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정송강 묘소 천장시」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701692
한자 鄭松江墓所遷葬詩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봉죽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정종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한시
작가 송시열(宋時烈)
창작연도/발표연도 조선 후기

[정의]

조선 후기 송시열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봉죽리송강 정철의 묘를 이장한 후에 지은 오언율시의 한시.

[개설]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학자인 송시열(宋時烈)[1607~1689]의 본관은 은진이고 아명은 성뢰(聖賚), 자는 영보(英甫), 호는 우암(尤庵)·우재(尤齋)·화양동주(華陽洞主)이다. 17세기 중엽 이후 붕당정치가 절정에 이르렀을 때 서인 노론의 영수이자 사상적 지주로서 활동하였다. 「정송강 묘소 천장시」송시열이 원래 경기도 고양에 있던 송강(松江) 정철(鄭澈)의 묘를 문백면 봉죽리로 이장한 후에 지은 작품이다.

[내용]

시비라는 것은 당연한 것도 있지만[是非自有當]

천장할 곳은 지금에야 이루어졌구나[宅兆今始臧]

천상의 삼광은 여기에 비치는데[天上三先照]

인간의 모든 일은 크기도 하구려[人間萬事荒]

처량하구나 진사년 이 해에[凄凉辰巳歲]

놀래리라 호성장은[警怪虎惺章]

무엇으로 명명한 그 덕을 칭송하리오[何以稱明德]

영전에 엄숙히 한 잔 올리나이다[寒流薦一觴]

[특징]

정철에 대한 사후의 평가는 극단적으로 갈리는데, 송시열은 세인들에 의해 잘못 평가된 부분에 대한 아쉬움을 달래며 그 높은 덕을 칭송하고 있다. 한시 중에서 매우 이례적으로 현존하는 이장(移葬) 시로서, 송강 정철에 대한 헌시적인 성격이 짙은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