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201325
한자 咸陽地域亭子-風流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기획)
지역 경상남도 함양군
시대 조선/조선 전기,조선/조선 후기,근대/개항기,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집필자 강정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1640년 - 거연정 건립
특기 사항 시기/일시 1802년 - 군자정 건립
특기 사항 시기/일시 1895년 - 동호정 건립
특기 사항 시기/일시 1637년 - 농월정 건립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3년 - 농월정 재건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5년 - 농월정 재건
거연정 - 경상남도 함양군 서하면 육십령로 2590[봉전리 877]지도보기
군자정 - 경상남도 함양군 서하면 육십령로 2582[봉전리 2006]지도보기
동호정 - 경상남도 함양군 서하면 황산리 842 지도보기
농월정 -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농월정길 9-13[월림리 산92]지도보기

[정의]

경상남도 함양군 화림동천의 수려한 자연경관에 세워진 누정과 그 속에서 조화를 추구한 선비 문화 이야기.

[개설]

누정은 누각과 정자를 함께 일컫는 명칭이다. 대개 살림집과 달리 자연을 배경으로 한 남성 위주의 건축물이다. 자연과 더불어 조화로운 삶을 영위하려는 정신적 기능이 강조된 공간이다. 원래 방이 없이 마루만 있고 사방이 두루 보이도록 막힘없이 탁 트였으며, 아름다운 경관을 조망할 수 있는 높은 곳에 건립하는 것이 특색이다. 일반적으로 풍류·휴식·학문연마·집회·출판 등 다양한 기능으로 활용되었다.

[함양 누정의 보고, 화림동]

경상남도 함양 지역은 남덕유산[1,580m]에서 발원한 금천이 흘러 주변의 산세와 어우러져 곳곳에서 빼어난 비경을 이루는데, 그중에서도 화림동(花林洞)이 대표적이다. 화림동은 골짜기가 넓고 물길이 완만한데, 그에 비해 풍부한 물줄기가 계곡을 휘감아 흘러 수많은 못과 너른 반석의 수려한 풍치를 형성한다. 이처럼 아름다운 경관에 함양의 이름난 선비들이 누정을 건립하여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선비문화를 향유하였다.

화림동은 예로부터 심진동(尋眞洞)·원학동(猿鶴洞)과 함께 조선 시대 안의삼동(安義三洞)으로 일컬어졌다. 화림동은 현재의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서하면·서상면 일대이고, 심진동은 현재의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용추계곡이 있는 골짜기이다. 원학동은 현재의 경상남도 거창군 마리면·위천면·북상면 일대를 가리킨다. 안의삼동은 조선 시대 안음현(安陰縣)에 속한 명승이었으나, 1728년에 이 지역 출신 정희량(鄭希亮)의 난이 발생한 후에 현을 폐지하고 각각 경상남도 함양군과 거창군에 나누어 소속시켰다. 1736년에 안음현이 복구되었으며, 1914년에 안의군은 해체되어 거창군과 함양군에 분속되었고 복구하지 못하였다.

안의삼동의 명승은 영남·호남의 경관 중 으뜸으로 칭송받았다. 그중 화림동이 가장 빼어나 특히 선비들의 답사 일번지로 각광을 받았다. 특히 남명(南冥) 조식(曺植)[1501-1572]의 화림동 유람이 유명하였다. 조식은 1551년(명종 6)에 함양 출신의 문인 옥계(玉溪) 노진(盧禛)[1518-1578]·개암(介庵) 강익(姜翼)[1523-1567] 등과 함께 화림동을 찾았다. 그때 강익이 지은 「화림동에서 노닐며(遊花林洞)」라는 시에 의하면 이들은 현재 농월정이 있는 월연암(月淵巖) 계곡 물에 발을 담그고 용유담(龍游潭)까지 구경하였다. 조식은 이로부터 15년 후인 1566년(명종 21)에 다시 화림동을 찾았다. 이때도 역시 노진의 옥계정사(玉溪精舍)에 들러 함께 잠을 자며 사제 간의 정을 돈독히 하였고, 이어 지금의 원학동과 심진동을 유람하였다. 이들의 안의삼동 유람은 화림동의 빼어난 경관에 인문적 산수유람의 의미를 더하게 되었고, 이후 영남 지역 문인들이 선현의 발자취를 찾아 답사하는 주요 명승으로 이름나게 하였다.

