의 유구(遺構)가 확인되었다. 1호는 건물지, 2호는 기단, 3호는 건축자재와 생활 용기를 버린 폐기장, 4호는 원통형 수혈, 5호는 폐기장으로 추정된다. 기와편에서 '성화(成化)'[1465~1487]라는 절대 연대가 발견되었고, 백자, 분청사기, 기와, 전돌, 옹기 등이 다수 출토되었다.

[현황]

발굴 조사 이후 문흥지구 택지개발 지구로 개발되어 현재 문산초등학교와 송운작은도서관이 들어서 있다. 국가 귀속 유물은 국립광주박물관에서 소장 및 관리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조선시대 생활 유적일 것으로 추정되어 조사가 이루어졌는데 명문기와편의 출토로 조선시대 유적임이 확인되었다. 조선시대의 생활사 자료가 거의 없었던 시점에서 15~16세기 생활상 복원의 기초인 유적인 점에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