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변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100681
한자 鄭變咸
영어공식명칭 Jung Byeonham
이칭/별칭 소고(嘯皐)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경상북도 경산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광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활동 시기/일시 1592년 - 정변함 임진왜란 창의
활동 시기/일시 1596년 - 정변함 팔공산회맹 참여
활동 시기/일시 1597년 - 정변함 화왕산성 방어
활동 시기/일시 1605년 - 정변함 고산서당 중건
추모 시기/일시 1947년 - 삼의정 건립
거주|이주지 정변함 거주지 - 경상북도 경산시 상방동 지도보기
학교|수학지 정변함 강학지 - 대구광역시 수성구 성동로37길 39-3
활동지 정변함 활동지 -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옥천리 산 322
성격 의병
성별
대표 경력 김제 훈도

[정의]

조선 후기 경상북도 경산 출신의 의병.

[개설]

정변함(鄭變咸)[?~?]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동생 정변호(鄭變頀), 사촌 동생 정변문(鄭變文)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경산 지역을 수호하였다.

[가계]

정변함의 본관은 초계(草溪), 호는 소고(嘯皐)이다. 아버지는 참봉을 지낸 정종(鄭琮), 할아버지는 부정(副正)을 지낸 정철보(鄭哲輔), 증조할아버지는 현감을 지낸 정영번(鄭永蕃)이다. 부인은 첨지(僉知)를 지낸 최식(崔湜)의 딸 영천 최씨(永川崔氏)이다. 초계 정씨 가문은 5대조 정연(鄭珚)이 고려 말 경산 동산(東山)[지금의 경상북도 경산시 상방동 일대]에 은거하게 되면서, 지금의 경산시 일대에 세거하게 되었다.

[활동 사항]

정변함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동생 정변호, 사촌 동생 정변문과 함께 가동(家僮) 및 동리의 장정들을 규합해 의병을 일으켰다. 이때 같은 고을의 박응성(朴應成)·최응담(崔應淡)[최대기(崔大期)]·진섬(陳暹)·진엽(陳曄)·여응주(呂應周)·남중옥(南仲鈺)·전락(全洛)·승적(承迪)이 호응하였다. 전란 초기 왜적이 경산현(慶山縣) 지역을 넘보자, 망월산(望月山)[대구광역시 수성구]과 금성산(金城山)[경상북도 경산시 남천면]에 진을 치고 일본군의 침입을 방어하였다. 정경세(鄭經世)[1563~1633]는 정변함 등의 창의에 대하여 “경산과 같은 작은 고을의 창의가 여러 고을 중에서도 으뜸이다[慶山小邑之倡 能爲列郡之首]”라고 칭송했다. 이후 정변함은 정변호·정변문·박응성 등과 함께 정부의 지시에 따라 성주 사원(蛇院)에 진을 쳤다. 1596년(선조 29) 팔공산 회맹(八公山會盟)에 참여하였으며, 1597년(선조 30)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곽재우(郭再祐)를 도와 창녕 화왕산성(火旺山城)을 방어하였다. 전란이 끝난 후에는 정변호·정변문과 함께 경산 동산에 은거하며 후학을 양성하였다. 1605년(선조 38)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고산서당(孤山書堂)[대구광역시 수성구 성동로37길 39-3] 중건에 참여하였고, 이곳에서 사우(士友)들과 학문을 강론했다. 관직은 김제 훈도(金堤訓導)에 올랐다.

[상훈과 추모]

송증헌(宋曾憲)[1878~1947]이 정변함 형제의 임진왜란 행적을 기록한 「정씨삼의사전(鄭氏三義士傳)」을 남겼다. 1947년 후손들이 정변함·정변호·정변문을 기리기 위해 삼의정(三義亭)[경상북도 경산시 옥곡동 550]을 건립하였는데, 경내에는 초계 정씨 삼의사 유허비(草溪鄭氏三義士遺墟碑)가 세워져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