화림동에는 역대로 ‘여덟 개 못과 여덟 개 정자(八潭八亭)’가 있었다고 할 만큼 아름다운 경관과 누정의 보고(寶庫)로 명성을 얻었으나, 현재는 거연정(居然亭)·군자정(君子亭)·동호정(東湖亭)·농월정(弄月亭) 등이 남아 역사 문화 공간으로서 많은 이들의 발길을 불러들이고 있다.

[조상을 받드는 후손의 마음이 아름답다, 함양 거연정]

거연정화림동 계곡의 첫 번째 명승으로, 경상남도 함양군 서하면 봉전마을에 세거하는 정선전씨(旌善全氏) 문중의 누각이다. 고려 후기 두문동 72현의 한 사람인 채미헌(採薇軒) 전오륜(全五倫)이 강원도 정선에 유배되었다가 그곳에서 세상을 떠났다.

전오륜의 후손들은 대대로 경상남도 거창군 마리면 영승리(迎勝里)에서 살았는데, 조선 인조 때 경상남도 함양군 서하면 봉전마을로 이주하여 집성촌을 형성해 세거하였다. 그중 가선대부(嘉善大夫) 겸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使)를 지낸 화림재(花林齋) 전시서(全時敍)는 병자호란[1636]으로 인조가 청나라에 굴복하자, 1640년(인조 18)에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여 채미헌을 향사하는 서산(西山)서원을 건립하였다. 그리고 마을 건너 넓은 계곡에 억새풀로 정자를 엮어 ‘화림재’라 이름하고 후학을 양성하였다. 전시서는 채미헌의 7대손으로, 봉전마을 정선전씨의 입향조(入鄕祖)이다.

이후 200여 년이 흘러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1868]에 의해 서산서원이 훼철되자, 전시서의 후손 전재택(全在澤)·전재학(全在學)·전재갑(全在甲) 등이 1872년 서산서원의 목재를 가져와 화림재 자리에 새로이 누각을 세웠다. 이 누각이 바로 거연정이다. ‘거연정’이라는 누정 이름은 전시서가 쓴 화림재 기문(記文)에서 말한 중국 남송 주희[1130-1200]의 ‘거연아천석(居然我泉石)’이란 시구에서 따왔다. 주자는 53세[1183] 때 무이산(武夷山) 골짜기에 무이정사(武夷精舍)를 건립하고 후학을 양성하며 만년을 보냈는데, 그 이듬해 무이산의 정경을 읊은 「무이도가(武夷櫂歌)」를 지었다.

연재(淵齋) 송병선(宋秉璿)[1836-1905]이 1899년에 쓴 「거연정 중수기」에 의하면, 전시서는 화림재에 거처하는 동안 「무이도가」를 즐겨 애송하였다고 한다. 위 시구는 주자의 「무이정사 잡영(雜詠)」 12수 중 「정사(精舍)」라는 시의 일부이다. 전편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금서사십년(琴書四十年)[거문고와 책을 벗한 지 40년]

기작산중객(幾作山中客)[거의 산속의 객이 다 되었네]

일일모동성(一日茅棟成)[어느 날 띠풀 집을 지었더니]

거연아천석(居然我泉石)[어느 듯 나도 천석이 되었네]

주자는 70년 일생 중에 40년을 무이산에서 생활하였는데, 그 속에서 자연과 조화된 자신을 위의 시로 읊어내었다. 전시서 또한 화림재에서 주자의 이러한 삶을 추구하였고, 전시서의 후손들은 선조의 뜻을 계승하려는 의미로 누정 이름을 삼았던 것이다. 맑은 계곡물과 천혜의 기암괴석이 만들어낸 아름다운 자연경관에 선조의 뜻을 이어가는 후손들의 후덕한 정성이 더해진 거연정 일대는 2005년에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고, 2012년에는 국가지정 명승 제86호로 지정되었다.

[정여창의 절의를 흠모하다, 함양 군자정]

거연정에서 불과 100m 남짓을 내려오면 소박하면서도 아담한 정자가 물가에 바짝 붙어 서있다. 이 정자가 바로 함양 군자정이다. 함양 군자정은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의 목조건축물이다. 자연암반 위에 조성하여 초석도 없고, 기둥은 모두 원주(圓柱)를 사용하였다. 2005년에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380호로 지정되었다. 이때 군자정의 ‘군자’는 함양의 대학자인 일두(一蠹) 정여창(鄭汝昌)[1450-1504]을 가리킨다. 서하면 봉전리정여창의 처가 마을로, 생전의 정여창이 처가에 오면 군자정이 있는 영귀대(詠歸臺)에서 자주 노닐었다고 전한다.

김선익(金善益)의 「군자정 중수기」에 의하면, 경상남도 거창군 영승리에 세거하던 정선전씨가 봉전마을로 이주하게 된 것은 정여창의 의로운 행의(行誼)와 절의를 흠모해서라고 한다. 그리고 전시서의 5대손 서강(西岡) 전세걸(全世杰)과 전재택 등이 정여창의 군자다운 풍모를 기리기 위해 1802년에 마을 앞에 군자정을 지었다고 전한다. 더구나 문중의 거연정보다 70년이나 앞서 군자정을 먼저 지었다고 하니, 지역 선현에 대한 그들의 두터운 존숭과 정성을 짐작할 수 있다. 군자정의 유래에 대해서는 걸려 있는 시문을 통해 유추해 볼 수 있다.

의장임한수(倚杖臨寒水)[지팡이를 짚고 차가운 물가에서]

피의립만풍(披衣立晩風)[옷을 걸친 채 저녁바람에 섰네]

상봉수군자(相逢數君子)[몇몇의 군자들 서로 만났더니]

위아설염옹(爲我說濂翁)[나를 위해서 염옹을 말해 주네]

이것은 송나라 주자의 「군자정」이란 시인데, 전세걸이 1802년에 군자정 건립 당시 써서 걸어두었다. 결구에서 보듯 주자가 말한 ‘군자’는 염계(濂溪) 주돈이(周敦頤)[1017-1073]이다. 주돈이는 「애련설(愛蓮說)」을 통해 ‘진흙에서 자라도 더럽혀지지 않고, 맑은 물로 씻어도 요염하지 않는 연꽃의 기상’을 군자의 모습으로 비유하였다. 주자는 주돈이를 통해 군자의 모습을 찾았고, 전세걸은 주자를 통해 정여창의 군자다움을 보려 한 것이다.

소정임수축(小亭臨水築)[작은 정자 물가에 세워져 있으니]

완보읍광풍(緩步挹光風)[천천히 걸으며 광풍을 끌어당기네]

세원문유재(世遠文猶在)[세월이 아득하나 시문은 그대로라]

미제앙회옹(楣題仰晦翁)[처마엔 회옹을 우러른다 써놓았네]

이 시는 금곡(錦谷) 송내희(宋來熙)[1791-1867]가 36세[1826](순조 26) 때 군자정에 들러 읊은 작품이다. 군자정이 건립되고 20여 년이 흘렀음에도 송내희 역시 전세걸이 내건 주자의 시를 보았다. 다만 송내희는 주돈이가 아닌 주자를 ‘군자’로 추숭하고 있다. 마지막 구절의 ‘회옹’은 주자를 일컫는다. 이렇듯 후인들은 군자정의 의미를 정여창이 학문적으로 염원하였던 주돈이와 주자의 군자다움을 흠모하는 공간으로까지 확장시켜 나아갔다.

[충효의 공간, 함양 동호정]

함양 동호정화림동 계곡에서 가장 크고 화려하며, 가장 늦게 세워진 누각이다. 황산마을에 세거하는 거창장씨(居昌章氏) 문중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2005년에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381호로 지정되었다.

‘동호’는 조선 선조 때 학자인 장만리(章萬里)의 호(號)이다. 장만리는 임진왜란 때 의주로 피란 가던 선조의 어가(御駕)를 호위하였는데, 사세가 다급해지자 임금을 등에 업고 달아나 위험한 상황을 모면하였다. 후에 선조가 장만리의 충정을 가상히 여겨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하였고, 이후 고종이 승정원 좌승지에 추증하고 충신 정려(忠臣旌閭)를 하사하였다.

동호정장만리의 9대손 장재헌(章載憲)이 조상의 충심을 기리기 위해 1890년에 건립하였다. 장만리가 벼슬에서 물러나 은거한 곳에 세웠으니, 선조(先祖)의 충심과 후손의 효심이 어우러진 공간이라 할 수 있다. 동호정의 주변 경관으로는 앞쪽에 넓은 남강천이 맑게 흐르고, 계곡 가운데에 수백 명이 앉을 만한 너럭바위가 펼쳐져 있어 일명 차일암(遮日岩)이라 한다. 후대 문인들의 풍류 공간으로 자주 활용되었고, 차일암 각자 외에도 ‘시를 읊고 노래하던’ 영가대(詠歌臺), ‘거문고와 피리를 불던’ 금적암(琴笛岩) 등의 각자가 수많은 문인의 이름과 함께 현전하고 있다.

화림동의 여타 누정과 비교하여 동호정이 갖는 특징은 화려한 그림과 조각에 있다. 거연정군자정이 주변의 수려한 경관에 비해 소박한 건물 구조인 반면, 동호정은 천장과 들보는 물론이고 기둥 하나까지 누정 전체가 현란하게 채색되어 있다. 그 화려함 속에서 대략 두 가지의 특징을 찾을 수 있다. 먼저 양쪽 대들보에는 물고기를 입에 문 황룡과 여의주를 물고 있는 청룡이 조각되어 있고, 두 용의 기다란 몸통이 외각의 기둥까지 길고 자연스레 이어진 구조이다. 또한 그 아래에 각각 한 쌍의 교룡과 호랑이가 서로 맞붙을 듯 맹렬한 기상을 뿜어내는 그림들은 절로 감탄을 일으킨다. 그 외에도 수많은 백학(白鶴)과 화려한 꽃무늬 등이 동호정을 찾은 이들을 맞이한다.

이런 화려함의 극치 속에서 공자(孔子)의 일대기를 그린 10장의 그림은 보는 이로 하여금 다소 당혹스럽게 한다. 이 그림은 각 기둥과 기둥 사이의 처마에 그려져 있는데, 대개 중국 명나라 때 만들어진 『공자성적도(孔子聖蹟圖)』에 의거해 공자의 출생에서부터 세상을 떠날 때까지 그 일생의 중요한 부분을 그려놓았다. 이 그림들은 주변의 화려한 채색에 치여 유심히 살피지 않으면 놓치기 쉽고, 그래서인지 둘의 조화가 생뚱맞기도 하다. 그러나 조상의 충심을 기리는 후손의 효심에서 건립된 것이 동호정이고, 그러한 ‘충효’의 근원을 공자에게서 찾는 것이 당시 조선 시대 문인이니 어쩌면 당연한 것이 아니겠는가.

[음풍농월의 공간에서 의리의 공간으로, 농월정]

화림동의 대표적 명승은 농월정이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중층 목조 누각으로, 2003년에 방화로 추정되는 불에 소실되었다가 2015년에 원형대로 재건하였다. 주변 경관으로는 농월정 앞에 너른 계곡과 반석이 즐비한데, 그중에서도 달이 비친 웅덩이를 ‘월연(月淵)’, 월연 주변의 바위를 ‘월연암’이라 이름하였다. 그 외에도 주위의 반석에는 ‘지족당장구지소(知足堂杖屨之所)’라는 일곱 글자를 비롯해, 이곳을 찾은 수많은 문인의 이름과 한시가 곳곳에 새겨져 있다.

농월정은 인근에 살던 지족당 박명부(朴明榑)[1571-1639]가 건립하였다. 박명부는 조선왕조의 혹독한 전란기를 살다 간 관료 문인 학자이다. 임진년과 정유년의 왜란 및 광해군의 혼란한 정국을 겪어냈으며, 인조반정 이후에는 병자호란을 맞아 남한산성에서의 치욕을 감내한 인물이다. 박명부는 원학동 출신의 동계(桐溪) 정온(鄭蘊)[1569-1641]과 절친하였으며, 영창대군 옥사에 연루되어 서귀포로 귀양 가는 정온을 구명한 일로 관직에서 제명되었던 10년의 시기를 제외하면 일생 벼슬길에 있었던 관료 지식인이다. 농월정은 그런 박명부가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여 만년을 보내기 위해 화림동의 절경을 배경으로 지었다.

노방수식별구유(路傍誰識別區幽)[길 곁에 그윽한 별천지가 있는 줄 누가 알리]

산약반회수양유(山若盤回水若留)[산은 굽이굽이 도는 듯 물은 멈춰 있는 듯]

영체지당징갱만(暎砌池塘澄更滿)[섬돌을 비추는 월연의 물이 맑고도 그득하고]

박창남취권환부(撲窓嵐翠捲還浮)[창에 드리운 푸른 남기 걷혔다 비췄다 하네]

아기불온전호구(兒飢不慍饘糊口)[아이는 굶주려도 쪼들린 가난에 성내지 않고]

객지령혐옥타두(客至寧嫌屋打頭)[객이 와서 천장에 머리가 부딪힌들 저어하랴]

막도산인무사업(莫道散人無事業)[하는 일 없는 한가한 사람이라 말하지 말게]

만전구학역풍류(晩專邱壑亦風流)[늘그막에 산골짝을 차지한 것 또한 풍류라오]

농월정박명부가 벼슬을 그만두고 낙향한 67세[1637]에 지었다. 위의 시는 박명부가 농월정을 두고 읊은 유일한 작품이다. 전반부는 화림동의 빼어난 경관과 농월정을 비추는 맑고 깨끗한 월연을 통해 주변 경관을 표현하였고, 후반부는 그 속에서 기거하는 자신의 모습을 나타내었다. 세상사를 멀리하고 물러난 가난한 삶일지라도 빼어난 자연경관을 차지한 것으로 흡족해하는 저자의 모습을 볼 수 있다.

박명부에게 있어 농월정은 자연을 즐기며, 그 속에서 자족하며 살아가려는 음풍농월의 공간이었다. 그러나 실제 박명부가 농월정에서 지낸 시기는 얼마 되지 않는다. 박명부는 67세가 되는 6월에 낙향하여 그해 9월에 농월정을 완성하였으나, 그 이듬해 3월에 예조참판에 제수되어 출사하였다. 이어 강릉부사로 부임하여 69세로 세상을 떠났으니, 농월정 완공 후 세상을 떠나는 2년 동안 박명부는 벼슬길에 있어 농월정에서 지낼 겨를이 없었던 것이다. 그렇게 박명부의 죽음과 함께 농월정은 세상에서 잊혔다.

이후 200여 년이 지난 19~20세기에 이르러 잊혔던 농월정에 지리산 권역 영남의 학자들이 대거 찾아 들었다. 그리고 박명부의 농월정 시에 차운한 수많은 작품을 남겼다. 그런데 이 시기 지식인들은 농월정박명부와 전혀 다른 ‘노중련(魯仲連)의 명월(明月)’이란 의미를 부여하였다. 노중련은 중국 전국시대 제(齊)나라의 사람으로, 진(秦)나라가 6국을 병합하려 할 때 “진나라 임금을 섬기느니, 차라리 동해 바다에 빠져 죽겠다”라고 한 인물이다. 이러한 노중련의 절의를 당(唐)나라 시인 이백은 ‘바다 밑에서 솟아오른 명월’에 비유하였다.

유후조(柳厚祚)[1798-1876]는 「농월정 중수기」에서 ‘노중련의 대의(大義)는 우뚝하니 높은 곳에 있어 오직 하늘의 명월만이 짝할 수 있다. 박명부가 지킨 의리는 오늘날 노중련의 의리와 같다’라고 칭송하며, 농월정의 달을 노중련의 명월에 비유하였다. 결국 이 시기 지식인들은 농월정을 찾아가 노중련이 동해에 빠져 죽더라도 지키고자 하였던 대의명분을 박명부에게서 찾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농월정도 음풍농월의 공간에서 의기(義氣)의 장소로 의미가 변화된 것이다.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추구하는 문화공간]

누정은 세워진 위치나 건립한 취지에 따라 기능도 다양하게 나타나기 마련이다. 그러나 대개의 누정은 수려한 자연경관을 배경으로 하기 때문에, 누정 주인을 포함한 누정을 찾는 자아가 주변의 자연과 소통을 통해 조화를 이루는 공간으로 기능하였다. 특히 누정은 지역의 지식층이 향유하는 문화공간이었다. 주로 명문가의 선비나 문중의 중론으로 건립하였고, 그 지역은 물론 인근 지역 지식인의 회합장소로 활용되어 지역 문화를 이끌어 왔다. 누정 건립은 그 지역의 문화적 특성을 형성하는 중요한 계기로 작용하였던 것이다.

경상남도 함양 화림동의 누정들 또한 이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워낙 빼어나고 수려한 자연경관에 세워져 있어, 그 속에 깃든 선현들의 뜻을 후인들이 제대로 계승하지 못하는 측면도 있다. 하지만 화림동의 거연정·군자정·동호정·농월정이 건립 주체인 명문 사족은 물론, 후대에 이르러 이곳을 찾는 수많은 문인 지식층의 교유 중심지이자 학문과 문학 활동의 공간임은 분명하다. 특히 19세기 이후 농월정에 더해진 대의명분은 당대 지식인의 시대정신이 반영된 것이다. 따라서 현대의 누정이 놀이 공간으로서의 기능만이 아닌, 그 속에서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추구하던 선현들의 문명 의식을 찾아가는 공간으로 거듭나기를 기대해 본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0.05.26 내용 수정 [함양 누정의 보고, 화림동] 1728년에 이 지역 출신 정희량(鄭希亮)의 난이 발생한 후에 현을 폐지하고 각각 경상남도 함양군과 거창군에 나누어 소속시켰다.->1728년에 이 지역 출신 정희량(鄭希亮)의 난이 발생한 후에 현을 폐지하고 각각 경상남도 함양군과 거창군에 나누어 소속시켰다. 1736년에 안음현이 복구되었으며, 1914년에 안의군은 해체되어 거창군과 함양군에 분속되었고 복구하지 못하였다.
이용자 의견
김** 1728년에 이 지역 출신 정희량(鄭希亮)의 난이 발생한 후에 현을 폐지하고 각각 경상남도 함양군과 거창군에 나누어 소속시켰다.->현을 폐지하였다가 1736년에 안음현이 복구되었다. 1914년에 안의군은 해체되어 거창군과 함양군에 분속되었고 복구하지 못하였다.
  • 답변
  • 함양문화대전을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우선 답변이 늦어진 점에 대하여 죄송합니다. 해당 내용을 확인 후 수정하였습니다. 의견 개진에 도움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2020.02.28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